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광계

 


[image]
'''徐光啓'''
'''출생'''
1562년
'''출생지'''
명나라 상하이
'''사망'''
1633년
'''종교'''
'''가톨릭'''(세례명: 바오로[1])
'''사망지'''
명나라 베이징
[image]
넓은 세상을 본 중국 명나라의 관리. 자는 자선(子先). 세례명은 바오로.
군사/문화/종교/서양학 모두에서 활약한 인물로 16세기말~17세기초 당대의 명나라의 엘리트 중에선 거의 먼치킨급이었던 이지조, 양정균과 콤비를 이루었다.
1600년 마테오 리치에게서 새로운 학문을 받아들여 천문학 등 각종 서적을 번역하였다. 기하원본, 측량법의, 측량이동, 구고의등을 번역하고 역법을 배웠다.[2]
천주교 사상을 통해 중국 유학을 보충하고 불교를 바꿀수 있다고 생각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사상을 전개 하였다.
1616년 남경교안 당시 이를 막기위해 상소를 올리기도 하여서 교안을 막지는 못했지만, 연기시키고 천주교의 맥을 잇는데는 성공하게 된다.
또한 홍이포의 위력을 알아보고서 홍이포를 네덜란드로부터 수입할 것을 강력하게 건의, 예수회 선교사 아담 샬과의 인맥을 이용하여 마카오를 통해 30문의 홍이포를 수입해온다. 그 중 11문은 산해관에 설치하였고, 나머지는 수도인 북경성에 설치. 원숭환은 이후 영원성 전투에서 이 홍이포를 이용하여 후금군을 박살냈다.
앞서 1619년 사르후 전투에서 명군은 작전 미스, 기후 불안 등의 2중3중 악재가 겹쳐 철저히 개발살났다. 이를 계기로 서광계는 국방 체계의 개혁을 시도했으나 천계제의 총애를 받는 위충현이 까는 바람에 관직을 집어치웠다. 그런데 영원성에서 단 11문의 홍이포가 활약하며 승리하자 홍이포의 위력이 명과 후금 전체에 알려지면서, 이후 숭정제가 즉위하고서 명은 홍이포의 대량 생산에 들어가는데 그 담당자를 맡는다. 이렇게 아담 샬의 도움을 받아 서광계가 첫 해에만 찍어낸 홍이포의 숫자가 '''무려 400문.'''[3] 2차로 150문을 더 제작하여 성에 배치하고, 함선에도 배치한다. 그 외에도 상하이에 각종 복지 시설을 만들었다.
그리고 이렇게 화포랑 복지 시설을 찍어내다가 1633년에 71세의 나이로 선종한다.[4]
아담 샬을 명나라 조정에 천거해 흠천감 관직을 맡겼다. 후일 아담 샬은 청나라 때에도 계속 활동한다.
상하이 시의 한 구역 쉬자후이(徐家匯)는 그의 집안 사람들이 사는 곳이라는 뜻이다. 쉬후이 구(徐匯區)도 마찬가지이다.
당시 본인도 천주교인으로 유명했지만, 그의 손녀 캔디다도 유명했는데, 남편을 신자로 만든건 물론 전국 선교사마다 금 200냥씩을 나누어주고, 교당 수십여채를 지으며 130여권의 종교서적을 인쇄하는데 돈을 대기도 하며 수주등지에서 부유한 상인들과 공동으로 아동입양사업을 운영하기도 하였다.
1670년 명대 과학자 서광계와 이탈리아 선교사 마테오 리치는 <기하학 원론> 1~6권을 함께 번역하여 <기하원본>이라는 제목을 붙였다.
서광계는 <기하원본>을 극찬하며 이렇게 말했다.

이 책은 네 가지가 불필요하다. 첫째 의심, 둘째 추측, 셋째 검증, 넷째 수정이다.

또한 이 책은 네 가지가 불가능하다. 첫째 벗어나려 해도 벗어날 수 없고, 둘째 반박할 수 도 없으며, 셋째 줄일 수도 없고, 넷째 앞뒤에 덧붙일 수도 없다.

서광계는 <기하학원론>을 완역하고자 했지만 마테오 리치가 1610년에 선종해 뜻을 이루지 못했다.
그는 언제 누가 대업을 이어갈 수 있을지 기다릴 뿐이다, 라고 썼다.
([수학의 역사], 지즈강 지음/ 권수철 옮김/ 더 숲,2015 8쇄판)

[1] 중국어 음차 표기로는 保禄이다.[2] 이 과정에서 기존 중국 별자리 체계에 남반구 별자리 23개를 새로 추가하기도 했다. 또한, geometry를 지허(機何)로 음차해 '기하'라는 단어를 만든 사람이 바로 서광계이다.[3] 비슷한 시기 지방정부에서도 홍이포를 생산하였는데 양광총독부에서만 무려 500문을 생산하였다고 한다.[4] 당시 명나라는 1627년에 바로 이자성의 난(초기시점)이 시작되었고 이 당시 기후적인 문제로 기근과 흉작이 계속 지속되었고 이것은 전 중국으로 휩쓴다. 또한 명청전쟁으로 급증한 군사비 재원을 충당하기위해 3향과 같은 부가세들을 더욱 걷었고 이를 견디다 못한 농민들이 반란을 일으키고 만다. 또 후금은 내몽골을 통해 우회하여 중국 북부지역에 주기적으로 침공해서 엄청난 약탈을 감행했었다. 서광계가 선종할 당시 망국의 조짐들이 곳곳에서 본격적으로 터지고 있을 때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