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사대

 

1. 어사대(御史臺)
2. 중국의 어사대
3. 한국의 어사대


1. 어사대(御史臺)


진나라~명나라 중국과 고려에 있었던 감찰기구. 현대의 감사원에 해당된다.

2. 중국의 어사대


시황제가 중국을 통일하면서 가장 높은 벼슬인 삼공(三公)에 어사대부(御史大夫)를 넣고 어사대부의 기관을 어사부(御史府)라고 부르며 전한도 답습하였다.
그러나 한무제부터 삼공을 나가리로 만들면서 어사대부도 벼슬 이름이 사공(司空)으로 바뀌면서[1] 위상이 흔들렸다.
그러다가 양나라북위에서 어사부를 어사대로 바꾸어 불렀다.[2] 당나라 삼성육부제가 성립되면서 어사대는 삼성에 들지 않는 특수기관이 되었다.
명나라 홍무제 시기 어사대를 도찰원(都察院)으로 확대 개칭하고 어사대란 이름은 사라졌다. 홍무제의 공포정치의 일환으로 황제가 직속으로 감찰권을 장악하고자 하였고 전국에 감찰어사를 파견하여 지방을 감시하였다. 도찰원은 청나라 시기에도 이어진다. 도찰원의 장관은 정2품 도어사[3]로, 명나라 시기 육부상서와 같은 품계였다.
어사는 아니지만 청나라 중기 이전까지는 육과급사중이라는 관직이 따로 존재했다. 육부에 각각 해당하며 통정사를 통해 온 상소를 베껴 전달했으며 봉박권을 지녔다. 7품에 불과했으나 명나라 때는 어사와 함께 권한이 막강했다. 청 중기 이후에는 봉박권이 사라지고 도찰원으로 통합된다.

3. 한국의 어사대


고려에서 당나라, 송나라의 직제를 답습하면서 어사대를 설치했다. 중국과 달리 처음부터 어사대로 비롯하여서 위상은 중국의 어사대보다 더 셌다. 금오대, 감찰사로 변경되다가 고려 말기 사헌부로 바뀌어 조선시대로 이어진다.
[1] 사공은 주례(周禮)에서 삼공의 아래에 놓인 육경(六卿)의 하나로 토목과 산천을 관리하는 벼슬이다. 한 마디로 격하된 거다.[2] 후한에서 상서(尙書)의 격을 높이면서 세운 관청이 상서대(尙書臺)다. 그러니까 삼부를 이루던 기관이 특별관청 쯤으로 격하된 것.[3] 청나라 때는 상서와 함께 종1품으로, 만한병용에 따라 좌, 우도어사로 나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