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감수경
[image]
1. 개요
龍龕手鏡. 중국 요나라 성종(聖宗) 15년인 997년에 거란의 승려 행균(行均)이 편찬한 한자 자전. 현재 고려 중기에 한국에서 제작된 세계 유일본이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에 소장되어 있으며, 국보 제291호로 지정되어 있다.
2. 내용
997년에 거란의 승려 행균이 처음 저술한 한자 자전으로 고대 중국을 대표하는 자전 중 하나이다. 중국 한자를 부수 별로 먼저 배열하고, 또 같은 각수 안에서는 운(韻)별로 배열하여 여러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을 취하였고, 정자 이외의 속자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천년 전 고대 중국어의 보고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본자(本字) 26,430여자에 주(註)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의 가치가 매우 클 뿐만 아니라 요나라 시대의 음운을 연구할 수 있는 유일한 자료이다.
3. 역사
이러한 용감수경은 중국에서는 요나라가 멸망하고 얼마 지나지 않아 완전히 멸실되었다가 남송 때에 와서 용감수감이란 이름으로 책이 새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요나라 때의 원판본은 더 이상 전해내려오지 않는다고 여겨졌다.
한국 또한 마찬가지로 기록에 따르면 고려 초중기까지는 분명 국내에 책이 존재했던 것으로 보이나 이후 알 수 없는 경위로 인해 완전히 소실되어 버렸다. 그러다 이 책이 잠깐 다시 등장한 것이 조선 세조 시기이다. 당시 고려시대 문화재를 복원하는 사업을 하고 있던 세조가 고려 초에 만들어졌던 이 책 일부를 발견하였고 이에 고려본 『용감수경(龍龕手鏡)』을 저본으로 하여 글자의 수를 증보하고, 내용을 교정 및 수정하며, 4권 체제를 8권 체제로 재편집하여 한국 고유의 용감수감으로 간행토록 하면서 다시 세상에 드러났다.
하지만 세조가 복원했던 이 책 또한 왕이 인쇄토록 했다는 기록만 남은 채 다시 소실되어 버렸다. 그리고 몽산화상법어약록언해(蒙山和尙法語略錄) 등의 김수온(金守溫)의 발문에 따르면 인수대비가 세조의 명복을 빌기 위하여 성종 3년(1472)에 간행한 책의 목록 가운데에 용감수감 50부가 들어있으나 이 책들도 결국 발견되지 않았다.
현대에 와서야 밝혀진 사실이지만 사실 세조와 인수대비가 복원했던 고려판본 용감수감들은 일제강점기 시절 전량 일본으로 유출되었다. 일본의 내각문고(內閣文庫)에 혜각존자(慧覺尊者) 신미(信眉)의 장서인(藏書印)이 있는 《용감수감》이 소장되어 있는데, 책의 형태 등으로 미루어 세조 초의 간본으로 추정되며, 늦어도 성종 3년 인출본(印出本)이거나 그보다 앞선 초인본(初印本)이었다. 그리고 인수대비가 세조 복원본을 토대로 만든 한국판 용감수감도 일본에 같이 딸려갔음을 확인했다.해외한국학자료센터 현재 전량 일본에 소장되어 있어 문화재 지정은 불가능했다.
현재 한국에 남아있는 것은 조선 명종 때 만들어진 용감수감으로, 전 세계 학자들은 요나라판 용감수경 원본은 완전히 산실된 것으로 여겼다.
4. 발견
그러다 최남선의 장서에서 이 책이 발견되었다. 나주목관조각사권입구십삼장(羅州牧官雕刻四卷入九十三丈)"이라는 글을 줄을 올려서 쓰고, 다시 줄을 바꾸어 낮게 "사록장서기차양온령권득령(司錄掌書記借良令權得齡)"이라고 새겨져있어 나주에서 권득령(權得齡) 책임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고, 제작 시기는 요나라가 멸망하던 1125년 보다 이른 시기인 11세기 경의 고려 나주 지역임이 확인되었다.
결국 국보 제291호는 『용감수경』의 원형으로 세상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본이라고 할 수 있다. 중국을 비롯한 일본 등 다른 해외에서는 완전히 없어진 요나라 시대 원본이며, 아울로 귀중한 고려본 이라는 사실로 인해 1996년 11월 28일 일제지정문화재 재평가에 의해 보물 제130호에서 국보 제291호로 등급이 조정되었다.
이 용감수경은 중국 요나라의 음운 연구로는 현전하는 유일한 원본 자료이자 귀중본으로써, 한국을 넘어 세계적인 유산이라 할 수 있다.
5. 바깥고리
6. 국보 제291호
중국 요나라 성종 15년(997)에 행균스님이 편찬한 한자의 자전이다.
이 책은 재래 중국의 자전과 달리 부수 별로 먼저 배열하고, 또 같은 각수 안에서는 운(韻)별로 배열하여 여러 가지를 병용하는 방법을 취하였고, 정자 이외의 속자까지도 전부 망라하여 해설을 붙인 것이다. 이 책을 우리나라에서 언제 중간했는지는 알 수 없으며, 단지 나주에서 권득령의 책임 하에 간행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 책의 원형인 『용감수경』은 중국에서는 벌써 없어지고 남송 때에 와서 『용감수감』으로 이름이 바뀌어 나왔으므로, 요나라 때의 원판본은 일찍부터 전해지지 않는다. 우리나라에서는 금강산 유점사에서 발견된 『용감수경』권1과 최남선의 장서 가운데에서 발견된 권3 및 권4가 있었는데, 이 책의 원본은 고려시대에 다시 새긴 본으로 짐작된다. 결국 국보 제291호는 『용감수경』의 원형으로 세상에 유일하게 남아있는 본이라고 할 수 있어 1996년 11월 28일 보물 제130호에서 등급이 조정되었다.
본자가 26,430여 자이며, 주가 163,170자에 달하여 자전으로서 매우 귀중한 자료일 뿐만 아니라 요나라의 음운 연구에는 유일하므로 자료로서의 가치가 대단히 높게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