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석호

 

1. 역사학자
2. 정신과 의사


1. 역사학자




申奭鎬
일본식 성명 : 寺谷修三
1904년(고종 41) 음력 1월 22일 ~ 1981년 2월 13일
한국 초기 역사학의 대부. 본관은 아주(鵝州)#, 호는 치암(痴菴). 환빠들이 매우 싫어한다.
1904년 경상북도 봉화군 내성면(현 봉화읍) 유곡리에서 신세기(申世基)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7살 무렵 겸산(兼山) 홍치유(洪致裕)[1]의 문하에서 10년간 한학을 수학하였다.
1918년 4월 고향의 봉화공립보통학교에 입학하여 재학하다가 1919년 3.1 운동에 관련하여 그해 6월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갔다. 이듬해인 1920년 4월 세이소쿠(正則)영어학교에 입학하여 1921년 3월까지 수학했다. 귀국 후 1921년 4월 중동학교에 입학하여 졸업하고, 1924년 4월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에 입학, 1926년 3월 수료하였다. 그해 4월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사학과에 입학하여 1929년 3월 졸업하였다.
졸업하자마자 그는 조선사편수회에 들어가 촉탁으로서 근무를 시작하였다. 1930년 5월 수사관보(修史官補)에 임명되었으며, 1937년 9월 수사관(修史官)으로 승진하여 해방될 때까지 근무하였다. 이때 그는 《조선사》 제4편 〈조선시대 전기〉의 편찬과 《조선사료총간》을 편찬, 간행을 담당하는 한편, 청구학회 편집위원 및 진단학회 발기인으로 참여해 활동하기도 했다.
해방 직후, 조선총독부가 조선사편수회에 보관하고 있던 《일본공사관기록》을 촬영한 사진 원판 44,000여 매와 이를 인화한 사진첩 400여 권 가운데 사진첩을 소각한 후 원판마저도 소각하려 하자, 조선사편수회에서 함께 근무한 김건태 등과 함께 원판을 중추원 서고로 옮겨 사료를 보존하였다.
1946년 고려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로 임용되어 1966년까지 재직하였으며, 1951년부터 1957년까지 성균관대학교 문리과대학 교수를 겸임하기도 하였다. 학술원 부회장, 한국사학회 이사장, 혁명재판사편찬위원회 위원, 국가재건최고회의 한국군사혁명사편찬위원회 고문, 국사편찬위원회 사무국장, 민족문화추진회 이사ㆍ감사, 성균관대학교 문과대학장ㆍ고문, 한국사연구회 회장, 중동학원 이사, 영남대학교 교수ㆍ대학원장 등을 역임하였다.
1963년에 대한민국 문화훈장(대통령장)을 받았다.
조선총독부 직속기구로 식민사학을 집대성하는 역할을 한 조선사편수회에서의 행적으로 말미암아 친일인명사전 교육학술 부문에 등재되었다.


2. 정신과 의사


소아 정신과 특히 '''아스퍼거 분야 권위자.''' 가톨릭대 의대 출신. 강남 개포동에서 신석호 소아 청소년 정신과를 운영하고 있다. 정신과 전문의이자 박사, 대한자폐스펙트럼연구회 회장이다. 임상 경험이 엄청나며 외국에서 수련을 받았다. 자폐 관련 서적을 두어 권 펴 냈다. 네이버에서 이 사람 이름으로 검색해 보면 자폐 또는 그에 준하는 장애 내지 질병을 겪는 자녀를 둔 어머니들의 글이 엄청나게 뜬다. 상담을 위해 네이버에 카페를 운영하고 있다. #

[1] 성리학자, 자(字)는 응원(應遠). 퇴계학파 권상익의 문인이다. 을사의병 당시 의병장 이강년의 휘하에서 종사관으로 활동한 경험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