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인

 

1. : 유부녀를 일컫는 말
2. 작위 부인(夫人)
2.1. 에로영화의 상투적인 제목
3. 否認: 인정하지 않음
3.1. TCG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1. : 유부녀를 일컫는 말


'''남의 아내'''를 정중하게 일컫는 단어. 이 경우는 남편의 이름을 덧붙여 xxx(의) 부인이라고 칭할 경우가 많다. 또한 예전엔 사대부 집안의 남성이 자신의 아내에게 대고 직접 부를 때 쓰는 표현이기도 했다(사극에서 양반 집안의 남성이 자기 아내를 부를 때 2인칭 격으로 이 말을 쓰는 건 이 때문이다. 대부분 하오체와 더불어 사용했다).
그러나 제3자에게 자기 아내를 언급할 때 "내 부인"이라고 말하는 것은 틀린 말이다.
사실 유부녀 자체를 의미하는 말로 부인(婦人)이란 말도 있는데 (ex. 부인회), 현대엔 이 말보다는 부녀자 등을 더 많이 쓴다.

2. 작위 부인(夫人)


중국 주나라의 예법엔 제후의 아내(夫人)를 일컫는 말이기도 했다.[1]
이는 작위로 발전해서 천자가 제후의 아내를 봉해줄 때 사용되었다.
한국 왕조에선 고구려, 신라, 백제 왕조가 군주의 아내를 부인이라고 불렀는데[2] 중국과 사용 방법이 전혀 달랐다. 부인을 부를 때 이름[3], 부족(가문), 중국식 존호를 붙혀서 부르거나 왕후가 된 순서대로 정부인, 중부인, 소부인으로 부르기도 했다.[4]
이후 고려 왕조에서도 초기에 삼국과 비슷하게 사용했다. 중기 이후 체제가 정비된 후 중국과 같게 사용하게 된다.
보통 신하가 작위를 받으면 따라 봉해졌는데 풀명칭은 "'''OO국(군) 대부인(OO國 大夫人)'''"이었다. 국가를 봉해 줄 땐 실제 국가나[5] 가상의 국가를 봉해줬다.[6] 군현을 봉해 줄 땐 실제 지역을 봉해 주었다.

2.1. 에로영화의 상투적인 제목


어째 주로 불륜극의 제목에 많이 쓰는 듯하다.
[image]
  • 마담 보바리
여주인공인 보바리 부인의 불륜을 다룬 19세기 프랑스 소설이 원작이다. 시대가 시대기 때문에 주인공은 자살로 최후를 맞이한다.
[image]
  • 채털리 부인
간단히 말하자면 남편이 고자라서 채털리는 정원사와 불륜을 저지르고, 남편도 그걸 묵인한다는 내용.(...) 참고로 이것도 원작이 소설인데, 내용이 저런지라 당시 금서로 지정되었다. 자세한 것은 채털리 부인의 연인 항목 참조.

  • 자유부인
교수의 아내가 춤바람이 난다는 영화. 정비석의 원작소설을 한형모가 영화로 각색했다. 당시에 큰 파장을 불러일으켰다.

  • 애마부인

  • 젖소부인
[image]
  • 엠마뉴엘 부인

3. 否認: 인정하지 않음


이 쪽으로 유명한 게 다름아닌 초대교황 베드로.
예시

그는 범행사실을 부인했다

아래 짤 역시 1번 항목과 관련한 드립
[image]
[image]

3.1. TCG매직 더 개더링》에 나오는 카드


'''영어판 명칭'''
'''Negate'''
[image]
'''한글판 명칭'''
'''부인'''
'''마나비용'''
{1}{U}
'''유형'''
순간마법
생물이 아닌 주문 한 개를 목표로 정한다. 그 주문을 무효화한다.

''"결국 모든 것은 침묵 상태로 돌아간다."
—미풍 마도사 자라''
Morningtide
커먼
Magic 2010
커먼
Magic 2011
커먼
Magic 2012
커먼
Magic 2013
커먼
Magic 2014
커먼
Magic 2015
커먼
Dragons of Tarkir
커먼
Magic Origin
커먼
Oath of the Gatewatch
커먼
Conspiracy - Take the Crown
커먼
익살란의 숙적들
커먼
마나 2개짜리 카운터 중에서도 꽤나 많이 사용되는 카드다. 생물 주문을 카운터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지만 상대방의 디나이얼이나 키 카드 등의 콤보를 끊어줄 때에 유용하게 쓰인다. Conflux에서 좀더 강화판인 Countersquall이 나온 바 있다. 하지만 유색을 2개 먹기 때문에 부인에 비해서는 범용성이 떨어진다.
[1] 예기에 따르면 천자의 비(妃)는 후(后), 제후의 아내는 '''부인(夫人)''', 대부의 아내는 유인(孺人), 사(士) 아내는 '''부인(婦人)''', 서인의 아내는 처(妻).[2] 일본서기 부인의 훈으로 하시카시ハシカシ가 있는데 백제어로 추정한다.[3] 유화부인 등.[4] 고조선, 부여, 발해는 기록이 없다.[5] 이자겸의 처 변한국 대부인.[6] 이자겸의 어머니 통의국 대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