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머슨 음낭가과
[image]
Emmerson Dambudzo Mnangagwa
1942년 9월 15일 ~
공식 트위터 공식 페이스북
1. 개요
짐바브웨의 정치인이자 현 대통령으로,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ZANU-PF) 소속이며 로버트 무가베 사후 로버트 무가베가 해임(사실상 제명)되었을 때부터 사실상 당의 제1서기 겸 대표가 되었다.
2. 생애
즈비샤바네에서 농부의 아들로 태어났다.[1] 공식적으로 알려진 출생년도는 1942년이나, 1946년이라는 설도 존재한다. 물론 본인은 1942년이 맞다고 주장하지만.
그의 어린 시절 집안을 보면 놀라운 점이 한둘이 아닌데, 할아버지가 무려 '''6명'''의 여자와 결혼했고 슬하에 '''32남'''을 두었다는 점이다. 다만 딸을 세지는 않았기 때문에, 실제로 딸까지 포함하면 그 수는 이보다 더 어마어마할 것이다. 아버지 또한 2명과 결혼했으며 슬하에 10명의 자녀를 두었고, 에머슨은 이 중 셋 째이다. 지금 대한민국의 관점에서 보면 불법인 건 둘째치더라도 가히 충격적이겠지만, 당시 그들의 관점으로 봤을 때는 전혀 이상할 것이 없었다. 애초에 남아프리카에서 일부다처제는 흔했기 때문.[2]
아무튼 어렸을 적에는 나름 유복하게 자랐으나, 당시 짐바브웨는 영국의 지배를 받고 있었고, 적지 않은 농장들이 백인의 소유였다. 문제는 노예제가 폐지된 시점이었음에도 백인들의 횡포는 상상 이상이었는데, 음낭가과 또한 백인에 의한 피해자였다. 가족이 소유하던 농장이 백인에 의해 빼앗겼고, 아버지는 이 때 체포되었다. 이를 계기로 음낭가과는 나라를 빼앗겼다는 사실에 서러움을 느끼고, 독립 운동에 투신하기로 마음을 먹었다.
1950년대 중반, 집안이 잠비아로 이주했다. 이 시절 훗날 대통령이 되는 로버트 무가베를 만났는데, 이는 안 그래도 독립 운동에 관심을 갖던 음낭가과에게 매우 좋은 기회가 되었다.
3. 독립 운동
대학 시절 통일국민독립당에서 활동했던 적이 있었다가, 1962년 짐바브웨 아프리카 인민연합(ZAPU)에 합류했다. 하지만 내분으로 1년 만에 탈당했으며, 대신에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ZANU)에 합류했다. 이 시절 한편으로는 게릴라로서 활약했는데, 군 경력이 부족했던 그는 중국의 도움을 받기도 했다. 이후 탄자니아로 건너가 "크로커다일(=악어) 갱"을 조직했는데, 이는 훗날 "악어"로 불리는 계기가 되었다.
독립군으로 활약하면서 무장 투쟁을 벌였지만, 결국 이 때문에 식민지 당국에 걸려 10년간 복역하기도 했다. 감옥이 좋은 것은 전혀 아니었는데, 음낭가과 일대는 그것도 "최악의 흉악범"으로 찍혀 아주 열악한 방에서 지내야 했다. 더더욱이나 음낭가과가 공산주의를 추구한 것이 문제가 되어 교도소 측이 책도 못 읽게 했는데, 유일하게 읽을 수 있던 것이 바로 성경이었다. 심지어 화장실도 없어서, 양동이를 화장실 대용으로 써야 했다고.
1975년 석방됨과 동시에 짐바브웨에서 추방되어, 가족이 살고 있던 잠비아로 이주해야만 했다. 그나마 다행인 건 짐바브웨와 국경을 접한 리빙스턴이었다는 점이다. 하지만 음낭가과 본인은 학업 문제로 루사카로 이주했다가, 1980년 1월 모잠비크의 마푸토를 거쳐 짐바브웨로 돌아왔다.
4. 정치 활동
1980년 짐바브웨는 독립을 쟁취하게 되었으며, 동시에 초대 중앙정보부장으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이 시절부터 그는 빠르게 타락하기 시작했는데, 안보를 핑계로 수많은 사람들을 살해하고도 아니라는 식으로 발뺌을 했다. 심지어 1983년에는 야당, 반정부 인사들을 "바퀴벌레"라고 비난하며, '''다 불태워 죽여버리겠다'''는 협박성 비난을 날리기도 했다. 그러나 음낭가과 본인뿐만이 아니라, 새로 출범한 짐바브웨 정부 자체부터가 타락의 길로 가고 있었다.
1987년 ZANU와 ZAPU가 합당하여 ZANU-PF로 재창당되었고, 음낭가과는 여기에 합류했다. 동시에 이 해 무가베는 새로운 대통령이 되었다. 1988년 정의법률의회부 장관으로 임명되어 2000년까지 재직했으며, 1995년부터 1996년까지 잠시 재무부 장관 겸 외무부 장관을 대행하기도 했다. 2000년 국회의장으로 선출됨에 따라 장관직에서 물러났고, 5년 간 재직했다.
하지만 그가 국회의장으로 선출되던 2000년 퀘퀘 지역구에 도전했지만 민주변혁운동 소속의 블레싱 치번도에 밀려 낙선했으며, 당연히 원외 신분으로 국회의장을 지낼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런데도 어떻게 됐냐면, 이를 안타깝게 여기던 무가베가 음난가그와를 비(非)선출직 의원으로 임명한 덕택에 가능했던 것. 물론 이는 유신정우회 비스무리한 것으로, 민주적이라고 할 수 없다.
2005년 같은 지역구에 재도전했지만, 역시나 치번도에 밀려 또 떨어졌다. 다만 이번에도 비선출직 의원으로 임명되어 위기는 넘겼으며, 무가베는 그를 농촌주택생활편의시설부 장관으로 지명했다. 4년 후 국방부 장관으로 지명되어 물러났으며, 2013년 다시 한 번 정의법률의회부 장관으로 임명되었다.
2014년 제1부통령으로 임명되었다. 이로서 음낭가과는 무가베의 후계자로 빠르게 급부상했으며, 2017년 무가베가 쿠데타로 축출되자 대통령직을 승계했다.
2018년 ZANU-PF의 대통령 후보로 선출되었다. 당초에는 야권 지도자로 활약했던 모건 창기라이와 경합을 벌일 것으로 보였으나, 창기라이가 지병으로 사망하는 바람에 야권 후보가 넬슨 차미사로 교체되었다. 다만 차미사가 약체급이었던지라 여론 조사에서 음낭가과가 무난히 앞섰으나... 문제는 무가베와 앙금이 있었는지 무가베가 사실상 차미사를 지지하는 등 악재가 덮치기도 했고, 선거 후 여야가 서로 자신의 승리를 주장하는 일단 총선에서 농촌지역을 싹쓸이 하면서 과반을 훌쩍 넘는 의석수를 차지했고, 대선에서도 당선이 확정되었다. 그렇지만 과반을 근소하게 넘긴 수준이었기 때문에 정국이 혼미에 빠지고 있는 형국이다.
2018년 11월 30일 수천명 규모의 반정부 시위가 일어났다.짐바브웨서 수천명 반정부 시위…"무가베 때보다 어렵다" 8월 1일 대규모 시위 이후 큰 규모인데, 무가베 퇴진 이후에도 경제난이 해소되지 않아 시민들이 들고 일어난 것.
그나마 로버트 무가베보다는 확실히 상대적으로 유화적인 통치를 하고 있다. '''일단 트위터와 페이스북을 통해 외부와 소통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라도 보이고 있다'''. 로버트 무가베가 대대적인 학살을 했던 은데벨레 족 주민들[3] 에 대해, 음낭가과는 2019년 학살 행위를 사과하고 학살 사건 재조사에 나서기로 했다. 그러나 2020년 들어서도 별 소식 없는 것 보면 그냥 정치적 제스처이고 제대로 조사할 마음은 없는 듯 하다.
2020년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과정에서, 마스크, 진단키트 등 방역장비를 수입하기로 했다. 그러나 이 때 보건부에서 특정 업체한테 뇌물을 받고 특정 업체의 물건만 구매한 부정부패 스캔들이 불거졌다. 이에 따라 2020년 7월 7일(현지시간), 에머슨 음낭가과 대통령은 오바디아 모요 보건부 장관을 전격 경질하였다. 기사
2020년 7월 29일에 20년전에 토지를 몰수당한 백인 농장주들에게 35억 달러(약 4조2천억원)를 보상하는 협정에 서명했다.#
이 와중에 정부 비판론자와 야당을 항해 썩은 사과를 비유하며 쓸어버리겠다고 위협하였다.#
음낭가과 대통령 일가가 조직적으로 국가 소유의 금괴를 밀수출해 비자금을 조성하려 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1] 당시에는 샤바니(Shabani)였다. 1982년 지금의 이름으로 개명.[2]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대통령을 지낸 넬슨 만델라 또한 일부다처제 가문에서 태어났다.[3] 은데벨레족은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트란스발 일대에 주로 거주하는 민족이다. 줄루족의 일파이며 줄루족 중에서도 고산지대에 사는 종족이다. 보통은 외부와 접근을 차단하면서 지낸다고 한다. 남아프리카 공화국 외에 짐바브웨랑 보츠와나에도 상당한 숫자가 살고 있다. 짐바브웨의 은데벨레 족 주민들에 대해, 1980년대에 로버트 무가베가 "자기한테 투표하지 않고 야당 후보한테 투표했다"며 은데벨레 족 주민들을 '''최소 3만 명 이상'''을 학살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