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용산04
[image]
1. 노선 정보
2. 개요
금양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7.2km다.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용산구 6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신흥기업에서 운행했다.
- 2002년에 시내버스(지역순환버스)로 승격되었고, 번호도 468번으로 바뀌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0016번으로 바뀌었다.
- 2007년경 용산중.고교로 연장할 예정이었지만, 왕복 운행거리가 10km를 넘게 되어 차등요금을 받을 수 없게 되는지라 승객들의 반발이 많았고 결국 연장 하루 전날에 연장은 없던 일이 되었고, 대신 이 노선에서 2대를 감차시켜 8001번 통학맞춤버스를 신설했다.
- 2011년 10월 24일 노선이 금양운수로 양도되었다.
- 2015년부터 안내방송 시스템이 본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
4. 특징
- 공식 기점은 경기여상 앞이지만, 실제로는 서부역(롯데마트 앞)이었다가 공식 기점도 서울서부역으로 당겨졌다.
- 서부역에서 효창동이나 숙대로 가는 수요가 대부분이며, 반대방향도 남영역/숙대입구역에서 숙대로 가는 수요가 어마어마하다. 특히 숙대 앞까지 바로 가기 때문에 숙대생들이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상기한 구간은 거의 숙대 소속 버스 느낌. 대략 2010년쯤 남영역-숙대 구간은 아침 시간에 숙명여대 학생회에서 회비로 직접 통근버스를 몇 대 굴려서 좀 여유가 있었으나, 현재는 그저 부러운 과거의 이야기.
- 중/고등학생들의 하교 시간(오후 4시 전후)에 이 버스를 타게 되면 배문중/고등학교 - 효창공원앞역 구간이 지옥이 된다. 이때는 또 청소년 전용 버스 느낌. 중간에 대한노인회 정류장에서 아주 역간 숨통이 트이고, 효창공원앞역에서 대부분의 학생들이 빠져나간다.
- 엔하/나무위키에서 최초로 작성된 용산구 마을버스 문서다.
- 로드뷰에보면 전쟁기념관뒤에 주차되어있는걸 볼수있다.로드뷰
- 다른 용산구 마을버스와는 다르게 본시스템 안내방송(세종시 등지에서 사용중)을 사용중이다.[4]
- 모 사이트에서 잘생긴 마을버스 기사에게 반한 글이 올라왔었다. 댓글로 용산04에 잘생긴 버스기사가 있다는 제보들이 줄 지어 올라오며, 통칭 '용빈' 이라고 불리기도 한다 함.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 [image] 서울 지하철 1호선: 서울역, 남영역
- [image] 서울 지하철 4호선: 서울역, 숙대입구역
- [image] 서울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
- [image]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서울역, 효창공원앞역
- [image] 인천국제공항철도: 서울역
- 일반 철도역: 서울역(KTX, ITX-새마을, 무궁화, 누리로)
6. 관련 문서
[1] 도서관, 정문, 후문 순으로 운행한다. 즉 숙대입구 - 숙대 교내 구간이 왕복이 아니라 편도다. 그렇지만 그 편도가 (학원을 가거나, 놀러 가거나 해서 하교시에도 바쁠 수 있겠지만 일반적으로는) 시간여유가 보다 있는 하교가 아닌, 빡빡한 오전시간대의 등교구간에 해당하는 것은 다행인 부분.[2] 2009년쯤에는 6654번 출신 코스모스가 예비차로 1대 있었다.[3] 형간전환 직전부터 해서 한동안 6650번출신 5244호 글로벌 900 2004년식 인천중고 차량이 운행했었고, 이후 2013년 하반기에 NEW BS090으로 대차되었다.[4] 2009~2014년에는 용산03번처럼 버스티브이를 썼다. 신흥기업 시절에는 양진텔레콤.[5] 일단, 노선이 겹치는 종로09번, 종로11번, 그 두 노선과 서울역에서 간접적으로 만나는 서대문06번, 용산04번, 약수역에 들어오는 성동05번, 성동07번, 성동12번, 잠깐이나마 신당역으로 오는 성동01번까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