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하
[image]
黃河, Yellow River
1. 개요
중국의 강. 칭하이성 쿤룬 산맥에서 발원하여 쓰촨성, 간쑤성, 닝샤 후이족 자치구, 내몽골 자치구, 산시성, 허난성을 지나 최종적으로 산둥성 둥잉 시에서 보하이 만으로 유입되며 전장 5,464㎞, 유역면적은 752,443㎢에 이른다. 강의 길이에 비하면 수량이나 유역면적이 상당히 적은 편이다.
중국 대륙에서는 장강 다음으로 길고 세계적으로도 '''5번째'''로 긴 강이다. 중요한 지류로는 시안 근처를 지나가는 위수(渭水)가 있다. 황해의 물을 말 그대로 노랗게 만들고 황해를 잠수함들의 지옥(...)으로 만들어 버린 주범이기도 하다.
일단 이 설명만으로는 그냥 큰 강이라는 느낌 밖에 들지 않는다. 하지만 '''河라는 단어가 원래 황하의 본명'''이었다가 큰 강을 지칭하는 대명사가 될 정도로[1] 황하는 여러 가지 특징이 있다.
황하는 중국 황하 문명의 젖줄이었고 중국의 상징이기 때문에 CCTV에서 틀어주는 국가 영상(의용군 행진곡)의 첫머리에는 황하 흙탕물이 힘차게 흐르는 장면(...)이 거의 반드시 들어간다.
2. 특징
2.1. 흙탕물
[image]
다스릴 치(治) 자에 삼수변(氵)이 들어간 이유는 황하가 그만큼 막장이기 때문이다.
황하의 수질은 사진에서 볼 수 있듯이 흙탕물 수준으로 이미 한서에서는 '물 1말에 진흙 6되일 정도', 즉 진흙 함량이 60% 라고 기록될 정도였다. 이 정도면 '''흐르는 진흙''' 수준인데, 실제로는 물 1 L당 진흙 0.4 ~ 3.4 g 정도이다. 이는 최대 3% 정도로, 한서의 기록은 과장이 심하다. 물론 이 정도로도 아주 심각하지만.
이렇게 황하가 이름 그대로 황토빛이 된 이유는, 선사시대 때부터 이어진 '환경파괴'라는 인재(人災)로 인해 토사가 엄청나게 유출되기 때문이다. 한때 황하와 장강 유역 일대를 비롯한 중국 남부 지역이 강수량이 많은 아열대 내지 열대성 기후여서, 그 덕분에 코끼리, 코뿔소, 하마, 구름표범, 양쯔강악어, 물소가 살았던 물 많은 온대림이 있었는데, 진한시대에 토목 공사 및 농경지 개척을 위해 이 숲을 싹 다 베어버리면서 황하 문제는 더욱 급격히 악화되었다. 오죽하면 백년하청(百年河淸), "황하가 맑아지길 기다리는 것은 어리석은 일"이라는 사자성어가 있을 지경이다.
이처럼 토사가 많이 흐르기 때문에 조금만 강의 흐름이 늦어지면 강바닥에 토사가 쌓이곤 한다. 그래서 주변 지역이 평야지대가 되는 뤄양 근방부터는 주변 농토보다 강바닥이 더 높은 천정천(天井川)이 되었지만 주변 제방으로 물이 넘치지 않도록 간신히 막는 상황이라, 홍수가 한번 나면 강의 흐름이 아예 다르게 바뀌어버린다.(...)
이 점을 이용해서 황하의 둑을 일부러 터뜨리는 것이 전술로 사용되기도 했다. 1938년 중일전쟁 때 일본군의 추격을 저지하기 위해 장제스의 국민당군이 허난성(河南省) 화위안커우(花園口, 정저우시 부근)의 제방을 파괴했는데, 일단 추격하던 일본군이 사단단위로 물에 갇히게 되어 일본군의 진격을 막아냈지만, 황하가 유역을 변경하면서 '''주민 89만 명이 사망하고 1250만 명의 이재민이 발생하는''' 엄청난 피해가 발생했다.(1938년 황허 홍수)
우여곡절 끝에 강 하구까지 운반된 진흙은 차곡차곡 퇴적된다. 1194년에서 1855년 사이 황하 남쪽 하구에 쌓인 퇴적물의 높이는 '''10 m'''에 달했고, 그 퇴적물이 바다 쪽으로 밀려나간 길이는 '''90 ㎞'''에 달했다. 16세기 기록에 따르면 황하 하구의 삼각지는 매년 1.6 ㎞씩 확장되었다고 한다. 현재도 진흙이 연간 '''13억 8천만 톤'''씩 하류로 흘러내려가는데, 세계 제일의 기록이다.
이러한 삼각주의 확장을 이용하면 방파제를 잘 쌓기만 해도 손쉽게 간척지를 만들 수 있었다. 장강 하류의 강남 지역은 대부분 이런 방식으로 개간되었다. 한때는 황하가 장강 하류 쪽으로 흘러서 두 강이 합류하는 바람에 토사물의 세례를 같이 받았기 때문이다. 그 '''상하이도 13세기 이전에는 바다였던 곳을 개간하여 만든 인공 간척지다.'''
황하에 간척지를 만들기 쉬운 이유와 똑같은 이유 때문에 댐을 만들기는 매우 어렵다. '''댐을 건설하면 바로 토사가 댐을 메워버리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황하는 장강과는 달리 수자원 관리가 상당히 어렵다.
2.2. 심한 기복
쉽게 말하자면 가뭄일 때는 말랐다가 홍수가 나면 쉽게 넘치고, 뻑하면 제방이 붕괴되는 등의 이유로 강의 물줄기 자체가 전혀 엉뚱한 곳으로 흐른다. 따라서 유역 주변에 피해가 심하다.
황하가 쉽게 넘치는 이유는 황하 중류가 천정천이라는 점도 있지만, 황하가 간쑤성에서 굴곡을 치며 내몽골로 올라갔다가 다시 내려오는 지점인 오르도스라 불리는 지역도 큰 원인이다. 이 곳은 상류가 하류보다 남쪽에 있다. 따라서 해빙기에 시베리아의 예니세이 강이나 오브 강, 레나 강 하류에서 홍수가 나듯 황하도 하류보다 상류가 먼저 해동되며 폭풍같은 물줄기가 얼음 위에 덮치는 사태가 발생하는데, 당연히 홍수가 난 것처럼 주변에 물이 범람하여 큰 피해를 입힌다. 그래서 중국 정부는 매년 인민해방군 공군을 동원해서 얼어버린 하류에 폭격을 가해서 얼음을 깨버린다. (...).
하도(河道)의 변천은 기록 상 총 26회에 이르고, 특히 큰 변화도 9회나 된다. 과거 3천 년 동안 범람과 제방 파괴는 1,500회 이상. 시기별로 살펴보면 당나라 말기에는 10년에 1번씩 제방이 무너지던 것이 북송시기에는 3.3년마다 1번으로 제방이 무너지는 일이 잦아졌다. 청나라 시기인 17세기의 제방의 붕괴 주기는 1.89년에 1번으로 더욱 빨라졌다. 이 주기는 제방의 붕괴만 기록한 것으로, 홍수로 인한 범람은 제외하고도 이 정도인 것이다. 황하는 가면 갈수록 다스릴 수 없는 강이 되었다.
낙양 이후로부터는 심하면 수년에 한 번씩 황하의 흐름이 바뀌며, 이 때문에 북으로는 북경까지, 남쪽으로는 회하나 장강과 합류할 정도로 유역변경이 잦다. 1800년대 초에는 700년간 산동 이남으로 흐르던 황하가 산동 이북으로 크게 방향을 틀어버렸다. 이 때문에 명나라 때 강남에서 북경까지 연결해놓은 대운하의 산동반도 구간이 끊겨버렸다. 그로 인해 연간 수백만석의 조량을 북경으로 옮기는게 매우 힘들어지면서 청나라 왕조는 심대한 타격을 입게 된다.
현재의 황하 하구도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난 이후인 1947년에나 생겼고, 지금의 하류는 예전에는 제수(濟水)라는 별개의 강이었다.[2] 그래서 황하 하구에 만들어진 삼각주도 황하'''신'''삼각주라는 명칭이 새로 붙었다. 심지어 북경과 천진은 원래 바닷물 아래였다가 황하 퇴적으로 생긴 땅이다.
역사적으로도 하북 지역의 황하 퇴적 전에는 중원지방에서 만주지역은 지리적으로도 연결이 힘든 한민족을 포함한 동이족의 영역이었고 가끔씩 중원 세력이 침략해 점령해도 얼마 버티지 못하고 철수하는 일이 반복되었지만 황하 퇴적으로 하북과 만주가 연결되면서 중원 세력의 진출이 크게 늘어났다.
2.3. 상당히 좋지 않은 수운 여건
앞서 언급했듯이 수시로 강바닥에 토사가 쌓이므로 알려지지 않은 얕은 지역이 불특정하게 존재하며, 물까지 흐려서 육안으로 판단하기 힘드니 좌초하기 딱 좋다. 그렇지 않더라도 황하에는 잘 알려진 급류지역이 있어서 일정 크기 이상인 선박은 더 이상 상류로 올라가지 못한다. 이는 장강이 싼샤 댐 건설 전에는 충칭까지 중형선박이 왕복할 수 있는 것에 비하면 매우 빈약하다.
3. 문명의 발상지
황하는 크기만 엄청나게 컸지 뻑하면 홍수나 일으키고, 토사유출이나 하는 답이 없는 강이다. 놀라운 것은 이런 막장 강이 황하 문명의 탄생 및 유지를 이끌어내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했다는 것이다.
황하는 홍수가 나면 주변을 박살내지만 그 후에는 상류에서 끌어온 많은 토사를 주변 농토에 뿌려주는데, 이게 자연적으로 비옥한 비료를 주는 것이나 마찬가지였다. 더불어 척박하고 건조한 중원 지역에 부족하나마 수자원을 제공했다. 메커니즘이 나일강과 비슷하다.
또한 치수를 위해서는 많은 인원이 필요하므로 자연스럽게 비옥한 토지에 대규모의 사람들이 살고, '''이를 체계적으로 묶을 정치 제도'''가 만들어지게 된다. 마지막으로 홍수가 난 후에는 다시 토지구획을 정리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므로 문서 기록과 측량 등의 각종 기술이 발달하게 된다. 이것은 나일강의 정기적인 범람에서 발생한 이집트 문명과 동일하다. 이런 이유로 인해 황하에서 발생한 문명은 아이러니컬하게 더 나은 환경인 장강에서 발생한 문명보다 빠르게 발전해서 결국 장강에서 발생한 문명을 흡수하고 주변을 정복하여 중국 문명으로 가는 기초를 닦게 된다.
이는 한자의 구성에도 그 흔적을 찾아볼 수 있다. 가령 '다스리다'란 뜻의 治(치)는 본래 '물(水)을 조정한다'는 뜻으로 치수를 뜻했다. 즉 '물을 다스린다'는 뜻이 곧 모든 것을 다스린다는 개념 자체로 확장된 것. 다만 이집트의 나일 강과 다른 것은, 일정 시기마다 일정 장소에 범람하던 나일 강과 달리, 위에 서술되었든 다스린다는 것은 꿈도 꾸지 못할 만큼 막장 강이라는 거.
비교문명학적으로는 이런 황하의 성질이 중국과 그 영향을 받은 한자문화권 특유의 '''타 문명권들에 비해 억압적이고 전제주의적인 통치 전통을 낳았다'''고 해석하기도 한다. 다른 강과 다르게 황하의 치수 실패는 집단의 멸망을 불러올 수 있는 정도였기 때문에, 지배자가 분열을 일으키는 자를 억압할 수 있는 권력을 휘두르는 것이 당연시되는 환경이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실제로 초기 황하 문명에서 벌어진 황하 제방 공사는, 공공사업이었던 고대 이집트와 달리 군사훈련의 일환이었다는 점이 드러나고 있다.
황하 주변은 고대부터 북송 시절까지 중국의 중심지역으로 발달하게 되었다. 중국에서 황하의 황색은 황제의 색으로 지정할 정도로 숭상받았으며, 또한 황하를 통해 하류로 대량으로 공급되는 황토고원의 고운 흙은 질 좋은 벽돌과 기와를 만들기 적합하여 황하 유역 근처의 중국 건통건축은 다양하고 화려한 벽돌과 기와를 사용하는 건축기법이 크게 발달하였다.
4. 몰락
그러나 황하는 예전부터 막장이었고, 이를 막을 방법은 없었다. 문명이 발달함에 따라 온대림은 더더욱 황폐화되고, 황하의 홍수는 가면 갈수록 감당할 수 없을 정도로 잦아졌으며, 홍수 후에도 농사에 도움이 되는 황토가 깔리지 않고 농토가 모래밭이나 진흙밭으로 바뀌는 사례가 늘어났다. 황하는 점차 도움을 주기보다 피해를 주는 존재로 이미지가 바뀌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기후변화도 일어나, 중원지역이 예전보다 춥고 건조해졌다. 결국 황하 주변의 곡물생산능력이 크게 저하되자, 중국 경제의 중심도 황하유역에서 슬슬 장강유역이나 해안가, 북쪽이나 남쪽으로 이동했다. 결정타로 북송 정권이 이민족인 금나라에게 패퇴하여 회하 이남으로 도망쳐 버림으로써 정치적인 중요성마저 상실, 황하 유역은 그 이후로 중국의 중심에서 벗어났다.
그래도 저력이 남아있어서 기본적인 곡물생산능력을 유지하기 때문에 그럭저럭 중요한 강으로 계속 대접받고 있지만, 중국이 급속한 경제발전을 이루면서 황하 유역의 주요 도시들의 수자원 요구량이 늘어나자 '''평시에도 강이 토막토막 끊어지는'''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 이걸 단류(斷流)라고 한다.
1972년부터 시작된 단류현상은 해가 갈수로 심해져서, 지금은 1년 평균 45일 동안 물이 흐르지 않는 강이라는 불가사의한 일은 기본으로 벌어지고, 1997년은 226일간 단류현상이 일어날 정도로 기간도 길어지고, 구간도 늘어났다. 그 이유는 본래 물반 진흙반인 상태에서 주변 도시들이 물을 끌어다쓰니 강이 도처에서 끊어지고 일부 구역은 홍수시에만 물이 흐르는 마른강이 돼버린 것이다. 이는 주변 지역을 사막화하고 지하수를 고갈시키는 등 매우 심각한 문제지만 중국의 수자원 요구량이 날로 증가하고 있어서 다른 대책이 없다.
대신 홍수가 잘 나지 않고, 나더라도 피해가 줄긴 했는데, 이게 평소에는 가뭄이 심하고 수자원을 마구 사용해서 물이 잘 흐르지 않기 때문에 홍수의 흐름을 충분히 감당할 수 있다는 것에 기인하는데다가, 일정 수준 이상의 홍수가 나면 강줄기 중간중간에 쌓인 물 흐름을 가로막는 토사덩어리 때문에 물길이 가로막혀서 주변 둑이 터지는 등의 대형사고가 날 수 있다는 점에서 그리 좋은 현상은 아니다.
5. 노력
일단 황하가 다스릴 수 없는 강이라는 타이틀을 획득할 만큼 치수가 힘든 강이지만, 중국이 손 놓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미 1955년 중국 정부는 황하의 수해를 근절하고 황하의 수리를 개발하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국영공사로 황하 중류부에 계단상의 댐을 건설하였다. 그리고 허난성 정저우에 싼먼샤(三門夾)댐을 건설하였고, 130 km 하류에 샤오량디(小凉底)댐을 건설하였다.
이를 조수조사(調水調沙)사업이라고 통칭한다. '퇴적된 모래를 물로서 다스린다'는 공사이다. 원리는 아래와 같다.
- 댐을 막아 하류로 내려가는 모래를 댐 안에 가둔다.
- 댐의 수문을 한꺼번에 열어 급류를 이용하여 댐안의 퇴적물을 하류로 흘러 보낸다.
- 일정한 거리의 하류에 또 댐을 건설하여 퇴적된 황토를 상류의 댐의 물을 부어 하류 댐의 토사를 씻어낸다.
그리고 진흙의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는 황토고원지대의 수토보유(수토 유실 방지) 공사를 확대 실시하여 황하의 물을 맑게 하고 홍수를 없애는 동시에 발전(發電)ㆍ관개(灌漑)ㆍ주운(舟運)에 이용하는 대사업에 착수하였다. 이는 제1기 공사 완성까지 50년 이상을 필요로 하는 대공사이다. 그 결과, 황하의 홍수조절 기능은 강화되고, 관개 효과도 높아지고 있다. 하구부에는 광대한 국영농장과 공장을 건설할 수 있었다.
그러나 황하의 유량을 모두 사용하더라도 화베이 지방의 관개에 필요한 수량(水量)에는 미치지 않는 데다가, 앞서 설명했듯이 황하가 흐르는 주요 도시의 수자원 요구량도 날로 증가하고 있고, 평상시에도 황하 중류가 '''4급수'''가 될 정도로 오염이 심각하기 때문에 장강과 그 이남의 하천의 물을 북으로 공급하는 남수북조(南水北調) 계획도 크게 3개 구간으로 나누어서 추진 중이다.
- 서부선(西部線)은 서하원 댐에서 황하 상류로 유입시키는 공사, 즉 장강 상류와 황하의 상류를 연결하는 계획이다.
- 중부선(中部線)은 장강 지류인 한수, 후베이성의 단장커우(丹江口, 290억 톤)댐에서 베이징으로 송수하는 천황공정(穿黃工程)이다. 직경 20 m나 되는 터널을 황하 밑 50 m를 통과하여 황하를 가로지르는 20 km 구간 공사였다. 이를 통해 2008 베이징 올림픽 때 양쯔강 물을 주요 수자원으로 공급할 수 있었다.
- 동부선(東部線)은 장영에서 양쯔강의 지류를 이용하여 운하, 폭 100 m 깊이 10 m, 길이 1,200 km 규모로 건설 중이다.
2017년에는 황하 물이 맑아지는 현상이 보고되었는데# 기존의 치수가 효과를 거둔 것 외에도 농민들이 도시로 이동하면서 농경지가 파기된 바람에 식물 피복이 회복되었기 때문이라고 한다. 하지만 이건 무조건 낙관적으로 볼 문제만은 아니고, 대규모 홍수가 일어날 가능성이 오히려 높아졌다고 한다.
6. 그 외
이 강을 딴 1970년대의 Christie라는 가수의 Yellow River라는 노래가 있다. 정작 뮤직비디오는 영국 런던에서 촬영했다(...) 이 노래는 경음악으로 꽤 유명했으며, 국내에선 일양약품의 노루모 소화제 광고음악으로 오랫동안 사용되었다.
클래식 음악 가운데에도 황하를 다룬 것이 있다. 자세한 것은 황하 협주곡 문서 참고.
1980-90년대에 이 황하를 다룬 NHK - CCTV 다큐멘터리 <대황하(大黃河)>가 KBS를 통해 방송된 적이 있었다. 노무라 소지로가 오카리나로 연주하는 주제곡은 명곡 중 명곡이다. 대황하 (大黃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