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두아르 드 빌포르
1. 개요
몽테크리스토 백작의 등장인물.
2. 작중행적
에드몽 당테스의 원수인 제라르 드 빌포르와 후처 엘로이즈 드 빌포르 사이에서 태어난 아들이다. 부모 외의 가족으로는 전처인 르네 드 상메랑 사이에서 태어난 이복누나 발랑틴 드 빌포르와 할아버지인 누아르티에 드 빌포르가 있다.
나이는 아직 어리며 애정을 주지 않는 할아버지, 엄격하고 딱딱한 아버지, 오냐오냐만 하던 어머니 밑에서 자라다보니 비뚤어진 어린아이. 손님에 대한 예의상실은 기본이고, 이복 누나인 발랑틴 드 빌포르나 애완용 새까지 괴롭히는 모습을 보인다.
엘로이즈 드 빌포르는 누아르티에와, 발랑틴의 외가인 상메랑 후작가의 재산을 탐내 연쇄독살사건을 벌였으며 제라르 드 빌포르에게 연쇄독살사건을 들키고 질책당하자 자살하며 이 아이도 길동무로 삼아 같이 죽이고 만다.
3. 기타
성격이 못돼먹은 것으로 묘사되기는 하지만 부모를 잘못 만난 탓에 자신의 잘못이 전혀 없음에도 백작의 복수극에 휘말린 불쌍한 아이. 처음 복수를 계획할 때는 원수들의 자식들이 어떻게 되든지 크게 신경쓰지 않았고 심지어 복수의 도구로 이용하는 데도 크게 거부감을 갖지 않았던[1][2][3] 백작도 이런 어린애까지 죽음으로 몰아넣을 생각은 없었는지 처음으로 복수 계획에 후회하는 기색을 보인다. 이 사건은 훗날 백작이 당글라르를 용서하는 원인이 된다.
[1] 빌포르의 이기적인 후처 엘로이즈에게 귀한 독약이 들어가면 전처의 딸인 발랑틴이 위험할 것이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는데도 고의적으로 약을 줘서 모살을 의도했고, 당그라르가의 조작된 정략혼은 그의 딸인 외제니의 인생을 시궁창에 처박는 일이었다. 외제니가 알아서 집을 나간 덕에 미안할 일은 없게 되었지만. 결정적인 페르낭의 아들 알베르는 아예 직접 결투해서 죽여버리는 것이 백작의 초기 계획이었다.[2] 이전 버전에서는 백작이 "복수를 위해서는 죄없는 젊은이들 역시 죽일 생각이었다"고 되어 있지만 그렇게 단정하기는 어렵다. 예를 들어 페르낭의 아들 알베르의 경우 처음에는 알베르를 죽여 페르낭에게 복수할 생각이었지만 "아버지의 죄로 아들을 죽이는 것은 옳지 않다"는 메르세데스의 추궁에 반론하지 못하자 결국 결과적으로 복수의 포기(실패)를 가져올 것을 뻔히 알면서도 결투를 통해 알베르를 죽이는 것을 포기했다. 그리고 빌포르의 딸 발랑틴의 경우 엘로이즈가 무슨 용도로 쓸 지 뻔히 알면서도 독약을 주고, 처벌을 겁내는 엘로이즈에게 독약을 이용한 살인은 잘만 하면 들키지 않는다고 충동질하기까지 했으니 만약 정말 발랑틴이 독살당했다면 백작 자신도 절대로 그 책임과 가책에서 자유로울수 없는 입장이긴 했지만, 어쨌건 발랑틴을 죽이려는 엘로이즈의 의도 자체는 백작이 조장한 것이 아니다. 즉 백작 자신에게 발랑틴을 죽이려는 의도가 있던것은 아니다. 그보다는 '나는 그냥 독약 준 거 뿐이고, 그걸 어디에 썼는지는 받은 사람의 책임이다' 같은 형태로 자신의 책임에서 눈을 돌린 회피에 더 가깝다. 그리고 이런 '회피'의 결과는 그나마 발랑틴은 죽지 않았지만 (죽을만한 죄를 지었다고 말할 수 없는 어린애인) 에두아르의 죽음을 본 백작이 받은 충격, 그리고 복수를 위해 자신이 한 행동이 너무 지나쳤으며, 그 때문에 더이상 '신은 나의 편에 서 계시다'(=나의 복수는 정당하다)고 여길 수 없게 된 백작의 후회로 돌아오고, 이 때문에 마지막 복수 대상인 당글라르는 결국 재산만 빼앗고 목숨은 용서해주게 되는 것. 그리고 외제니의 경우 사람 뻥뻥 죽어나가는 백작의 복수극에서 그나마 목숨을 위협당한것도 아니고, 애초에 부모 모두에게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던 외제니가 바라던 것은 많은 재산이나 좋은 집안과의 결혼(정략결혼)이 아니라 예술가로써 살아가는 자유로운 삶이었는데 백작의 복수극에 휘말린 대신 그것을 계기로(+백작이 제공한 약간의 도움) 원하던 삶을 찾아갈 기회를 얻었으니 나름 얻은 것이 있는 사례로써 앞의 사례들과 비교할만한 대상은 아니다.[3] 다만 백작이 처음에는 원수들의 자식들도 복수의 도구로 이용하는 것을 주저하지 않았다는 부분까지는 부정하기 어렵다. 결국 정리하자면, 이 작품에서 원수들의 자식은 백작에게 있어 '원수들을 손쉽게 공격할 수 있는 적의 약점' 이지만 동시에 '너 역시 네 복수를 위해서 남을 도구로 이용하고 있지 않으냐' 라는 비판을 받았을 때 스스로 대답할 말이 궁해지는 도덕적 약점이기도 하고, 이와 같은 딜레마를 어떻게 극복하여 자기 복수의 정당성을 스스로 유지하는지가 이 작품의 가장 중요한 갈등인 것이지 '원수들의 부와 명예에 기대 살아왔다면 자식 역시 복수의 대상' 이라는 식으로 간단히 설명될만한 것이 아니다. 뭣보다 '부모(백작의 원수)의 부와 명예에 기대어 살아왔느냐를 기준으로 복수 대상을 정한다는 이야기가 원작 본문에 나오는 것도 아니고, 도리로 따져도 자식들 본인이 부모의 범죄를 알고도 그 열매를 누린 것이 아닌데 책임을 묻는다는 것은 합리적이지도 않다. 이는 오히려 위와 같은 갈등구조를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독자가 '자신의 복수를 위해 원수의 자식까지 아무렇지 않게 죽이려 드는 주인공' 에게 어떻게든 정당성을 부여하기 위해 자의적으로 상상해 낸 기준에 가깝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