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죽음의 가면

 

1. 개요
2. 줄거리
3. 대중매체에서


1. 개요


The Masque[1] Of The Red Death
에드거 앨런 포가 1842년에 쓴 단편소설. 적사병의 가면이라는 제목으로도 알려져 있다.

2. 줄거리


어느 나라에 적사병이라는 질병이[2] 맹위를 떨친다. 적사병에 걸린 사람은 어지러움과 함께 아프기 시작하여 반 시간만에 코피를 쏟으며 죽는다. 이때 몸에 붉은 반점이 나타난다고 하여 적사병이라 불린다.
이에 그 나라를 다스리던 프로스페로 대공은 귀족이며 친구, 귀부인같은 친한 사람들과 함께 적사병이 닿지 않는 큼직한 사원에 들어가서 병을 피하기로 한다. 사원은 거대하기도 하지만 성과 같고 안에는 몇년이고 먹을 식량과 술, 광대나 미녀들과 온갖 오락거리가 가득하여 부족함이 없는 곳이었다. 그렇게 사원에 숨어든지 여섯달째. 지루해진 프로스페로 대공은 사원의 일곱방에서 무도회를 연다. 그러나 무도회의 흥취는 시체처럼 기괴한 가면을 쓴 남자에 의해 깨지고 만다.
홀연히 나타난 남자는 무도회가 열리던 일곱 방들을 드나들기 시작했고, 프로스페로 대공은 남자에게 칼을 빼들고 정체를 묻지만 아무 대답이 없었다. 남자의 피로 물들인 듯 한 붉은 옷과 진짜 시체와 구분하기 힘든 가면은 적사병을 연상시켰고, 사람들 사이에 적사병 그 자체가 아니냐는 수근거림이 퍼져나간다. 무도회를 망친데다 잠시나마 공포에 질렸던 대공은 분노해 단검을 들고 달려들지만, 그 사내에게 다가가자마자 그 자리에서 쓰러져 죽고 만다.
사람들이 다가가서 보니 대공은 적사병으로 죽은 다음이었고, 그 사내를 붙들자 그 섬뜩한 옷과 가면 아래엔 아무런 형체도 없이 빈 옷만 남아있었다. 남자의 정체는 바로 도둑처럼 사원에 찾아들어온 적사병이었던것. 결국 그 어디보다도 병에서 안전하리라 여겼던 무도회에 참가한 모든 사람이 적사병에 죽음을 맞이했고, 세상 모든 곳에 적사병과 죽음만이 가득했다는 결말로 마무리된다.
이곳에서 번역을 볼 수 있다.

3. 대중매체에서


[image]
로저 코먼이 감독,제작하고 빈센트 프라이스가 주연을 맡아 1964년에 영화로도 나온 바 있다. 한국에선 1991년에 대우비디오에서 죽음의 붉은 마스크란 제목으로 VHS가 정식발매된 바 있다.
가스통 르루의 소설 오페라의 유령에 나오는 가장무도회 장면에서, 붉은 망토에 해골 가면을 쓴 사람이 사람들의 주목을 받는데 그의 옷에 금실로 "나를 만지지 마라, 나는 바깥 세상을 떠도는 붉은 죽음이다"라는 말이 수놓여 있었다는 묘사가 있다. 오페라의 유령이 이 작품보다 60여년 후에 나온 1910년 작이고,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이 보들레르의 프랑스어 번역으로 프랑스에서 먼저 주목 받았다는 것을 생각하면 이 '붉은 죽음의 가면'의 오마주일 것으로 보인다.
파티장에 나타난 정체불명의 남자, 또한 그가 쓰고 있는 가면이 실은 얼굴 그 자체라는 점은 이후 크툴루 신화하스터에 오마주되었다. 또한 디스크월드 시리즈 2편에서 죽음이 파티에 참석하던 중 그의 예언능력을 빌리려는 마법사들에게 잠시 소환되는 장면이 나오는데, 이 장면 또한 붉은 죽음의 가면의 패러디로 보인다. "파티가 재밌긴 한데, 12시가 되면 아무래도 작살날 것 같다. 그때가 참가자들이 내가 해골가면을 벗을 거라고 생각하는 때거든"이라는 죽음의 말로 확인사살.
크림슨 글로리의 2집 앨범 4번째 곡의 제목으로 쓰였다. 가사 내용을 보면 역시 이 소설에서 모티브를 얻었다는걸 알수 있다.
다크 나이트: 메탈에 나오는 다크 멀티버스의 배트맨 중에 하나인 붉은 죽음은 이름은 이 소설에서 따왔다.
[1] 가면인 Mask를 잘못 쓴 것이 아니라 가면극을 뜻하는 단어다. 따라서 사실 본작의 제목도 정확히 번역하면 '붉은 죽음의 가면극' 혹은 '붉은 죽음의 가면무도회'에 더 가까운 셈. 다만, 소설 본문에는 masque라는 단어는 단 한 군데도 안 나오기는 한다. 대신 masquerade(가장무도회)만 나온다.[2] Red Plague 는 천연두 또는 단독을 가리키는 별명이다. 하지만 Red Death라는 원어를 생각하면 Black Death라 불리는 흑사병모티브일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실제로 나타나는 증상이나 성 자체를 격리하는 등의 흑사병에서 차용한 듯한 설정이 다수 있다. 또한 에드거 앨런 포의 인생을 괴롭혔던 결핵에서도 일부를 따왔다.(정확히 말하자면 포 본인은 결핵에 걸린 적이 없으나 주변인 다수를 결핵으로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