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린

 

1. 개요
2. 작품 활동
2.1. 단편소설집
2.2. 장편소설
2.3. 산문집
3. 수상 목록
4. 기타
5. 표절?

[image]
'''제31회 이상문학상 수상 '''
정미경
밤이여, 나뉘어라
(2006)

'''전경린
천사는 여기 머문다
(2007)'''

권여선
사랑을 믿다
(2008)
'''제56회 현대문학상 수상 '''
박성원
얼룩
(2010)

'''전경린
강변마을
(2011)'''

전성태
낚시하는 소녀
(2012)

1. 개요


대한민국의 소설가.
1962년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태어나 경남대학교 독어독문학과를 졸업했다.
1995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중편소설 <사막의 달> 이 당선되어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1]
전경린 소설의 특징은 강렬한 이미지에 있다. 특유의 여성적이고 섬세한 문체가 강렬한 이미지를 발산하는데 그 기세가 장난아니다. 대표적으로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이 있는데, 이 소설은 1999년도 베스트셀러이자 현재에 와서 밀리언셀러로 꼽히고, 배우 김윤진에게 여우주연상을 안겨준 영화 <밀애> 의 원작이기도 하다. 흔히 전경린을 향해 '정념의 작가' 혹은 '대한민국에서 연애소설을 가장 잘 쓰는 작가'라고 부르기도 한다. 그만큼 사랑에 대한 감정을 정확하게 캐치에서 불씨를 천천히 키우듯 강렬하게 묘사한다. 그만큼 문장 하나하나가 화려하기로도 유명하다. 그저 단순한 일상에서 욕망을 포착해 그 이미지를 불태우는 문장에 매료되어 그녀의 소설이 출판 되자마자 읽는 독자들이 많다. 은희경, 신경숙과 더불어 90년대 대표 작가로 불린다.
2010년 경남대학교의 교양학부 정교수로 임용되어 교수로 일하기도 했다.

2. 작품 활동



2.1. 단편소설집


  • 염소를 모는 여자 (1996)
  • 바닷가 마지막 집 (1998) [2]
  • 물의 정거장 (2003)
  • 천사는 여기 머문다 (2014)

2.2. 장편소설


  •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 (1997)
  •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1999)
  • 나는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낯선 바다를 떠도네 (2001) [3]
  • 열정의 습관 (2002)
  • 검은 설탕이 녹는 동안 (2002)
  • 황진이 (2004)
  • 언젠가 내가 돌아오면 (2006)
  • 엄마의 집 (2007)
  • 풀밭 위의 식사 (2010)
  • 최소한의 사랑 (2012)
  • 해변 빌라 (2014)
  • 이마를 비추는, 발목을 물들이는 (2017)

2.3. 산문집


  • 그리고 삶은 나의 것이 되었다 (2003)
  • 나비 (2004)
  • 붉은 리본 (2006)

3. 수상 목록


  • 1996년 제29회 한국일보문학상 「염소를 모는 여자」
  • 1997년 제2회 문학동네소설상 「아무 곳에도 없는 남자」
  • 1998년 제3회 21세기문학상 「메리고라운드 서커스 여인」 [4]
  • 2004년 제1회 대한민국소설상 「여름 휴가」
  • 2007년 제31회 이상문학상 「천사는 여기 머문다」
  • 2011년 제56회 현대문학상 「강변마을」

4. 기타


  • 이름인 전경린은 필명이다. 누군가 '린' 이라는 화두를 두었고, 차례대로 전과 경을 붙여서 탄생한 이름이다. 수필가 <전혜린>이 떠오른다는 것을 작가도 잘 알고 있다고 한다. 본명은 안애금
  • 소설가 은희경과 이상하게 연관이 있다. 동아일보 신춘문예 공동수상 [5]에다가 문학동네 소설상의 1회 수상자가 은희경이다. 심지어 1998년 동아일보에서 여성 문인 3인의 소설을 릴레이로 연재했는데 그 세 사람이 전경린, 은희경, 공지영(…). 여기 연재된 소설은 전부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전경린의 <내 생에 꼭 하루뿐일 특별한 날> [6], 은희경의 <마이너리그> 그리고 공지영의 <봉순이 언니>

5. 표절?


그런데 6월 18일 국민일보 뉴스에 따르면 전경린 소설 ‘엄마의 집’ 중 주인공이 엄마를 그리워하며 노트에 베껴쓴 시'가 HOT강타의 1집앨범을 표절했다는 의혹이 제기 되었다.
아직은 작고 어린 내게 세상이 선물한 건
아직은 내가 이길 수 있을 만큼의 시련
내가 견딜 수 있을 만큼의 아픔과 고통
그리고 내가 참을 수 있을 만큼의 눈물
그것보다 더 큰 선물은 앞으로도 그럴 수 있다는 나의 믿음
(강타 1집 ‘Polaris’ 앨범 중 ‘나…세상…나 (I Will)-나의 이야기 두울’)
아직은 작은 내게 세상이 허락한 건
작은 내가 견딜 수 있는 아픔과 고독
내가 이길 수 있을 만큼의 시련
그리고 내가 참을 수 있을 만큼의 눈물
그것보다 더 큰 선물은 앞으로도 내가 그럴 수 있다는 나의 믿음한편
(전경린 소설 ‘엄마의 집’ 중 주인공이 엄마를 그리워하며 노트에 베껴쓴 시)
그리고 6월 18일자 국민일보 기사로 바로 해명문이 올라왔는데, 소설 속 인물 호은이 노트를 베껴 쓰는 과정이어서 스무 살의 감성에 맞는 것을 인용한 것이었고, 강타의 노래 나레이션과 단어 몇 개가 다른 것은 소설로 옮기는데에서 실수한 것이라고 한다. 인터뷰 말미에 '''베껴도 이렇게 대놓고 베끼겠어요?''' 라는 말을 하는 걸로 봐선 진짜 표절의 의도는 없었던듯. 문제가 있다면 그걸 책 뒤편에 표기하지 않은 것이 문제라고 할 수 있다. 은희경의 <소년을 위로해줘>와 김애란의 <두근두근 내 인생>에서 볼 수 있듯[7], 책의 뒤편에 어디어디의 허락을 받아 책에 기재한다는 등의 안내가 없기 때문에 생겨난 것.

[1] 공동수상이었는데, 함께 당선된 작가가 다름 아닌 은희경[2] <환과 멸(2001)> <바닷가 마지막 집(2005)>로 개정판이 나왔지만 현재는 모두 절판[3] 『유리로 만든 배』라는 제목으로 1, 2권이 합본되어 개정판으로 나왔다[4] 현재는 이수문학상[5] 동아일보 신춘문예는 단편소설과 중편소설 각각 따로 상이 있다. 두 사람은 중편소설에서 공동수상하였으며 은희경은 <이중주> 전경린은 <사막의 달>이라는 작품으로 수상했다.[6] 연재 당시 제목은 「구름모자 벗기 게임」[7] 두 책은 모두 원저작자의 허락을 받아 책 속에 인용한 것이라고 기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