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천일류
1. 개요
미야모토 무사시가 만년에 완성한 검술. 일본어로는 니텐이치류라고 읽는다. 니텐류(二天流), 무사시류(武蔵流)라고도 부른다.
2. 상세
당시 사무라이들이 항시 지참했던 대도(타치 혹은 우치가타나)[1] 와 소도(와키자시)를 이용한 이도류가 특징으로, 일인 다수를 상대할 때 효율적이라고 한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도의 우수성을 인정했으며(그래서 二天一流), 상황과 상대에 맞는 무기와 전법을 통해서 승리를 거두는 것을 이념으로 하고 있다.
병법서인 오륜서에 유파의 모토와 대략적인 개요가 설명되어 있다. 다만 수련 방법이나 형(초식) 등은 기재되어 있지 않고, '''"자세한 내용을 써서 나타내기는 힘들지만, 잘 단련해야 할 일이다."'''같은 식으로 넘겨 버리는 부분도 많이 있다. 물론 그 당시에 비법의 노출을 막기 위해 비전이라 할 만한 기술 등은 직접 전수하고 자세한 내용은 구전으로 전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던 만큼 별로 이상한 일은 아니다.
특히 '박자'(요즘 식으로 말하자면 리듬)[2] 의 중요성을 크게 강조하였으며, 기합과 다양한 상황에서의 대처, 흔들림없는 마음가짐을 중요시 여겼다. 전자는 무사시의 합리적인 성품을, 후자는 니텐이치류가 기술만큼이나 쓰는 사람의 마음을 중요시함을 보여준다.
오륜서의 마지막인 하늘의 장을 보면 니텐이치류의 도는 '공(空)'이라 한다. 노자로부터 상당한 영향을 받은 듯하다.
제5권 空(하늘의 장)
니텐이치류의 도를 공(空)이라고 써서 밝혀둔다.
'공'이란 의미는 사물이 아무 것도 없다는 것, 즉 인간이 아는 것이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한다. 물론 '공'은 없다는 것이다. 사물이 있다는 것을 알고, 비로소 없다는 것도 알게 된다. 이것이 즉 '공'이다.
세상의 속된 견해로서는, 사물을 판단할 수 없는 것을 '공'이라고 알고 있지만, 이것은 참된 '공'이 아니다. 모두 허황된 마음인 것이다.
병법의 도에 있어서도, 무사로서 도를 행하는 데 무사의 법을 알지 못하는 것은 공이 아니며, 여러 가지로 혼란이 있어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공이라고 말하고 있는데, 이것은 참된 의미의 공이 아니다.
니텐이치류의 병법의 도를 확실히 습득하여 그밖의 무예도 몸에 붙여 무사가 행할 도를 밝혀 잘 터득하고, 마음의 혼란을 피하고, 항상 게으르지 않으며, 심의(心意)의 두 마음(정, 중)을 닦고 관견(觀見)의 두 눈(마음과 눈)을 밝게 연마하여, 조금도 흐림이 없는, 혼란과 구름이 개인 상태야 말로 참된 공이란 것을 알아야 한다.
참된 도를 알지 못하는 동안에는 불법(佛法)이건 세상사의 법이건, 자기만이 옳다고 생각해도 좋은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지만, 마음의 아전인수격의 견해나 왜곡에 의해 올바른 도(道)에 위배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한 것을 잘 분석해서 곧은 정신을 근본으로 하는 진실된 마음을 도로하여, 병법을 널리 행하고 바르고 밝게 대국을 판단할 수 있도록 공(空)을 도(道)로 하며, 도를 공으로 보아 행해야 할 것이다.
공의 마음에는 '선'은 있지만, '악'은 없다. 지혜가 있고, 도리가 있으며, 도가 있어야 비로소 마음은 '공'이다.
쇼호 2년(1645년) 5월 12일에 이 글을 맺는다.
2.1. 국내 현황
한국에서는 이천일류 무사시회 정식 한국지부에서 수련 및 교습을 진행하고 있는데, 체육관의 이름은 고경당무도관, 혹은 이도연구회로 경기도 고양시 덕양구에 소재해 있다.홈페이지 정기적으로 타도장 참여자들을 대상으로 주말 세미나를 개최하고 있다.인스타그램
3. 기타
사족이지만, 다이카이 신켄오의 일반 필살기가 이천일류-난참[3] 이다.
초창기 드럼 앤 베이스 아티스트였던 photek의 대표곡중 하나는 곡명을 여기서 따오기도 했다. 요즘 드럼앤베이스에 비하면 베이스로 밀고나간다거나 멜로딕한맛은 없지만, 일본 전통문화 특유의 미니멀리즘을 연상케 할정도로 극도로 절제된 느낌이 일품. 뮤직비디오의 경우 흑백 찬바라 영화를 편집한 장면들의 나열이다.[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