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티븐 제이 굴드
Stephen Jay Gould
(1941년 9월 10일 ~ 2002년 5월 20일)
[image]
1. 개요
미국의 고생물학자이자 진화생물학자. 여러 면에서 리처드 도킨스(동갑으로 굴드가 6개월 어리다.)와 대척점에 서 있던 학자이며, 생전에 많은 비판과 진화론에 관한 논쟁을 가졌다. 물론 어디까지나 같은 진화론적 입장에서. 학문적 성취도 뛰어나지만 대중을 상대로 한 저술 활동으로 훨씬 유명하다는 점에서 도킨스와 비슷하다.
오랫동안 동료이자 경쟁자였던 도킨스는 굴드 사후 굴드를 “뻔뻔하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도 도킨스는 굴드가 미친 영향은 나쁜 것보다 좋은 쪽으로 기울어 있으며, 자신은 굴드가 그리울 것이라고 회고했고, 굴드가 언제나 '''선배나 선생'''처럼 느껴졌다고 했다. 한편, 닐스 엘드리지는 굴드가 죽었을 때 "형님을 잃었다”며 애통해했다. 본인이 직접 카메오로 목소리 출연했던 심슨 가족에서는 S13E22 말미에 에피소드 방영 당시 별세한 고인을 추모하는 메시지를 넣기도 했다.
참고로 강의 도중 어떤 학생과 라틴어로 10분이 넘게 문답을 주고받은 적이 있다고 한다. 근데 굴드는 그렇다치고 라틴어로 10분이 넘게 이야기를 끈 그 학생도 대단하다... 당시 수강생이었던 최재천 교수는 굴드와 그 학생이 자기들만 알아듣는 말로 시간을 끄는데 화가 나서 강의실을 박차고 나갔고, 굴드는 다시는 오지 말라고 고래고래 소리를 쳤다고 한다. 참고로 최재천 교수는 어느 강의에서 굴드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고 깐 적이 있다. 자기만 잘난 줄 아는 사람이라 같이 있으면 유쾌하지 않다나.
2. 업적
그의 대표적인 업적으로는 단속평형설을 제창한 것이 있다. 72년 엘드리지와 함께 발표한 이 이론은 생물의 진화가 불연속적으로 이루어진다는 주장으로 기존의 점진적 진화와 대치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여기에서 '''당부하고 싶은 건, 불연속적이라고 해서 애를 낳아보니 다른 종이더라 따위의 한 세대 차이가 절대 아니라는 것'''이다.[1] 어디까지나 기존 주장(점진론)에 비해서 불연속적이라는 것이지, '''실제로는 몇 만 년의 장구한 과정이다.''' 창조설자들은 종종 이를 왜곡하여 굴드가 진화를 부정했다는 식으로 몰아간다. 기존의 점진론과 단속평형설의 주장에 대해서는 진화생물학과 미싱링크 문서에 나와 있다. 점진론과 단속평형설이 갈라지게 된 계기 중 하나가 화석의 미싱링크에 대한 해석의 차이이기 때문이다.
단속평형설에서 주장하는 변화기는 병목 현상이나 창시자 효과 등의 sampling effect에서 온다. 즉 집단의 일부가 떨어져 나가면서 모집단과의 유전자 조성이 크게 달라질 때 진화가 촉발된다. 평상시에는 돌연변이가 일어나도 모집단에 미치는 효과가 미미하기 때문에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또한 굴드는 자연 선택이 끼치는 영향에 대해서 회의적인 편이었다. 그의 사상을 대표하는 명언으로 '만일 생물의 역사가 테이프로 되어 있어서, 테이프를 수십 억 년 뒤로 되감은 뒤 다시 재생한다면 생태계가 지금과 똑같을 것인가?'라는 '생명 테이프' 질문이 있다. 기존의 주장 - 적응을 통한 변화의 누적 - 은 국지적인 부분을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고, 생태계 대부분은 우연의 산물이라는 것.
이 같은 생각의 연장으로 도입한 것이 '''삼각소간'''(스팬드렐, spandrel)이라는 개념이다. 삼각소간은 건축학 용어로 아치들 사이의 삼각형 구조를 얘기하는데, 그 자체는 미적인 용도로 자주 활용되었지만 실제로는 아치를 늘어세우다 보니 만들어진 부수적인 공간에 불과하다. 생물도 마찬가지로 어떤 기관이 가지고 있는 기능이 반드시 자연 선택을 통해 선정되었다고는 말할 수 없다.
특히 굴드는 진화를 진보의 영역으로 바라보는 관점, 다시 말해 '''진화 = 복잡성'''으로 여기는 일을 대단히 경계했다.[2] 진화한 생명체들이 더 복잡한 구조를 갖게 된 이유는 단순히 '''가장 단순한 구조에서 출발'''했기 때문에 그 전체적인 스펙트럼이 넓어진 것뿐인 것이다. 사실 지구상에서 차지하는 질량이나 종 분화로 봤을 때 가장 성공적으로 정착한 생물은 박테리아로, 가장 단순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때문에 그는 대표적인 진화의 산물인 '지성'도 과대평가된 우연에 지나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앞서 말했듯이 굴드는 대중저술로 유명했는데, 진화학적 개념을 쉬운 말로 전달하는 데 탁월한 능력을 보였다. 생전에 정력적으로 칼럼을 연재했으며, 대부분이 책으로 묶여 팔렸다. 대표작으로 풀하우스, '판다의 엄지', '생명, 그 경이로움에 대하여' 등이 있다. 그 중 그의 사상을 가장 잘 대표하는 책은 '풀하우스'로, 도킨스의 대표작 이기적 유전자에 비견될 만 하다. 관심있는 사람은 꼭 한 번 읽어보도록 하자.
또한 NOMA라는 개념을 주장하고, 종교와 과학의 영역이 겹치지 않는다고 주장하였다. 이 부분은 해당 문서를 참고할 것.
3. 비판
지나친 상대주의 내지 탈실증주의에 매몰되어 동료 과학자들을 부당하게 비난했다는 비판이 있다.[3]
굴드와 리처드 르원틴은 마르크스주의를 생물학계로 끌고 들어오려고 했고, IQ 관련 연구와 진화심리학에 반감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특히 에드워드 O. 윌슨[4] 은 <사회생물학>을 통해 인간이 보이는 행동 양태가 다른 생물과 그다지 차이 나지 않고 그 중 상당 부분이 유전자 레벨에서 좌우된다는 주장으로 굴드의 심기를 건드렸다. 윌슨의 이러한 주장은 항목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당대의 인문·사회학자들의 반발을 불러왔으나 현재에는 널리 인정 받고 있는 상황.
굴드는 이를 결정론적 사고로 규정하고, 우생학 내지 차별주의자라고 비난했다. 스티븐 핑커의 글에 따르면 시위자들이 하버드대학에 전단을 뿌리고, 비판 토론회를 열고, 강의실을 습격해서 해고를 요구했고, '가부장제의 우파 선지자'라고 비난하는 한편, 인종주의자 내지 학살죄혐의자로 주장하고, 학회 연설 도중에 물세례를 퍼붓기도 했다고...
굴드는 미국자연사박물관에서 발간하는 <네츄럴히스토리>를 이용해 에드워드 윌슨, 리처드 도킨스 등 '유전자 결정론자'들의 해악을 폭로하는 데에 27년을 소모했다. 이에 대한 존 메이너드 스미스의 평가는 대략 "굴드가 에세이를 잘 써서 비전문가들은 굴드를 중요한 진화학자로 여기게 되었는데, 진화생물학자들은 별로 그렇게 생각하지 않는다. 그러나 굴드가 창조론 반대의 선두에 서있다는 점 때문에 동료 과학자들이 굴드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기를 꺼린다" 정도.
간단히 정리하자면, 종교가 과학에 개입해서는 안된다는 주장을 하면서 동시에 자신은 정치적 입장을 과학에 과도하게 개입시키는 우를 범했다는 점에서 비판이 있다.
4. 야구광
엄청난 야빠다. 생물학 대신 수학, 통계학, 물리학 같은거 공부했더라면 세이버매트릭스 등을 통해 야구계에 큰 기여를 했을지도 모르는 양반. 풀하우스에서는 아예 한 챕터를 들여 '''메이저리그 타자들이 마의 4할을 넘지 못하는 이유'''를 설득력 있게 전개했다. '''진화론 책에서.''' 통계학적으로 똑같은 원리라고는 하지만 참.. 장대익 교수는 "좋은 책이지만 야구를 모르는 사람한테는 비추"라고 평가했다. 리처드 도킨스는 서평[5][6] 에서 책 전체에 대해선 진화론에 대해 잘 설명하는 책이라고 호평했지만, '진화론 설명할 땐 점잖은 양반이 야구 이야기만 나오면 왜 이래?'란 말을 덧붙이며 핀잔을 줬다. 이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풀하우스에 등장한 이 야구와 진화론의 관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풀하우스 해당 문서에 나와 있다.무슨 알아먹지도 못할 야구 이야기가 이렇게 길어? (내가 영국인이니) 크리켓 이야기 주욱 늘어놓으면 댁은 이해할 수 있을 것 같수?[7]
여담으로 야구/기원을 두고 엉터리 조작을 한 더블데이 기원설을 두고 믿지 않았고 이걸 믿는 메이저리그와 미국 야구계를 깠다. 공교롭게도 그가 죽은 뒤에야 메이저리그와 명예의 전당은 애브너 더블데이 기원설의 조작을 인정하고 수정했다.
[1] 사실 '''낳아보니 다른 종'''인 경우가 있기는 하다. 식물의 생식 과정에서 염색체 비분리가 일어나 배수체가 되는 경우로, 밀이나 보리 등의 분화는 모두 이런 과정을 거쳤다.[2] 물론 굴드만이 아니라 다른 생물학자들, 적어도 진화에 대해서 제대로 이해한 학자들은 진화를 진보라고 여기지는 않는다.[3] 이하의 내용은 스켑틱(국내판 기준 vol.15)에 게재된 마크 드팬의 칼럼을 근거로 함.[4] 국내에서는 최재천의 스승으로 유명하며, 통섭의 개념을 처음 주창하기도 했다[5] '악마의 사도'에 수록되어 있다. 서평의 제목은 '인간의 우월주의와 진화적 진보'.[6] 리처드 도킨스는 굴드 생전의 좋은 적수이자 라이벌이었다.[7] 월드 베이스볼 클래식 문서를 보면 축구로 유명한 유럽 국가들도 야구경기를 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지만, 크리켓은 미국에서는 하지 않는다. 크리켓의 인기가 야구로 완전히 대체되었기 때문. 따라서 영국인이 외국인에게 크리켓 이야기를 한다는 것은 미국인이 외국인에게 미식축구 이야기를 주욱 늘어놓는 것과 비슷한 파급력이다. 야구는 유럽에서도 즐기므로 사실상 약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