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행기 모드

 

1. 개요
2. 왜 만들어졌는가?
3. 어쩌다 이런 이름이 되었을까?
4. 비행기 모드에서도 이용이 가능한 것
5. 기기별 전환 방법
6. 휴대폰이 비행기가 된다?
7. 여담


1. 개요


Airplane Mode.
비행기 탑승 시 이용하는 모드라 쓰고 전자기기의 통신을 차단하는 기능이라 말한다. 비행기 모드를 켜면, 셀룰러 통신(3G, 4G, 5G 등), Wi-Fi[1], Bluetooth 등의 모든 무선 통신을 쓸 수 없다. 스마트폰이나 Windows 8 이상 탑재 노트북 등의 통신 기기에 웬만하면 붙어있는 기능이다.

2. 왜 만들어졌는가?


막 휴대용 전자기기, 라디오 등이 시장에 풀리던 1960-70년대 즈음 미국 FAA에서는 휴대용 라디오나 전자기기에서 나오는 전파가 역시 전파를 사용하는 항공기의 통신장비나 항법장비에 간섭을 일으키지 않을까 걱정하게 된다. 그렇다고 시장에 풀리는 모든 종류의 전자장비를 전부 테스트하고 항공안전에 영향이 있다없다는 시험결과와 증명서를 발부하기에는 FAA의 행정력과 시간 낭비가 막대하기에, 결국 '''행정편의를 위해''' "이착륙 때에는 모든 전자기기를 끄라고 하자"라고 결정하게 된다. 실제로 안전에 영향을 끼친다라는 게 증명되어서 한 게 아니다. FAA가 이러니 미국에 취항하는 전 세계 항공사들도 전부 이 규정을 따라해야 되고, 결국 전 세계에서 따라하게 됐다.
그 뒤 2000년대가 되어 스마트 폰이 등장하자 핸드폰에서 들어가고 나오는 전파만 차단하는 비행기 모드가 장착되었으며 2013년대 즈음에는 더이상 스마트폰 따위로 항공기 계기가 영향받지 않는다는 것이 거의 확실해지면서 FAA는 규제를 풀었다. 심지어는 비행기 안에서 전화나 인터넷을 할 수 있는 서비스를 하고 있는 중이다. 그러나 여태까지 해온 관습 때문에 여전히 승객들에게 비행기 모드를 켜줄 것을 요구하는 항공사들도 많고, 특히 그 규제가 원래 어떻게 시작했는지 모르면서 일단 따라하고 본 나라들, 특히 '''중국'''에서는 그냥 계속하고 있다. 호기심 해결 TV 프로그램인 미스버스터즈에서도 관련된 실험을 한 적이 있다.
현재는 배터리를 생각해 비행기가 날아오르면 비행기 모드를 켜 준다고 볼 수 있다. 스마트폰이 기지국을 찾느라 열심히 탐색을 하고 그로 인해 배터리를 쭉쭉 소모하기 때문이다. 마치 깊은 산속에서 기지국 탐색 불가 시 배터리가 녹아내리는 현상처럼 말이다. 기지국은 몇 천 피트 발 아래, 몇 백 km 바다 건너 있기 때문에 통신이 될 리 만무하다. 스마트폰이 기지국 찾아 삼만리 헤매지 않도록 통신을 지그시 정지시켜주자.
비행기를 탈 일이 별로 없다면 배터리를 절약하거나 공부하기 위해 인강 동영상이나 전자사전 기능을 쓰는 동안 딴짓을 하지 않으려고 켜두는 정도. 혹은 카카오톡 메시지를 몰래 확인하기 위한 정도 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 외에도 순식간에 수천 피트 이상 고도로 전파가 닫지 않는 높이까지 올라가는 제트 여객기와는 달리, 경비행기를 이용한 비행이 일반화된 미국등지에서는 지표면에서 2~3000피트 정도로 낮게 비행하는 경우도 많다. 지상에서라면 보통 핸드폰의 전파가 멀리 가지 않고 가까이 있는 지상 기지국에서 캐치하여 핸드폰 전파를 처리한다. 2~3000피트 정도의 높은 고도에서는 사방으로 핸드폰 전파가 퍼지면서 지상 기지국 열댓 개~수십 개까지 전파가 도달한다.
만약 수십 수백 대의 핸드폰이 동시 다발적으로 저 정도 고도에서 신호를 찾는다면, 지상 기지국에서는 신호처리로 과부하가 엄청나게 일어나 마비 증상까지 이어질 수 있다. 이 가능성이 높아진 이후 미국 FAA에서는 비행기 탑승 시 일반 핸드폰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 문서를 배포하고 있다. 즉 에어플레인 모드는 최초 시작은 혹시라도 있을지 모를 비행기와의 전파간섭을 막기 위해, 이후에는 저고도 비행 시 핸드폰 기지국에 걸리는 과부하를 막기 위해서 사용하는 기능이다.

3. 어쩌다 이런 이름이 되었을까?


피처폰을 사용했던 시절에는 비행기 이착륙시, 비행기 모드고 뭐고 "전원을 꺼 주세요"라고 했다. 당시로써 통신이 안되는 휴대폰은 그저 플라스틱 덩어리일 뿐이기 때문에 전원을 켜 둘 필요가 없었다. 같은 세대의 노트북 컴퓨터의 경우에는 무선 통신을 대부분 지원하지 않았고, 무엇보다 배터리가 오래가지 않아 자연스레 전원을 껐다.
하지만 PDA스마트폰이 등장하면서 위의 논리가 불가능해졌다. 그당시 대다수의 PDA스마트폰은 끄는 것이 불가능하여 24시간 켜야만 했던 물건이었다. 그 이유는 당시 (Windows CE를 위시한) PDA의 운영체제가 영 좋지 않아서 그랬다. 기본적으로 시스템의 정보를 보조기억장치가 아닌 주기억장치(=RAM)[2]에 저장했는데, 당연히 껐다 키면... 그래서 장비는 켜져 있되 비행기와의 전파 간섭을 일으키는 통신 기능은 꺼져 있어야 되는데, 그럴 일이 비행기 탈 때뿐이니 "비행기 모드"로 지어졌다.
현재 스마트폰은 전원을 끄는 것이 가능하지만, 통신이 되지 않아도 할 수 있는 것이 무궁무진하기 때문에 기기를 끄지 않게 된다. 그러니 기기를 끄지 않고도 비행기와의 전파 간섭을 막아주는 "비행기 모드"는 여전히 유용한 기능이다.

4. 비행기 모드에서도 이용이 가능한 것


일단 네트워크 기반의 모든 활동은 불가능하며 사진 촬영이나 네트워크 연결이 필요없는 게임을 할 수 있다.
비행기 모드 상태에서도 전파 세기가 강하지 않은 편인 Wifi나 Bluetooth를 따로 켤 수 있다. 뭐 케이스 바이 케이스로 모든 기기들이 그렇지는 않고 개중에는 이렇게 하면 비행기 모드가 다시 풀려버리는 것(주로 옛날 물건)도 있다. 요즘은 기내 와이파이가 제공되기도 해서 비행기 모드(3G, LTE 차단) 중에도 와이파이를 따로 켤 수 있는 것이 좋다.

5. 기기별 전환 방법


  • iOS: iOS 9기준으로 설정메뉴에서 에어플레인 모드[3]의 슬라이드부분을 터치하면 된다. 해제는 그 부분을 다시 한번 터치하면 된다. 설정하게되면 상단바 좌측(캐리어 표시부분)에 비행기 모양의 아이콘이 뜬다. 이 상태에서 와이파이 접속과 블루투스 연결 가능하다. 이때 비행기 모드는 해제되지 않는다.
  • 안드로이드: 전원버튼을 길게 누르고 비행기 탑승 모드를 누르거나 상단 바를 내리고 켜면 된다.
  • 윈도우즈
    • 데스크톱, 태블릿 PC: 설정 - 네크워크 및 인터넷 - 비행기 모드를 클릭하면 된다.[4] 태블릿인 경우 오른쪽 테두리에서 화면 안쪽으로 밀어서 나오는 알림 센터에서 원터치로 설정할 수 있다.[5]
      • Windows 7 이하: 전원을 끄거나, '장치 관리자'에서 Wi-Fi, 블루투스 하드웨어를 찾아 '사용 안함'으로 설정한다.
    • 모바일 : 상단바를 내려서 알림 센터를 연 다음 확장 > 비행기 모드를 선택하면된다.
  • OS X: 설정에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끄면 된다.

6. 휴대폰이 비행기가 된다?


[image]
http://kin.naver.com/qna/detail.nhn?d1id=1&dirId=10206&docId=164278599 -
이름 때문에 일부 동심이 있는 순수한 이들이 현대 과학의 발전이 이만큼 초월했으리라 믿는 경우가 있어서 비행기 모드를 켜면 정말로 핸드폰이 비행기가 되어서 날아갈 수 있다고 믿고있다(...)
[image]
물론 해외에서도 존재하는 이다.
일부 기종에서는 이런 오해를 방지하기 위함인지 '비행기 '''탑승''' 모드'라고 표기한다.

7. 여담


스마트폰을 처음 구매하였거나 새로운 유심을 장착하였을때, 굳이 재부팅하지 않고 비행기모드를 2~3번 껏다 켜면 네트워크가 잡힌다.


[1] 일부 제외.[2] 이걸 방지하기 위해 백업배터리도 있지만 백업배터리도 방전되면... 물론 나중에 보조기억장치인 하드디스크나 낸드플래시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게 되었다.[3] 설정메뉴의 최상단에 위치하고 있다.[4] Windows 10 기준.[5] Windows 8 이상 해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