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모

 

1. 개요
2. 외숙모
3. 당숙모
4. 기타


1. 개요


'''백모(伯母)'''와 '''숙모(叔母)'''
아버지의 남자 형제의 배우자.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삼촌의 배우자'''이다. 촌수로 따지면 3촌이다.[1] 현대 한국어에서는 잘 쓰이지 않는 말이기 때문에 사용에 혼동이 있는데, 백모는 '큰어머니/큰엄마'를, 숙모는 '작은어머니/작은엄마'를 나타내는 것이다. 큰아버지가 백부伯父, 작은아버지가 숙부叔父인 것과 같다.
마블 코믹스메이 숙모가 잘못 쓰이는 대표적인 예인데, 메이 파커는 피터의 아버지의 형의 부인이므로 '메이 백모'라고 해야 옳다. 또한 일본에서는 아줌마와 숙모가 같은 발음인지라 이로 인한 일들도 벌어진다고 한다.
참고로 막내 숙모의 경우 계모(季母)라 칭하기도 하지만 용례는 극히 적다.

2. 외숙모


'''외백모(外伯母)'''와 '''외숙모(外叔母)'''
어머니의 남자 형제의 배우자. 즉,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외삼촌의 배우자'''이다. 역시 촌수로 3촌 관계이다. 현대 한국어의 가족 호칭에서는 구분하지 않고 '''외숙모'''로 쓰지만 위의 백모/숙모와 마찬가지로 엄밀히 말하면 외백모(큰삼촌의 배우자), 외숙모(작은삼촌의 배우자)로 구분해야 한다.

3. 당숙모


'''당숙모(堂叔母)'''
아버지의 사촌 형제의 배우자. 본인을 기준으로 해서는 '''당숙의 배우자'''이다. 촌수로 따지면 5촌이다. 핵가족이 보편화된 오늘날에는 명절에도 만나는 경우가 거의 없다. 어머니의 사촌 형제의 배우자는 '''외당숙모'''라고 쓴다.

4. 기타


19금 각종 매체에서 불순하게 활용된다. 형수에 비하면 다루는 경우는 별로인 듯 하지만 소재에서는 처형과 함께 나름대로 단골.
[1] 왜냐하면 결혼을 통해 맺어진 관계에는 촌수를 따지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삼촌과 나의 촌수와 같을 수밖에 없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