웹예능
1. 개요
웹 예능이란 웹(web)과 예능의 합성어로, 말 그대로 TV가 아닌 인터넷을 통해 공개되는 예능 프로그램을 일컫는다.
2. 배경
온라인에서 소비하는 예능 콘텐츠는 방송사가 아닌 1인 미디어를 통해 먼저 시작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콘텐츠들을 웹 예능이라고 부르지는 않았으며, 이 용어는 tvNgo의 신서유기를 기점으로 등장했다.
tvNgo에서는 신서유기가 좋은 반응을 얻었다고 판단할만한 기준치를 조회수 2천만 건으로 잡고 방영을 시작했다. 그러나 방영된지 한 달 반만에 네이버TV에서 5천만 조회수를 기록하고, 중국 포털사이트에서도 조회수 5천만 건을 넘기면서 기대를 훨씬 웃도는 성공을 이루게 된다. 신서유기의 성공으로 인터넷이라는 플랫폼의 가능성을 본 방송사들은 앞다투어 자사의 이름을 건 웹 예능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또한 갈수록 넷플릭스, 왓챠플레이 같은 영화, 해외드라마 위주의 OTT 서비스와 아프리카TV, 트위치 같은 개인방송 플랫폼이 큰 폭으로 성장하고, pooq, TVING, oksusu와 같은 국내 지상파, 종합편성채널의 OTT 서비스와 IPTV가 대중화되면서 TV 프로그램 시청률이 갈수록 하향세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방송사들의 주 수입원인 광고 수익이 줄어들 수 밖에 없고 이를 해결하고자 웹예능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우선, 기존 프로그램은 적게는 40명 많게는 100명 이상의 스태프들이 오랜 기간 촬영을 하며 긴 노동시간과 제작비가 부담되지만, 웹 예능은 러닝타임 자체가 짧다보니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과 적은 스태프로도 제작이 가능하다[1] . 따라서 제작비를 많이 아낄 수 있으면서, 구글 애드센스나 각 방송사별로 추가적인 광고 수입, PPL 등이 붙으면서 수익도 역시나 상대적으로 적긴 하지만[2] 나름 쏠쏠하다. 또한 실험적인 소재를 시험해볼 수도 있어, 미리 웹으로 방영을 해보고 반응을 확인할 수도 있다. 지금 당장은 큰 이익이 나지 않더라도 TV 프로그램은 하락세를 보일 수 밖에 없기에 미래를 위해 투자하는 분야라고 봐도 무방하다.
한국 최초의 웹예능은 네이버TV를 통해 배우 김수로가 제작한 20부작 <별을 쏘다>이다. 김수로가 배우를 꿈꾸는 학생 44명에게 워크숍하는 과정을 리얼하게 그려낸 작품이며, 편당 10여 분으로 이루어져 있다.
3. 특징
방송시간은 5분에서 15분 정도이며, 인터넷을 통해 짧은 시간 즐길 수 있는 콘텐츠로 구성된다. 웹 예능은 TV 예능에 비해 여러 제약에서 자유롭다는 장점을 지닌다.
MBC 에브리원에서 제작한 코코넛의 '아주 사적인 동화'의 경우 ASMR 형태를 차용하여 TV에서 전달하기 힘든 감각적 경험을 전달한다. tvNgo의 신서유기의 경우 특정 제품 브랜드의 이름을 대는 게임을 선보임으로써 기존 TV 예능의 제약으로부터 자유롭다는 점을 의도적으로 보여주기도 했다.
웹예능이라는 포멧을 최초로 시도한 나영석 사단은 아예 6분 동안 하이라이트만 편집된 영상을 방송하고, 전체 영상은 유튜브에 업로드하는 파격적인 시도를 삼시세끼 - 아이슬란드 간 세끼부터 도입했는데 방송 시청률은 4% 내외, 유튜브 영상은 백만 단위 조회수를 기록하며 성공했고, 역으로 방송을 보는 시청자들이 유튜브로 유입되는, 기존 시스템과는 정반대의 결과를 만들어냈다. 얼마나 성공적이었던지 나영석 PD가 생각없이 달나라 공약을 걸었던 유튜브 100만 구독자를 마지막 방송 1주일 전에 찍어버려서 다급하게 구독 취소를 호소했을 정도(...) 2020년 5월 현재 구독수는 180만을 넘었다.
2019년에는 EBS의 웹예능인 자이언트 펭TV와 펭수가 큰 인기를 끌기도 했다.
4. TV와의 연계
기존에는 TV에서 예능 프로그램을 방영하고 재밌는 클립을 웹사이트로 가져왔다면, 웹에서 먼저 방영한 뒤 이를 TV 프로그램으로 만드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대표적인 예는 신서유기 시즌 2로 2016년 4월 22일부터 심의 규정 등 TV 방송이 가능하도록 재편집하여 방송하고 있다. 놀면 뭐하니? 역시 웹예능으로 시작하여 TV 프로그램으로 이어간 케이스다.
웹 플랫폼과 방송사 양측의 소비자를 끌어들여 새로운 소비층을 만들어야 하는 방송사 표 웹 예능 프로그램들은 이를 더욱 활발히 할 예정이다. 인터넷이라는 매체 특성 상 시청자 반응을 수집하기 쉽고 콘텐츠를 짧게 만들어도 문제가 없다는 장점이 가장 크다. 게다가 포맷은 기존 예능프로그램과 크게 달라지지 않아 방송사에서 시도하기 쉽고 리스크는 적다. TV와 웹 플랫폼을 오가며 웹 예능 플랫폼 자체를 TV 시청자들에게 익숙해지도록 만들겠다는게 일단 방송사들의 일차적 목표.
2019년부터는 삼시세끼 - 아이슬란드 간 세끼를 시작으로 TV 프로그램으로는 클립 수준인 5분을 방영하고, 본편은 유튜브 채널로 방영하는 형태의 웹예능을 나영석 사단이 채널 십오야를 통해 선보이고 있다.
5. 웹예능 목록
5.1. KBS
5.2. MBC
5.2.1. MBC 해요TV
- ~의 사생활 시리즈
- 오마이걸 미라클 원정대
5.2.2. MBC 엠빅티비
- 5분 후려치기
- 꽃미남 브로맨스
- 아이돌 초근접 관찰 일기 - 나를 찾아봐
- 오마이갓팁
- 허리케인 블루
5.2.3. M드로메다
5.3. SBS 모비딕
- I.O.I의 괴담시티
- 쎈 마이웨이
- 워너시티
- 상준아 모하니
5.4. tvN
이 분야의 대표적인 선도주자로, 나영석 PD를 필두로 하여 상당한 프로그램을 웹예능-TV예능 교차플랫폼으로 전개하고 있다.
5.4.1. tvN go
5.4.2. tvN D
- 《충재화실》
- 《대한중고나라》
- 《코덕뷰스》
- 《유명인싸》
- 《괴릴라데이트》
- 《죽네투어》
- 《마일리지사커》
- 《최자로드2》
- 《김보성의 의리뷰》
- 《지멋대로해라》
- 《노라조의 오픈빨》
- 《차둘박이》
- 《괴놈프로젝트》
- 《포식자》
- 《피옷가게》
- 《밀어서 무장해제》
- 《수트롱맨 : 생명수 쟁탈전》
5.4.3. 채널 십오야
5.5. JTBC 디지털 오리지널
5.6. 카카오TV 오리지널
- 카카오TV 모닝
- 내 꿈은 라이언
- 찐경규
- 페이스아이디
- 아름다운 남자 시벨롬
- COMEBACK SHOW MU:TALK LIVE
- 덕후투어
- 런웨이
- 가짜사나이2
- 에이티즈 피버 로드
- 싱어게인 전체 공개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2
- 맛집의 옆집
- 톡이나 할까?
- 개미는 오늘도 뚠뚠 챕터3
5.7. EBS
5.8. 기타
- 키스노하우
- 고등학생간지대회
- 고딩들의 드레스 룸
- 뇌피셜
- 문명특급
- 빅픽처
- 아미고TV
- 아주 사적인 동화
- 엑스텐
- 연애전과
- 위키미키 모해?
- 지원의 작업실
- 진리상점
- 클릭비의 월차
- 프로듀썰
- 호모루덴스
- 청담Key친
- 이츠 서울
- 이세상 퀴즈가 아니다, 이세퀴
- 조기품절 어떰유통
- 왜냐맨
- 딩고 뮤직
- 딩고 프리스타일
- 가짜사나이 시리즈
- 예리한방
- MKIT WON
- 장스타
- 싱스트리트
- 지구를 지켜츄
- STAR WARS
- 이상한 마을
6. 둘러보기
7. 관련 문서
[1] 예를 들어서 KBS 간판 프로그램인 1박 2일의 경우 출연자 6명, 스태프 약 100여 명에 2주에 한 번 1박 2일에 걸쳐 촬영을 하지만, 라끼남의 경우, 출연자 1명, 스태프는 PD 1명, 작가 1명, VJ 1명으로 3명만으로도 제작을 하고 있다.[2] 전성기 시절 무한도전이나 1박 2일은 1주일 치 광고 수입으로 예능국 전체 제작비를 감당할 수준의 매출을 올렸다. 아무리 유튜브 조회수가 백만 단위로 찍힌다고 해도 수십억 대의 지상파 광고 수입에는 비교할 정도가 아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