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구
1. 도구
[image]
덩어리진 물건이나 곡식을 빻아서 가루로 만들기 위한 도구. 친척으로는 막자가 있으며, 블렌더의 조상뻘이기도 하다. 사실 블렌더의 직계 조상이 되는 건 맷돌이다. 곡식을 도정하는 용도로 사용하기도 했다.[1]
그릇 부분인 절구통, 막대 부분인 절굿공이로 이뤄지는데, 이 짤처럼 , 양손에 절굿공이를 들고 내려치는 식으로 재료를 분쇄한다.
절굿공이가 아무래도 꽤나 무거운 물건이다 보니, 절구질을 시작하고 나서 오래지 않아 피로를 느낀다. 절구통은 더해서 '개미가 절구통 물고 나간다'나 '절구 천중만 하다'라는 속담이 있을 정도. 오죽했으면 자동으로 절구질을 해 주는 물레방아라든가[2] , 원리는 다르지만 용도가 같은 물건인 블렌더가 나왔겠는가.
우리나라에선 예로부터 달의 무늬를 보고 절구 찧는 토끼가 있다고 생각했다.
구한말의 애국지사 중 하나인 원태우가 절구와 맷돌을 잘 만들었다고 전해진다.
태국 요리의 기본이 되는 도구로, 크록(ครก, khrok)이라고 부른다.
1.1. 막자와 막자사발
[image]
pestle and mortar.
고체 시료를 부수어 가루로 만들 때 쓰는 물건으로, 한손 크기의 작은 절구와 비슷하게 생겼다. 막자와 막자사발로 구분되며, 시료용은 보통 도자기로 만든다. 도자기 외에 유리나 광물로 만든 것도 있는데, 막자와 막자사발의 재질은 반드시 같은 걸 써야 한다.[3] 참고로 절구와 비슷하게 생겼다고 해서 절구 내려치듯이 힘껏 찍으면 막자가 상하며, 가볍게 두드려서 덩어리를 적당히 쪼갠 후 막자를 막자사발에 대고 돌려가며 갈아내는 게 옳은 사용법. 원리만 따지자면 절구보단 맷돌에 더 가깝다. 이 원리를 보면 알겠지만 지나치게 단단한 물질(광물이라던가)을 분쇄할 때 일반적인 막자를 사용했다간 역으로 막자가 갈려 버리므로 주의해야 한다. 약국의 상징 요소로, 당장 약국 간판을 봐도 이걸 그려놓은 약국이 태반이다. 이 때문에 막자+막자사발을 '약절구'라 부르는 경우도 있다. 군대에서도 쓰이는데, 덩어리진 화약을 가루로 곱게 빻아서 가공하는 용도로 쓴다.
요리용의 경우 대리석[4] 이나 화강암[5] 재질이 쓰이며, 막자는 막자사발과 같은 재질뿐만 아니라 올리브나무를 깎아 만든 것이 쓰이기도 한다. 요리용 막자를 쓰면 블렌더를 쓸 때보다 풍미가 뛰어난 페스토를 만들 수 있다.
2. 絶句
한자 5자 혹은 7자가 4행으로 이루어진 시 중 2행과 4행 끝에 글자가 비슷한, 혹은 동일한 글자(운자)를 쓰는 형식을 취한 시를 일컫는다. 각각 오언절구, 칠언절구라고 한다. 8행이 되어 운자를 2행, 4행, 6행, 8행에 붙이면 율시, 행수가 그 이상 많아지면 배율이라고 하며 이 형식을 지키지 않은 시는 고시라고 한다. 오언고시, 칠언고시 식으로. 중고등학교 한문(교과)에서 자주 배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