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읍시·고창군
1. 개요
기존 정읍시 선거구와 고창·부안 선거구의 인구 하한선 미달로 인하여 20대 총선에서 새롭게 재편된 선거구이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소속의 윤준병 의원이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 및 역대 선거 결과
2.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
2.2. 제19대 대통령 선거
2.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더불어민주당이 제1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마지막으로 당선된 이후 16년만에 당선자를 배출하였다. 유성엽 후보는 민선3기 정읍시장을 거쳐 18대와 19대 총선에서는 무소속으로 출마해 당선되는 저력을 보여줬으며, 20대 총선에서는 국민의당으로 출마해 당선되었으나, 소속당의 지지율과 과거 본인의 행동으로 인해 지역주민들한테 서서히 외면받아 4선도전에는 실패하게 되었다.
이로써 더불어민주당은 정읍에서의 3연패 행진을 종식하게 되었다.
여담이지만 이 선거구는 전국에서 18곳 뿐인 국가혁명배당금당 후보가 없는 지역구중 하나였다.
2.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
정읍·고창 선거구는 인구 하한선을 넘어 선거구를 유지할 수 있으나 근처의 김제·부안 선거구가 인구 하한선에 못미쳐 김제시는 다른 선거구에 붙고, 부안군은 이 선거구에 붙어 정읍·고창·부안으로 개편될 가능성이 크다.
참고로 부안군 백산면과 정읍시 신태인읍과 이평면이 맞닿아있다. 정읍과 부안은 교류가 있으나, 그만큼 선거구가 비대해질 수밖에 없다.
3. 관련 문서
[정읍] 내장상동, 수성동, 장명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舊 정읍시)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舊 정읍군)[고창]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1] 수성동, 장명동, 내장·상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평·과교동 (구 정주시)[2]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구 정읍군)[3] 고창읍[4]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5] 내장상동, 수성동, 장명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舊 정읍시)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舊 정읍군)[6]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舊 정읍군)[고창]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1] 수성동, 장명동, 내장·상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평·과교동 (구 정주시)[2]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구 정읍군)[3] 고창읍[4]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5] 내장상동, 수성동, 장명동, 시기동, 초산동, 연지동, 농소동, 상교동 (舊 정읍시)
신태인읍, 북면, 입암면, 소성면, 고부면, 영원면, 덕천면, 이평면, 정우면, 태인면, 감곡면, 옹동면, 칠보면, 산내면, 산외면 (舊 정읍군)[6] 고창읍, 고수면, 아산면, 무장면, 공음면, 상하면, 해리면, 성송면, 대산면, 심원면, 흥덕면, 성내면, 신림면, 부안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