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창운동장
출처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종합운동장. 효창공원 내에 위치해 있다. WK리그에 참가하는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1960년 AFC 아시안컵 개최를 위해 효창운동장 건립 계획이 세워졌는데 위치가 위치다 보니 이런저런 갑론을박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당시 국회의원이던 김두한이 격렬히 반대했다고 전해져 온다.
아무튼 건축은 강행되었고 1960 아시안컵 역시 무난하게 개최해 냈다. 당시 관중석이 만원을 이루어서 관중석 밑 트랙[1] 까지 사람들이 들어찼다는 것을 제외한다면(...) 현재 효창운동장의 좌석은 15,000석 남짓인데, 아시안컵 월남전의 경우에는 무려 3만명이 운집했다고. 그런데 이게 '''정식으로 표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의 숫자'''였고 실제로 경기장 주변으로 몰린 인원은 족히 '''10만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리고 표를 가지고 있던 3만명 조차도 많은 인원은 경기장에 다 들어가지도 못해서, 대 혼란이 일어났다.[2] 경기장을 가 보면 알겠지만 백범김구기념관 쪽 언덕에 올라가면 경기장 전경이 한눈에 다 들어오는데, 경기장에 못 들어가고 여기 언덕에 올라가 관람한 인원이 바글바글 했다니, 그야말로 엄청난 숫자가 몰렸던 셈.
결과적으로 홈그라운드에서 개최된 1960년 AFC 아시안컵에서 한국 대표팀은 이스라엘, 대만, 남베트남을 따돌리고 우승컵을 거머쥐어 2회 연속 우승의 금자탑을 쌓았다.
이후로도 월드컵 예선[3] , 올림픽 예선 등 굵직한 경기를 치르다가 동대문운동장이 국제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리모델링을 마치자 대표팀 경기 등 빅매치들을 넘겨주게 되었고 이후 효창운동장은 국내 경기를 주로 개최하게 되었다. 1974년 이후로는 잔디등의 관리부실로 인한 운동장 표면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가 되었고, 비만 왔다하면 수중전(水中戰)이 되는 상황이 되어, 거의 버려진 상태로 있었고, 1978년 9월29일, 1981년 9월30일, 서울 시내의 서라벌중학교, 서라벌고등학교의 체육대회장으로 대여되기도 했다.
※ 1981년 9월30일의 효창운동장 (서라벌 체육대회 (서라벌중학교, 서라벌고등학교 공동 개최)). 사진에 보이는 전광판은 1960년부터 1982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사진 자체가 희귀자료...
[image]
[image]
[image]
1983년 4월 1일부터 1983년10월 3일까지는 운동장 자체가 폐쇄되어, 그 기간 동안 낡은 시설을 정비, 보수, 일신하고, 리모델링하여 1983년10월 3일, 재 오픈하였다.
2000년대까지도 실업축구, 대학축구 등의 경기는 효창에서 주로 개최되어서 올드 축구팬들에게 효창 하면 아마축구의 성지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효창운동장에서 아마축구 경기가 개최되면 중장년 팬들이 고정적으로 관중석을 채우곤 한다.이런 분들 말이다 지금도 U리그 또는 초중고 축구리그가 열리는 날 효창운동장을 찾아가면 나이 지긋하신 어르신 축구팬들과 함께 경기를 관전할 수 있다.
한때, 1983년 4월 1일~10월 1일에 조성된 인조잔디가 크게 노후화되어 큰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인조잔디는 태클시에 화상의 위험도 컸는데 노후화되자 시멘트 바닥에서 뛰는 것과 다른게 없게 됐기 때문. 그래서 2008년에 노후화된 인조잔디를 걷어내고 새로운 인조잔디를 깔아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조도가 너무 낮고 변압기와 전구 등의 노후화로 폭발 위험이 있어 야간경기를 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 문제는 2017년 10월에 LED 조명이 설치되면서 해결되었다.[4]
본부석에 작은 지붕이 있고, 전광판은 본부석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전광판의 뒷편으로 백범 김구 기념관과 이봉창 의사의 동상이 보인다.[5] 위의 사진에서 경기장 오른쪽 상편에 보이는 흰색 대리석 건물이 백범김구 기념관이다.
경기장 1층에 설렁탕집이 있다. 특이하게도 내부의 문이 경기장과 연결되어 있다.
인근에 숙명여자대학교가 있다.
조명 교체를 했더니 주변 주민들이 밝아서 잠을 못잔다는 민원이 쏟아져 조도를 낮췄다고 하며 서울시청 서포터즈에게는 소음민원이 쏟아지니 응원을 하지마라는 요청을 하는 촌극이 벌어지고있다.
여자축구리그 WK리그의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르고 있다. '''월요일'''+'''오후 4시'''+'''인조잔디'''라는 최악의 3요소와 함께.[6] 그러나 상술한 조명 교체 덕분에 2018시즌부터는 다른 WK리그 팀처럼 효창운동장에서 야간경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내부에 매점이 있으나 경기날 운영되지 않는다. 다행히 효창공원앞역에서 올라오는 길에 GS25와 세븐일레븐이 있다. 또한 경기장 입구에서 왼쪽에 국밥을 파는 식당이 있는데, 식당 안에서 경기장 내부가 보인다.
서울 지하철 6호선 및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에서 하차하면 찾아갈 수 있다. 생각보다 역에서 거리가 제법 된다는 것[7] 을 유념할 것. 오르막길이 있으니 400번, 2016번으로 환승해서 올라가자.
20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기념하여 효창공원의 국립공원화가 본격 추진되면서 효창운동장이 리모델링 될 예정이다. 본래 철거를 하려고 했으나 축구협회 등의 반발로 존치하는 방향으로 게획이 수정된 것이다.
전술한 대로 2005년 참여정부 때부터 철거를 하려고 했다. 당시 국가보훈처는 효창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복원하고자 효창운동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넓은 광장을 조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을 조성하여 관리하려고 하였다. 구장을 없애는 대신 자그마한 소형 잔디구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은 당연히 축구계에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대체 구장을 설치하기 전까지 철거는 절대 안된다고 맞섰다.출처 대체 부지를 찾지 못하자 결국 철거안은 흐지부지된다.
그런데 2018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다시 효창운동장의 철거가 거론되었다. 과거 무산된 독립공원화를 다시 추진한다는 것. 여기에 한술 더 떠 한겨레에서는 효창운동장은 이승만 정권 때 정적으로 여긴 김구를 폄훼할 목적으로 급조되어 만들어진 것이므로 철거가 시급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출처
서울시에서는 효창운동장 철거를 전제로 한 공원조성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출처 2018년 12월에는 효창공원이 국가 관리 묘역으로 지정될 수 있는 법적 방안이 개정되며 국립공원화의 길이 더욱 가까워졌다.기사
2019년 발표된 안에서는 철거 대신 리모델링 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철거를 하려고 했으니 축구계의 반발이 너무 심해서 해당 노선을 철회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의 계획은 효창운동장의 스탠드와 트랙, 조명탑 등을 일부 철거하여 전반적인 형태만 보존하는 것이었으나, 이 역시 축구계의 반대로 보류되고 2020년까지 절충안을 만들어서 리모델링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확정된 리모델링 계획은 효창운동장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존치하고 운동장 지하에 독립역사박물관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1. 개요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위치한 종합운동장. 효창공원 내에 위치해 있다. WK리그에 참가하는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홈구장으로 사용하고 있다.
2. 역사
1960년 AFC 아시안컵 개최를 위해 효창운동장 건립 계획이 세워졌는데 위치가 위치다 보니 이런저런 갑론을박이 많았다고 한다. 특히 당시 국회의원이던 김두한이 격렬히 반대했다고 전해져 온다.
아무튼 건축은 강행되었고 1960 아시안컵 역시 무난하게 개최해 냈다. 당시 관중석이 만원을 이루어서 관중석 밑 트랙[1] 까지 사람들이 들어찼다는 것을 제외한다면(...) 현재 효창운동장의 좌석은 15,000석 남짓인데, 아시안컵 월남전의 경우에는 무려 3만명이 운집했다고. 그런데 이게 '''정식으로 표를 가지고 있었던 사람들의 숫자'''였고 실제로 경기장 주변으로 몰린 인원은 족히 '''10만여명'''에 이르렀다고 한다. 그리고 표를 가지고 있던 3만명 조차도 많은 인원은 경기장에 다 들어가지도 못해서, 대 혼란이 일어났다.[2] 경기장을 가 보면 알겠지만 백범김구기념관 쪽 언덕에 올라가면 경기장 전경이 한눈에 다 들어오는데, 경기장에 못 들어가고 여기 언덕에 올라가 관람한 인원이 바글바글 했다니, 그야말로 엄청난 숫자가 몰렸던 셈.
결과적으로 홈그라운드에서 개최된 1960년 AFC 아시안컵에서 한국 대표팀은 이스라엘, 대만, 남베트남을 따돌리고 우승컵을 거머쥐어 2회 연속 우승의 금자탑을 쌓았다.
이후로도 월드컵 예선[3] , 올림픽 예선 등 굵직한 경기를 치르다가 동대문운동장이 국제경기를 치를 수 있도록 리모델링을 마치자 대표팀 경기 등 빅매치들을 넘겨주게 되었고 이후 효창운동장은 국내 경기를 주로 개최하게 되었다. 1974년 이후로는 잔디등의 관리부실로 인한 운동장 표면이 흙바닥과 같은 상태가 되었고, 비만 왔다하면 수중전(水中戰)이 되는 상황이 되어, 거의 버려진 상태로 있었고, 1978년 9월29일, 1981년 9월30일, 서울 시내의 서라벌중학교, 서라벌고등학교의 체육대회장으로 대여되기도 했다.
※ 1981년 9월30일의 효창운동장 (서라벌 체육대회 (서라벌중학교, 서라벌고등학교 공동 개최)). 사진에 보이는 전광판은 1960년부터 1982년까지 사용된 것으로, 사진 자체가 희귀자료...
[image]
[image]
[image]
1983년 4월 1일부터 1983년10월 3일까지는 운동장 자체가 폐쇄되어, 그 기간 동안 낡은 시설을 정비, 보수, 일신하고, 리모델링하여 1983년10월 3일, 재 오픈하였다.
2000년대까지도 실업축구, 대학축구 등의 경기는 효창에서 주로 개최되어서 올드 축구팬들에게 효창 하면 아마축구의 성지로 이름이 높았다. 그래서인지 아직도 효창운동장에서 아마축구 경기가 개최되면 중장년 팬들이 고정적으로 관중석을 채우곤 한다.이런 분들 말이다 지금도 U리그 또는 초중고 축구리그가 열리는 날 효창운동장을 찾아가면 나이 지긋하신 어르신 축구팬들과 함께 경기를 관전할 수 있다.
한때, 1983년 4월 1일~10월 1일에 조성된 인조잔디가 크게 노후화되어 큰 문제가 된 적이 있었다. 인조잔디는 태클시에 화상의 위험도 컸는데 노후화되자 시멘트 바닥에서 뛰는 것과 다른게 없게 됐기 때문. 그래서 2008년에 노후화된 인조잔디를 걷어내고 새로운 인조잔디를 깔아서 사용하고 있다. 또한 과거에는 조도가 너무 낮고 변압기와 전구 등의 노후화로 폭발 위험이 있어 야간경기를 하기도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이 문제는 2017년 10월에 LED 조명이 설치되면서 해결되었다.[4]
본부석에 작은 지붕이 있고, 전광판은 본부석의 오른쪽에 위치하고 있다. 전광판의 뒷편으로 백범 김구 기념관과 이봉창 의사의 동상이 보인다.[5] 위의 사진에서 경기장 오른쪽 상편에 보이는 흰색 대리석 건물이 백범김구 기념관이다.
경기장 1층에 설렁탕집이 있다. 특이하게도 내부의 문이 경기장과 연결되어 있다.
인근에 숙명여자대학교가 있다.
조명 교체를 했더니 주변 주민들이 밝아서 잠을 못잔다는 민원이 쏟아져 조도를 낮췄다고 하며 서울시청 서포터즈에게는 소음민원이 쏟아지니 응원을 하지마라는 요청을 하는 촌극이 벌어지고있다.
3. WK리그 홈구장
여자축구리그 WK리그의 서울시청 여자 축구단이 이곳에서 홈경기를 치르고 있다. '''월요일'''+'''오후 4시'''+'''인조잔디'''라는 최악의 3요소와 함께.[6] 그러나 상술한 조명 교체 덕분에 2018시즌부터는 다른 WK리그 팀처럼 효창운동장에서 야간경기를 할 수 있게 되었다.
내부에 매점이 있으나 경기날 운영되지 않는다. 다행히 효창공원앞역에서 올라오는 길에 GS25와 세븐일레븐이 있다. 또한 경기장 입구에서 왼쪽에 국밥을 파는 식당이 있는데, 식당 안에서 경기장 내부가 보인다.
4. 교통
서울 지하철 6호선 및 경의중앙선 효창공원앞역에서 하차하면 찾아갈 수 있다. 생각보다 역에서 거리가 제법 된다는 것[7] 을 유념할 것. 오르막길이 있으니 400번, 2016번으로 환승해서 올라가자.
5. 리모델링(예정)
2019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100주년을 기념하여 효창공원의 국립공원화가 본격 추진되면서 효창운동장이 리모델링 될 예정이다. 본래 철거를 하려고 했으나 축구협회 등의 반발로 존치하는 방향으로 게획이 수정된 것이다.
전술한 대로 2005년 참여정부 때부터 철거를 하려고 했다. 당시 국가보훈처는 효창공원의 역사적 가치를 복원하고자 효창운동장을 철거하고 그 자리에 넓은 광장을 조성하여 국가적 차원에서 공원을 조성하여 관리하려고 하였다. 구장을 없애는 대신 자그마한 소형 잔디구장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안은 당연히 축구계에 반발을 불러일으켰고 대체 구장을 설치하기 전까지 철거는 절대 안된다고 맞섰다.출처 대체 부지를 찾지 못하자 결국 철거안은 흐지부지된다.
그런데 2018년 대한민국 임시 정부 수립 100주년을 앞두고 다시 효창운동장의 철거가 거론되었다. 과거 무산된 독립공원화를 다시 추진한다는 것. 여기에 한술 더 떠 한겨레에서는 효창운동장은 이승만 정권 때 정적으로 여긴 김구를 폄훼할 목적으로 급조되어 만들어진 것이므로 철거가 시급하다는 주장을 제기하기도 했다.출처
서울시에서는 효창운동장 철거를 전제로 한 공원조성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져 있고출처 2018년 12월에는 효창공원이 국가 관리 묘역으로 지정될 수 있는 법적 방안이 개정되며 국립공원화의 길이 더욱 가까워졌다.기사
2019년 발표된 안에서는 철거 대신 리모델링 하는 쪽으로 방향이 바뀌었다. 철거를 하려고 했으니 축구계의 반발이 너무 심해서 해당 노선을 철회하기로 한 것이다. 서울시의 계획은 효창운동장의 스탠드와 트랙, 조명탑 등을 일부 철거하여 전반적인 형태만 보존하는 것이었으나, 이 역시 축구계의 반대로 보류되고 2020년까지 절충안을 만들어서 리모델링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확정된 리모델링 계획은 효창운동장의 역사적 가치를 인정하여 존치하고 운동장 지하에 독립역사박물관을 조성한다는 것이다.
6. 여담
[1] 정확히 말하자면 1960년 당시엔 효창운동장에 트랙이 없었다. 일단 아시안컵 개최를 위해 축구경기를 위한 필드만 조성했고, 육상트랙은 그 이후에 깔린 것. 그래서 지금 있는 트랙의 크기를 봐도 정상적인 육상경기 규격의 트랙이 아님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당시 신문기사들을 봐도 효창운동장을 축구전용구장으로 보도하였고 이 때문에 일각에서는 효창운동장을 한국 최초의 축구전용구장으로 칭하기도 한다.[2] 당시에 당연히 전산발권 따위가 있을 리 없었기 때문에, 표를 적당히 팔아재끼다 보니 발생한 사태였다.[3] 1962년 FIFA 월드컵 예선 2경기가 여기서 열렸다. 한 경기는 일본과의 아시아 지역 경기(2:1 승리), 나머지는 유고슬라비아와의 대륙별 플레이오프(1:3 패배).[4] 이 때 전광판도 같이 교체했다.[5] 이봉창 의사는 용산이 고향이며, 효창공원 내부에 묘소가 있다.[6] 서울종합운동장 보조경기장 역시 홈구장이긴 하나, 행사가 1년 내내 치루어지는 곳이라 효창에서 더 많은 경기를 한다. 가끔 노원마들스타디움에서 야간 홈경기를 치르기도 했다.[7] 약 500m 정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