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나는 길
1. 페루의 좌익반군
[image]
정식명칭은 페루 공산당이지만 페루 공산당에서 분리된 정당이었던데다가 페루 공산당이라는 당명을 가진 정당이 한둘이 아니기 때문에 혼동을 피하기 위해 빛나는 길로 통칭된다. 1968년에 아비마엘 구스만[1] 에 의해 창설되었는데 페루 공산당에서 분리된데다가 마오주의 성향을 띄었기 때문에 페루 공산당과는 사이가 별로 좋지 않았다.[2] 1970년대 당시에 시골과 대학가를 중심으로 활동하였는데 이때는 당시에 무장투쟁을 선포하기는 했지만 그냥 일개 소단체 수준에 불과했다. 하지만 1979년에 군대가 대학생을 향해 총을 발포하는 사건이 일어나면서 군사정부에 대한 반발이 커졌는데 이때 빛나는 길이 세를 조금씩 확장하기 시작했고 1980년 선거때 페루 공산당을 포함한 여타 좌파정당과 단체들이 선거에 참여하기로 결정한데 반해서, 빛나는 길은 선거 참여에 반대하면서 무장반란에 나섰는데 '부르주아 민주주의' 대신 '신민주주의'를 세우는 것을 목표로 하며 프롤레타리아 독재를 통해 그것을 이루고자 했다. 1980년 총선에서 투표함을 태운 것이 첫 무장활동이었지만 이때까지는 페루 언론으로부터 별 조목을 받지 못했다.
[image]
어쨌든 무장투쟁 초기에는 그저 그런 사회주의 단체가운데 하나에 불과했을 뿐이었다. 그러나 페루가 당시 닥쳐온 외채위기로 인해 초인플레이션에 시달렸을 정도로 경제사정이 좋지 않았고, 지방통제력은 급속히 저하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빛나는 길은 안데스 고지대를 무단점거했는데 인민재판을 하는 등 자의적인 방식이었지만 일을 빨리 처리했기 때문에 가난한 농민들과 원주민들을 지지기반 삼아서 세를 급속히 불리기 시작하여 페루의 상당수 영역을 장악하였고, 리마 근교지역에서도 세를 확장했을 정도였다. 한창 세를 떨쳤을 때는 잔학성으로도 악명이 높아서 협조하지 않은 주민들에 대해서 학대나 학살 활동도 벌이기도 했고, 사회주의 단체나 노조라고 해도 빛나는 길에 협조하지 않으면 쏴죽인 경우도 비일비재했다. 물론 정부군도 같이 학살을 했던 것은 마찬가지였기는 했지만. 여하튼 이 과정에서 페루 인프라의 상당수가 파괴되고 7만여명 가량이 사망한것으로 추산된다. 그러나 알베르토 후지모리의 진압책으로 구스만이 1992년에 붙잡히면서 세력이 크게 축소되고 주요 조직원들도 같이 구속되어 감옥에 수감되었으며 지배면적의 대부분을 페루 정부에게 빼았기면서 군소조직이 되었다. 2012년에 빛나는 길 조직이 페루 교사노조의 협조 아래에서 따로 정당을 만들려고 했지만 페루 대법원과 우얀타 우말라 당시 대통령이 이를 저지하면서 무산되었다. 다만 잔류조직들은 현재도 페루 시골지역에서 활동하고 있지만 한창때 페루 국토의 상당수를 차지해서 왠만한 나라들보다도 많은 영역을 통치했던 전성기때에 비하면 동네 조폭 수준이다.
2. 히로시게 아야의 싱글 『光る道』
일본 가수 히로시게 아야의 데뷔 싱글.[3] 뮤직 비디오가 꽤 독특하며, 잔잔한 곡으로 호평을 받았다.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애니메이션 소닉 X의 두 번째 엔딩 곡으로 쓰이면서 유명해졌다.
2.1. 소닉 X에서
뮤직비디오
TV판 엔딩 영상
TV판 39화 엔딩. 에이미가 치즈로 대체되었다.
소닉 X의 세 엔딩곡 중 두 번째 곡이자 가장 많이 쓰인 곡이다. 사용된 에피소드의 개수는 1기 52회 중 14화부터 39화까지 26회, 2기 전체 26회[4] 로 전부 합쳐서 총 52회[5] . 13회씩 쓰인 나머지 두 엔딩 미라이와 T.O.P의 재생 횟수를 합쳐도 이쪽이 두 배나 많다.
곡 내용이 살짝 우울하고 로맨틱해서 그런지, 엔딩 영상에 쓰인 그림도 오프닝과는 분위기가 사뭇 다르다. 점차 밝아져오는 아침해를 고민하는 얼굴로 맞아들이는 소닉과, 왠지 우울한 아침 안개 속에 서 있는 에이미의 슬픈 얼굴을 볼 수 있다.
사실상 소닉 X의 맛있는 부분의 엔딩은 거진 먹었다. 1기에서는 소닉 어드벤처[6] 에서 소닉 어드벤처 2[7] 까지 먹고, 2기에서는 77화와 78화를 포함한 전 에피소드를 먹었다. 직접 보면 노래와 맞물려서 소형 최루탄이 될 수도 있을 정도. 못 먹은 부분은 기껏해야 애니메이션 오리지널 스토리와 소닉 배틀 부분.[8] 특히 46화 엔딩에서 안 나왔다는 점은 좀 아깝다고 여기는 시선도 있다.
여담으로 에이미의 성우 카와타 타에코가 노래도 잘 부르기 때문에 엔딩곡이 공개된 당시에는 에이미가 나오는 엔딩 영상과 맞물려 카와타가 직접 부른 게 아니냐는 사람도 많이 있었다.
2.2. 가사
[1] 1937~. 1992년 생포되었다.[2] 참고로 이 페루 공산당은 빛나는 길이 한창 무장투쟁을 벌였을때 좌파연합의 일원으로 제도권 정치에 참여했고, 대통령 당선자는 못냈지만(알폰소 바랑테스가 1985년 대통령 선거에서 24.7% 득표) 1990년 분열 이전까지는 상당수의 국회의원과 지자체장을 내는데 성공할 정도로 득표도 어느 정도는 나왔던 편이었다.[3] 당시 나이가 '''10세'''였다![4] 53화부터 78화까지.[5] 다만 엔딩 영상 사용 횟수는 49회. 이유는 26화, 77화, 78화가 엔딩 영상 사용에서 제외되었음.[6] 27화부터 32화[7] 33화부터 38화[8] 42화 마지막부터 46화까지가 소닉 배틀의 스토리를 '''부분적으로''' 따라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