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스파르

 

1. 동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정치가
1.1. 개요
1.2. 생애


1. 동로마 제국의 장군이자 정치가



1.1. 개요


'''Aspar'''(c. 400 – 471)
로마식 이름은 플라비우스 아르다부르 아스파르(Flavius Ardabur Aspar). 동로마 제국의 장군(magister militum)이자 귀족.
이 인물을 간단히 정리하자면, '''동로마의 스틸리코, 또는 아이티우스'''라고 할 수 있다. 스틸리코처럼 비운의 충신[1] 이미지도 없고, 아이티우스처럼 화려한 결전을 벌인 기록도 없어서 상대적으로 덜 알려져 있지만 그가 휘두른 권력의 크기나 집권 기간은 10년 남짓 통치한 데 불과한 스틸리코나 아슬아슬하게 줄타기를 이어가야 했던 아이티우스 '''이상이다.''' 거의 50년 가까이 그의 일족이 동로마 제국의 실권을 장악하고 있었으며, 자기 손으로 황제를 두번 옹립했고, 결국 실패했지만 막판에는 자기 아들을 황제로 옹립하려 했으니 실로 엄청난 권신.
5세기 활약한 로마 군인들 대부분이 그렇듯이, 이민족인 알란족출신으로 그 이름은 알란어로 '말의 주인', 또는 '기수'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1.2. 생애


테오도시우스 2세를 섬기던 알란족 군사령관 아르다부르의 아들로, 서기 424년에 부친과 함께 서로마 제국의 어린 황제 발렌티니아누스 3세와 그 모후 갈라 플라키디아를 도와, 서로마 제국의 제위를 참칭한 황제 요한네스를 공격하는 원정을 지휘했다.
이때 서로마 제국을 도와준 것이 인연이 되었는지, 아스파르는 이후에도 서로마 제국의 내정에 종종 간섭했는데, 특히 반달족이 북아프리카를 공격하여 차지한 뒤에는 반달 왕 가이세리크와의 화평교섭에 자신이 나서기도 했다. 군사와 외교 분야에서 실적을 착실히 쌓았던 듯, 434년 무렵에는 집정관을 지내기도 했고, 테오도시우스 2세 사후에는 황제 후보로 이름이 오르내리기도 했다. 하지만 후술할 이유로 제약이 걸려 본인이 황제가 되지는 못했고, 대신 자신과 함께 활동했던 유력한 장군인 마르키아누스를 황제로 옹립했다. 마르키아누스 황제는 그때까지 유화책 일변도이던 대훈족 정책을 바꿔서, 아틸라를 서로마 제국 방면으로 밀어내는 등, 상당히 적극적인 정책을 썼던 군인 황제였는데, 아스파르가 이에 차지한 역할도 적지 않았다.
457년에 마르키아누스가 숨지자, 다시 그와 그의 아들을 제위에 옹립하려는 움직임이 있었는데[2], 이때도 아리우스파 기독교도와[3] 알란족 출신이라는[4] 출신성분이 문제된 듯, 아스파르는 그의 휘하 부대장 중 한 사람이었던 레오를 옹립하는 것으로 제위 계승분쟁을 마무리짓는다. 원래 마르키아누스 황제의 사위였던 안테미우스가 유력한 제위계승자였지만, 이 사람은 대신 이후 서로마 제국의 황제가 된다.
이렇듯 아스파르는 황제들을 조종해가며 470년까지 권세를 누렸는데, 470년 무렵에는 이사우리아 출신의 무장인 제노와의 권력분쟁에 휘말렸다. 이 무렵 아스파르는 제위를 손에 넣으려 했는지, 그의 아들 율리우스 파트리키우스를 레오 1세의 딸과 혼인토록 하고, 부제(副帝 ; caesar)로 옹립하려 했지만, 471년에 일어난 궁정 분쟁으로 인해 아스파르는 물론이고 그 아들들도 모두 살해되었다[5].
끝은 좋지 않았지만, 어쨌든 50년 가까이 제국을 손에 쥐고 흔든 권신답게 그 뒤에 남긴 영향도 적지 않다. 동고트 왕국을 세우게 되는 테오도리크 대왕이 그의 처조카에 해당되는 바, 동로마 궁정에서 성장했던 테오도리크는 그의 제자나 다름없는 인물이었고, 이후 동로마 제국의 권신, 그리고 이탈리아 반도의 군주로까지 성장하게 된다.

2. 프린세스 메이커 5의 왕자




[1] 탁고받았고, 테오도시우스의 실제로는 조카딸이자 양녀로 입양한 딸과 결혼했기에 (조카)사위로 혈연도 있으며, 지휘력도 대단했기에 얼마든지 호노리우스를 뒤집어 엎을 수 있었는데도, 호노리우스가 죽으라고 하니까 순순히 죽었다.[2] Byzantine Senate(동로마(콘스탄티노플) 원로원)의 링크된 해당 문단에 의하면 원로원 의원들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3] 이것만은 아닌 것이, 몇 십년 뒤의 아나스타시우스 1세 또한 비정통인 단성론자였기 때문이다.[4] 이민족 혈통 때문인 것은 당연히 아니다. 이미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필두로 수많은 비 라틴 혈통이 황제가 되어 온 지 오래였기 때문이다. 그게 아니라 부족장 출신으로 귀화(?)한 1세대였기 때문이다. 오늘날의 미국을 생각하면 쉬운데, '''아놀드 슈워제네거'''도 '''본인이 오스트리아에서 이민온 1세대'''라서, 주지사는 역임했지만, '''태어날 당시부터''' 시민권이 주어진 미국인이어야만 대통령 피선거권을 인정하는 미국 헌법상 본인이 대통령은 될 수 없는 처지다.[5] 그러나 아들 중 파트리키우스는 부상을 입고 살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