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충
楊國忠
(? ~ 756년)
1. 개요
당조의 간신이자 무관이다. 본명은 양소(楊釗)[1] 이고, 산서성 예성(芮城) 사람이다. 당시,현종의 총애를 받던 양옥환과 같은 증조부를 가진 6촌 당형이다. 양옥환을 등에 업어 당현종에게 중용되었다. 환관 고력사와 결탁해 환관 정치를 이루었다. 안사의 난때 난병들에게 처형당했다.
2. 생애
측천무후의 충신 장역지의 사위로 학문에 자질이 없었고 자신의 이익을 꾀하는데에 밝았다. 그는 젊어서 군인에 종사하였다. 그러다가 검남절도사 장구겸경이 요좌로 입경하자 현종은 양소를 감찰어사(監察御史)에 임명했다. 왕홍(王鉷)을 모함해 관직에서 몰아내고 그를 대신해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고, 경조윤(京兆尹)을 겸했다. 750년, 양옥환이 귀비가 되자 현종은 양소에게 `국충`이란 이름을 하사했다.
양국충은 이임보와 연합하여 세족(世族)[2] 을 정계에서 몰아내었다. 이에 양국충은 현종에게 신임을 얻게되고, 이후 이림보와 암묵적인 대립을 이루었다.
752년, 당나라의 실질적인 1인자로 군림했던 이림보가 사망하자 양국충은 뇌물로 인사를 문란시키고, 정계에서 자신의 세력을 키워나갔다. 또한 우상에 올라 문부상서를 겸하여 관직 40여개를 독점했다. 의기양양한 양국충은 선우중통(鮮于仲通)을 천거해 익주장사로 삼고 군사를 내어주어 남조를 공격했다. 그러나, 6만 여명의 당군이 괴멸당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754년, 양국충은 또 다시 이복(李宓)에게 군사를 내주어 남조를 공격하게 하나 대패함으로써 천보전쟁에서 당군은 약 20만 명의 군사를 잃게되었다.[3] 그럼에도 양국충은 이 사실을 현종에게 알리지 않았다. 그는 오로지 관직을 독점해 사리사욕을 채우고, 뇌물로 조정을 전횡하는데에 골몰하였다.
이후 양국충은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킬 것이라는 모함을 하다가 755년, 안록산은 하북에서 난을 일으켰다. 안록산은 측간 양국충 제거를 명분으로 삼고 장안으로 진격했다. 이에 양국충은 안이하게 생각했다. 조정회의에서 그는 곧 안록산의 수급이 장안으로 도착할 것이라고 하며 낙관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낙양에서의 방어작전이 실패하고 동관마저 뚫리자 양국충은 위험을 느낀다. 그는 현종에게 촉으로 피난 갈 것을 요청해 이를 승낙받고 장안을 버려 현종과 함께 촉으로 피란을 갔다. 가는 도중 마외역에서 보급품 문제로 비난을 받다가 결국, 난병들이 들고 일어나 양국충을 죽여 사지를 가르고 그의 머리를 잘라 마외역 문 밖에 내다 걸었다. 이 사태의 여파로 어사대부 위방진, 양귀비와 그녀의 언니들인 한국 부인과 진국 부인도 죽었다.
3. 평가
두 말할 나위도 없이 천하의 개쌍놈이다. 백성들의 재물을 수탈하며, 위에서 상술했듯이 자기에게 이익이 되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았다. 안록산이 반란을 일으키는데에 시간을 앞당긴 사람이며, 안사의 난으로 당조가 쇠퇴하였다. 특히 두보가 이 안사의 난 시절까지 당대를 살던 인물이기 때문에 그 개망나니같은 행적(...)이 당대 최고의 문인의 작품에 그대로 박제되어 오늘날까지 전해지고 있다.
4. 대중 매체
사극 대당영요에서도 주요 등장인물로 나오는데 주인공 광평왕과 여주 심진주에게는 만악의 근원[4] 이지만 사람보는 눈은 확실해서 현종과 황태자 이형과 광평왕에게 '''폐하 전하 록산이는 역모할 관상입니다.'''라고 자주 고하고 함정에 빠트리고 하는등 안녹산을 제거하려고 노력하고 여기에 광평왕도 안록산이 보통이 아니라는것을 알고 '''간신 양국충'''과 함께 안록산과 관련해서는 일시적으로 힘을 합치지만 현종의 '''신임'''으로 무위로 되거나 안록산이 스스로 나서서 '''의심'''을 벗는듯 하다가 최종소환 할때 결국 사건이 일어나고 이후 마외파에서 주인공 광평왕이 자신과 가족을 지속적으로 모함하고 심씨가문과 심진주의 원수를 갚으려 결국 교살당하고 결국 심상찮게 미친 자신의 딸 광평왕비를 제외하면 멸문지화를 당하는데 죽기전에 광평왕에게 자신은 심씨가문 몰살과는 관련이 없으며 지금까지 과정을 보면 너와 내가 누군가에게 이용당했다고 말하고 광평왕에게 교살당하는데 시즌2에서 그것이 사실이었다는 것이 밝혀진다.대당영요:사라진 황후
[1] 양쇠가 아니다! 자세한 내용은 釗 문서 참조.[2] 남북조시대의 상층 계급을 말한다. 가계와 문벌을 중하게 여기고 정권을 독차지하였으나 당나라 이후에 쇠망했다.[3] 이로 말미암아 남조가 반당정책으로 당을 배척하고 토번과 연합하는 초유의 사태를 초래하였다.[4] 간신인 것도 있으면서 독고가문 연계된것과 함께 영향력증대 등으로 광평왕의 부친인 황태자를 내치려고 해서 적대적이라고 보면되고 그러면서도 자신의 딸을 광평왕비로 들이면서 양귀비와 같이 황실의 겹사돈이 되려고 하며 이 선발대회때 딸이 한성깔하면서 그장면을 현종과 양귀비가 목격하고 고생하다가 결국 왕비가 되지만 심진주도 같이 부인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