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다 가이치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안장자'''
'''소다 가이치
曾田 嘉伊智 | Gaichi Soda'''

'''출생'''
1867년 10월 20일
[image] 일본 야마구치현 소네무라스미다 마을
'''사망'''
1962년 3월 28일 (94세)
[image]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국적'''
[image] 일본
'''묘소'''
서울특별시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
'''직업'''
선교사, 교사
'''종교'''
개신교 감리회
1. 개요
2. 생애
2.1. 일제강점기
2.2. 해방 이후
3. 관련 문서
4. 참조

[clearfix]

1. 개요


후세 다쓰지와 더불어 일제강점기의 가장 양심적인 일본인 중 한 명.

2. 생애



2.1. 일제강점기


야마구치 현 소네무라 출생. 아이러니하게도 그의 고향인 야마구치 현은 일본의 메이지 유신을 이끈 유신 인사들과 정한론 지사들이 많이 배출된 곳이기도 하다.
본디 초등학교 교사 였으나 이후 대만에 있는 한 독일계 공장에 취직하였다. 그러나 이 당시 그는 불안정한 생활 때문에 과한 음주를 하는 경우가 잦았는데, 만취한 상태에서 한 조선인이 여관에 식비와 숙박비까지 마련해 주자, 그 은혜를 갚기 위해 1905년부터 조선에서 교육활동을 하게 되었다. 이후 독립운동가 월남 이상재선생의 전도크리스천이 된다. 이후 YMCA의 일본어 교사로 활동하다가 감리회 전도사로 활동하였다.
자신의 조국은인의 나라를 지배하게 되자 일본 군국주의에 반대해 '''105인 사건, 3.1운동 당시의 조선인 지도자들을 석방할 것을 요구하며 데라우치 마사타케 총독과 일본 대법원장 등에게 항의한 바도 있다'''. 이후 기독교인인 우메노 다키 여사와 용산구 후암동에 가마쿠라보육원(현 영락보린원)이라는 고아원을 차려 '''1000명 이상'''의 조선인 고아들[1]을 돌본다. 이때 자기가 돌보던 고아들 중에 독립운동을 하다 끌려가는 인물들도 많았다. 때문에 다른 일본인들에게 비국민 취급을 받았으리라 추측.

2.2. 해방 이후


해방후 한반도를 점령한 소련군이 히키아게샤들을 성폭행하는 것을 막았으며[2] 이후 1947년에 일본에 귀환하여 한 손에 성경 ,한 손에는 세계 평화 팻말을 들며 '''일본의 전쟁 범죄를 회개하고 사과할 것을 촉구한다.''' 이후 1961년에 한국으로 돌아와 일본인 처음으로 문화 훈장을 받는다.
1962년에 영락보린원에서 향년 95세를 일기로 세상을 떠났으며, 사후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안장되었다. 그는 양화진에 안장된 유일한 일본인이기도 하다. 아내인 우에노 다키 여사는 1947년 소다의 일본행에 함께하지 않고 영락보린원에서 계속 아이들을 계속 돌보다 1950년 1월에 세상을 떠나 양화진에 안장되어 있었기 때문에, 소다 가이치의 사후 부부가 합장되었다. 다키 여사는 세상을 떠나자, 일본인인데도 불구하고 사회부장관(현재의 보건복지부장관)이 장례위원장이 되어 사회장을 치른 것으로 보아, 한국인들 사이에서도 평이 나쁘지 않았던 모양이다.
영락 보린원의 홈페이지에 나온 연혁에는 소다 가이치의 이름이 존재하지 않아 의구심을 자아내고 있다. 이는 영락보린원이 1939년에 이미 설립되었고 1947년 '가마쿠라 보육원을 인수'하였다고 기술하였기 때문에 굳이 소다의 이름을 쓸 필요가 없었다고 판단된다.

3. 관련 문서



4. 참조


#

[1] 독립운동가의 아이들도 포함됐을 가능성이 높다.[2] 일제 시대 당시 조선 등 외국에 있었던 일본인들, 물론 제국주의의 잠재적 협력자로 볼 수 있지만, 민간인을 성폭행하는 것이 결코 옳은 것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