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군

 

捻軍
[image]
활동 지역

1. 개요


1851년부터 1863년까지, 남중국의 태평천국과 동시대에 화북에서 일어난 대규모 반청운동. 1840년대부터 황하가 범람하고 소금 밀매업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청나라가 서구 열강과의 불평등 조약으로 인해 제대로 내치에 신경쓰지 못하자 농민들이 일으킨 봉기이다. 초기에는 피해를 그나마 덜 입은 지역들을 약탈하는 데에 그쳤으나, 점점 세력을 확대하여 화북의 상당 지역을 장악하였다.
비록 그들은 태평천국과의 직접적인 연대는 하지 않았으나, 청 조정과 남중국 간의 연락을 힘들게 하여 태평천국의 존속에 도움울 주었다. 하지만 염군은 태평천국과 달리 중앙집권적 정부를 형성하지 못하였고, 5개 집단의 느슨한 연합체에 불과하여 팔기군 및 향용에 각개격파 당하였다. 1863년, 가장 세력이 강하였던 지도자인 장락행이 전사하였다. 1864년에 태평천국이 멸망한 이후로 그 잔당과 합세하여 마지막 불꽃을 피웠으나 청조가 증국번 장군과 신식 무기를 갖춘 상승군을 파견하자 대패하였다. 이후 염군은 동군과 서군으로 나뉘어 도주하다가 괴멸되었다.

2. 배경


1851년, 1855년 황하의 대범람으로 많은 백성들이 피해를 입었는데 특히 안휘성, 산동성 남부, 강소성의 피해가 컸다. 이곳의 사람들은 황하 운하에서 노동자로 일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홍수 때문에 일자리가 없어진데다가 냉해까지 겹치니 농사도 망치고 말았다. 즉 그들은 어떻게 죽나 이판사판인 상황인 것. 만약 청나라가 민생에 신경을 썼다면 모르겠다만 서양 열강의 침입과 회족 반란, 부정부패, 태평천국의 난 등으로 그러지도 못했다.
거기에 더해서 위 지역들의 특수함이 있다면 당시 국가전매로만 거래되던 소금을 밀매하는 자들이 많았다. 당시 소금은 청나라 재정의 약 30퍼센트를 차지할 만큼 중요한 품목이였기에 엄하게 관리됐고 당연히 소금 밀거래는 사형으로 다뤘다. 이에 대해 소금 밀거래상들 역시 현대의 조폭처럼 조직을 이뤘는데 그것이 염군의 시초이다. [1]
또한 염군이 거점으로 삼은 곳은 백련교 신자들이 난을 일으켰다가 많이 숨어든 지역이었고 여기에 더해서 당대 각지의 반란 진압을 위해 향용(鄕勇)에 징용됐다가 귀향해서 오갈데 없는 빈민이 많았다.
즉 청나라 조정의 삽질에 불만이 많은 피지배 계층의 비율이 높은, 반란이 일어나기 더없이 조건이였던 것.
또한 당시의 태평천국의 난 및 각 지역의 혼란은 각 향촌이 자체 무장화를 하도록 만들었고 향촌의 방위를 위하여 각 지역은 염군을 방치 또는 후원하게 된다.[2]
이러한 상황 속에서 염군은 유적(流賊)[3]의 성격을 띄고 주로 근처의 지주, 부유한 상인, 사당 등을 집중적으로 털었고 수령을 제외한 기병과 보병에게는 2:1의 비율로 재물을 나눠줘서 많은 사람의 가입을 촉진시켰다.
여기에 더하여 빈민들에게도 재물을 나누어 주니 많은 사람들이 염군에 가입했고 앞서 말한 향촌의 방위 및 염군과의 영합을 위해서 향촌의 지도자나 유력자들 역시 염군을 지원했다.
거기에 특이하게도 염군은 거점을 한군데에 오래 두지 않고 계속 옮겨다녔기에 각 지역의 반란으로 고심하는 청나라의 이목을 적게 끌 수 있었다.
청나라가 마침내 염군을 위협적인 요소로 판단했을 때에는 염군은 이미 초창기의 경제적 문제 해결이나 향촌 방어 등의 목적을 가진 집단에서 벗어나 반정부적 가치를 가진 8만 이상의 반란군으로 변모했고 곧 화북지방은 전장으로 변화했다.

3. 전개


청나라는 당연히 이들을 진압하려 했고 이에 대항해 1852년 2월, 18명의 염군 두목들이 모여 장락행을 지도자로 선출하였다.

3.1. 장락행 시대


태평천국에게 관직을 받기도 했으나 직접적인 연대는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다만 1855년 여름부터 염군의 세력이 화중 지방을 장악하며, 북경 중앙정부와 남쪽의 태평천국과 싸우는 청조의 진압군 간의 연락을 끊는 효과는 있었다. 장락행은 1855년부터 대한명명왕이라 칭하였고, 1857년에 태평천국의 진옥성과 연합 작전을 펼친 공으로 홍수전으로부터 회북장군 칭호를 받았다.
1856년, 염군은 5개 집단으로 나누어졌다. 그들은 각각 청, 홍, 황, 백, 흑색 깃발을 사용하였으며, 장락행은 그중 황색 군대를 이끌었다. 하지만 5개 군대는 유기적인 작전 수행을 하지 못하여 이후 장락행이 위기에 처했을 때도 나머지 4개 군은 나몰라라 했다.
염군은 기병이 주축이 된 게릴라 전법을 구사하여 청군을 괴롭혔다.[4] 1858년 11월의 삼하 전투, 1861년의 안칭 전투 등에서 염군은 태평천국을 도왔으며 1862년에는 장락행의 조카 장종우가 태평군과 함께 섬서성으로 진군하기도 했다.
1862년 5월에 진옥성이 체포되며 염군의 기세가 꺾이자, 청 조정은 태평천국을 격파한 전력이 있는 몽골인 장수 승격림심(생게린친)을 파견, 장락행과 맞서게 하였다. 승격림심의 군대는 서구의 신식 무기를 지니고 있었고, 안휘성 북부에서 분전하던 장락행은 산동성으로 피신하려 하다가 옛 부하인 이가영의 집에 의탁하였다. 하지만 이가영은 이미 청조 편으로 전향한 상태였고, 그가 청군에 연락하자 장락행은 결국 체포되었다. 장락행은 승격림심 앞에서도 당당히 청조의 무능을 꾸짖다가 1863년 4월 28일에 의림집에서 처형되었다.

3.2. 신염군


장락행이 죽은 후 그의 조카 장종우는 1864년에 승격림심의 부장인 진국서가 이끄는 군대를 하남성에서 격파하며 건재함을 알렸고, 1864년 7월에 태평천국이 멸망하자 그 잔당인 뇌문광과 합류하여 신염군을 조직한다. 그리고 이 신염군은 승격림심과 몽골팔기를 전멸시키며 청나라를 충격과 공포에 빠뜨렸고, 이에 증국번을 총사령관에 임명해 포위전을 개시하자 그걸 뚫고[5] 뇌문광은 장강 이남으로 이동 후 사천으로, 장종우는 섬서지역으로 이동하게 되며 동염군, 서염군으로 쪼개지게된다.

[1] 염(捻)이라는 한자가 꼬인 매듭이라는 뜻인데 당시 산동 방언으로 조직이라는 뜻이 있었다.[2] 화북 지방은 경제적 여건이 강남 지방보다 좋지 않았기에 염군이 없으면 향촌 방위가 힘든 지역이 많았다.[3] 일정한 근거지가 없이 무리 전체가 떠돌아다니며 활동하는 도적 집단을 가리킨다. 중국 당나라 때의 황소, 명나라 때의 이자성이 바로 대표적인 유적들이다.[4] 당시 염군의 행렬을 본 사람들은 "염군은 그 행렬이 20리나 늘어선 대규모 기병들의 무리였다."라고 말했다. 출처: 중국을 말한다 15권/ 신원문화사/ 112쪽[5] 이에 대한 책임을 지고 증국번이 총사령관서 해임되면서 다음 사령관이 되는 사람이 바로 이홍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