봉기

 



1. 개요
2. 상세


1. 개요


蜂起 / Revolt
떼처럼 무리지어 세차게 일어난다는 말. 주로 무언가(지도자의 폭정 등)에 항거하기 위해 민중이 들고 일어나는 것을 뜻한다. 시민 불복종 운동에 속하며, 부정적인 의미인 폭동과 긍정적인 의미인 항쟁에 비해 가치중립적인 단어가 필요할 때 주로 쓰인다.

2. 상세


>전봉준 : “그간 도처에 무수히 많은 민란(民亂)들이 터졌고, 수없이 많은 탐관오리들을 죽였네. 허나 무엇이 바뀌었는가? 새로운 탐관오리는 보복을 자행하고, 탐학을 일삼고, 해서 또 민란이 터지고 또 죽이고 죽고 또... 이젠 종지부를 찍어야 하네!”
>
>녹두꽃 3회 중에서
역사적으로 봉기가 발생하면 군대와의 무력 충돌이 생기곤 했다. 홍경래의 난(1811년), 진주민란(1862년), 임오군란(1882), 동학 농민 혁명(1894년), 부활절 봉기(1916년), 바르샤바 봉기(1944년), 1953년 동독 봉기(1953년) 등이 이에 속한다.
민란(民亂)이라는 표현도 있는데, 민중에 의한 봉기를 질서를 유지해야하는 위정자 입장에서 다소 부정적으로 표현하는 단어로 사서에도 많이 나오지만 현대 역사학계에서는 보다 가치중립적인 민중봉기 정도로 표현하는 경향이 있다. 그래도 동학란 이전까지의 민란은 탐관오리 수령을 욕보기만 할 뿐 죽이지는 않았다. 죽이면 임금에게 대항하는 것으로 역모로 몰렸기 때문이다. 그래서 민란 주동자들은 '우리는 수령의 탐학과 폭정에 항거 할 뿐이지 조정과 임금에게 반역할 생각이 없다'라는 것을 해명할 정도였다. 조정에서도 이럴 경우엔 '수령에 대해선 따로 처벌할 것이니 해산하라. 민란의 주동자는 별도로 처벌할 것이며 단순 가담자들은 죄를 묻지 않겠다'라고 결정하는게 보통이었다.
일본사에서는 잇키(一揆)라는 단어가 쓰인다. 사실은 공동체를 결성하는 일을 뜻하는 거지만, 봉기도 어쨌든 사람이 모여서 일어날 테니 그 과정에서 공동체가 생기는 건 자명하고, 잇키 공동체나 잇키 공동체가 일으키는 분규·반란이나 다 잇키로 부르기에 구분하기는 어렵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