밤비랍토르
[image]
복원도[1]
[image]
골격도
백악기 후기인 7500만년 전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 속명의 뜻은 '아기'라는 의미의 밤비에서 따 왔고, 종명은 관련 연구자인 앤 파인버그(Ann Feinberg)와 마이클 파인버그(Michael Feinberg)의 성에서 따왔다.
[image]
1993년 '''14살'''의 화석 사냥꾼이 발견했는데 당시 몬태나 주의 글래셔 국립공원에서 부모와 함께 공룡 뼈를 찾고 있었다고 한다. 해당 화석 표본은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95%의 보존율을 보이는 거의 완전한 골격이었다. 그리고 주변에서 고르고사우루스와 마이아사우라가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사람과의 크기 비교
1997년에는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의 아성체로 여겨졌고 벨로키랍토르의 모식종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2000년 존 오스트롬을 필두로 한 여러 학자들이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하였다.
[image]
고르고사우루스가 흘린 고기를 몰래 뜯어먹는 밤비랍토르
연구에 따르면 앞발의 첫번째 발가락과 세번째 발가락은 쥐 같은 소형 포유류처럼 먹이를 집어들어 입으로 가져갈 수 있었다고 한다. 뇌의 크기는 현생 조류보다는 작은 축에 속하지만, 비대한 소뇌 덕분에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동물들보다 더욱 높은 민첩성과 지능을 가졌을 것이라고 한다. 특히 뇌용량의 경우 성체의 것은 여지껏 발견된 공룡들 중 가장 큰 14cm³의 부피를 차지한다.
복원도[1]
[image]
골격도
1. 개요
백악기 후기인 7500만년 전 북아메리카에 살았던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에 속하는 공룡. 속명의 뜻은 '아기'라는 의미의 밤비에서 따 왔고, 종명은 관련 연구자인 앤 파인버그(Ann Feinberg)와 마이클 파인버그(Michael Feinberg)의 성에서 따왔다.
2. 상세
[image]
1993년 '''14살'''의 화석 사냥꾼이 발견했는데 당시 몬태나 주의 글래셔 국립공원에서 부모와 함께 공룡 뼈를 찾고 있었다고 한다. 해당 화석 표본은 위 사진에서 볼 수 있듯 95%의 보존율을 보이는 거의 완전한 골격이었다. 그리고 주변에서 고르고사우루스와 마이아사우라가 함께 발견되었다.
[image]
사람과의 크기 비교
1997년에는 사우로르니톨레스테스의 아성체로 여겨졌고 벨로키랍토르의 모식종과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2000년 존 오스트롬을 필두로 한 여러 학자들이 별도의 속으로 재분류하였다.
[image]
고르고사우루스가 흘린 고기를 몰래 뜯어먹는 밤비랍토르
연구에 따르면 앞발의 첫번째 발가락과 세번째 발가락은 쥐 같은 소형 포유류처럼 먹이를 집어들어 입으로 가져갈 수 있었다고 한다. 뇌의 크기는 현생 조류보다는 작은 축에 속하지만, 비대한 소뇌 덕분에 다른 드로마이오사우루스과 동물들보다 더욱 높은 민첩성과 지능을 가졌을 것이라고 한다. 특히 뇌용량의 경우 성체의 것은 여지껏 발견된 공룡들 중 가장 큰 14cm³의 부피를 차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