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일

 


1. 唯一
1.1. 唯二
2. 劉壹
2.1. 창작물에서


1. 唯一


오직, 단 하나의.
'고유(固有)'와 달리 ''''有(있을 유)'가 아니고 '唯(오직 유)'이다.''' '有一'은 있지만 보통명사가 아니고 고유명사이다. 수식어로 특정한 대상 가운데 단 하나의 독보적인 유형을 설명할 때 "~가 ~ 중에서 유일하다."라는 식으로 사용된다. 절대로 "유일한 ○○ 중 하나"로 쓰지 말자. 말이 안 된다.
강조하여 '유일무이', '오직 하나이며 둘도 되지 않음'이라는 말도 존재한다. 그리고 이 표현이 아래 唯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크다.

1.1. 唯二


여럿 가운데에서 둘뿐인 일에는 '유이(唯二)하다'라는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1937년동아일보에서 유이하다는 표현을 사용한 기록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기자들이나 작가들이 글을 썼을 때 유이하다는 표현을 사용한 흔적이 계속해서 관측될 정도로 문어체에서는 의외로 흔하게 사용되어오는 표현이다. 그러나 '유이'를 넘어서 '유삼(唯三)'이나 '유사(唯四)'라는 표현은 거의 쓰이지 않는다.
국립국어원에 따르면 유이하다는 표현은 표준어가 아니라고 못을 박기는 했지만 현실적으로는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표현이라고 의견을 밝히기도 했다. #
자세한 내용은 <유이> 문서 참고.

2. 劉壹


劉壹
생몰년도 미상
후한 말의 인물.
공조로 화흠 휘하에 있다가 손책이 예장을 공격하기 전에 우번을 파견해 화흠을 설득하도록 했는데, 우번이 오자 화흠이 손책이 오면 떠날 것이라 하고 우번은 이를 손책에게 보고했다.
그러자 손책이 군사를 나아가게 했는데, 강표전에 따르면 우번이 돌아간 후에 화흠이 상담하자 유일은 손책에게 항복을 권했다. 화흠은 유요에게 임명되었지만 조정에 임명된 관리로부터 임명받은 것이기에 항복할 수 없다고 하자 유일은 왕랑이 조정에게 임명되었다가 손책에게 항복했음에도 용서받은 것을 이야기하면서 항복해도 된다고 했다.
이에 화흠은 손책이 오자 항복했고 손책은 예장을 손에 넣게 되었다.
유일이 항복을 권한 부분이 강표전의 기록 문제가 보이는데, 정사 삼국지 본전의 기록에서는 화흠은 마일제의 연을 지내다가 동쪽으로 서주까지 가서 조서를 받아 예장태수에 임명된 것이다.

2.1. 창작물에서


김경한 삼국지에서는 유일이 왕랑에 대한 이야기를 한 것을 두고 유일이 화흠에게 핑계거리를 만들어주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