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조직론

 

1. 개요
2. 내용
2.1. 실증적 산업조직론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


Industrial Organization (I/O)
기업에 대한 경제이론을 탐구하는 분야.[1] 완전경쟁시장의 가정을 완화시켜 실제 기업활동, 그리고 기업활동으로 인해 나타나는 시장의 형태, 또 공정거래법 등과 관련하여 기업활동을 어떻게 규제해야 할 것인지 등 다양한 연구를 하는 분야다. 미시경제학의 세부 분야 중 하나로, '기업'이라는 경제활동의 주체에 대해 탐구하는 분야인만큼 매우 지분이 높은, 중요한 분야다.[2]

2. 내용


  • 신고전학파 기업 이론
  • 제도학파의 기업 이론
    • 수직결합
  • 혼합조직의 기업 이론
    • 수직제약
  • 불확실성(uncertainty)의 기업 이론
  • 인센티브(Incentive)
    • 주인과 대리인 문제
  • 기업의 도덕적 해이
    • 노동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
    • 자본시장에서의 도덕적 해이
  • 독점경쟁시장과 생산품 차별
    • 공간경쟁모형
      • Hotelling 모형
      • Salop 모형
      • Hay & Schmalensee 모형
    • Lacnaster 모형
  • 독점기업의 가격 차별
    • 1차 가격 차별
    • 2차 가격 차별
    • 3차 가격 차별

2.1. 실증적 산업조직론


Empirical Industrial Organization
기존 산업조직론은 모델을 만들어 기업과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학문이었다. 실증적 산업조직론은 실제로 여러 데이터를 활용해 소비자, 기업 및 각 경제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하고 평가 및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특정 시장에서 데이터를 통해 수요함수를 계량경제학적으로 추정한 뒤 그 결과물이 정말인지 실제 경영을 통해 검증한다.

3. 여담


19대 대선후보였던 유승민 의원은 위스콘신 매디슨에서 산업조직론으로 박사를 받았다. 자세한 내용은 유승민/논문 문서로. 1998년 김대중정부 공정거래위원회에서 자문관제도를 신설하여 공정거래위원회 위원장 자문관에 유승민 한국개발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을 위촉하기도 하였다.
신제도주의 경제학파에서는 거래비용경제학을 다루고 있다.

4. 관련 문서


경제학/교과서
쿠르노 모형
베르트랑 모형
스타켈버그 모형
에지워스 순환

[1] 조직이란 이름이 붙어서 경영학과에서 배우는 경영학의 한 분야인 조직행동론, 인적자원관리와 비슷할거란 착각이 있지만 조직학의 내용은 생각보다 별로 없다.[2] 기업은 생산의 주체이기 때문이다. 생산이 밑바탕이 되어야 경제성장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한 사실. 수요 측면으로 봐도 소비자 수요 예측은 기업활동의 중요한 요소이기도 하므로 어느 정도 산업조직론에서 다루어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