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수학 교육과정/고등학교 선수1-1

 



1. 소개
2. 목차
2.1.1. 중단원 1. 명제 및 그 관계
2.1.3. 중단원 3. 간단한 논리 연결사
2.1.4. 중단원 4. 양화사 (전칭과 특칭)
2.2. 제2장. 이차곡선
2.2.1. 중단원 1. 타원
2.2.2. 중단원 2. 쌍곡선
2.2.3. 중단원 3. 포물선
2.3. 제3장. 도함수와 그 응용
2.3.1. 중단원 1. 변화율과 도함수
2.3.2. 중단원 2. 미분 공식
2.3.3. 중단원 3. 도함수의 활용
2.3.4. 중단원 4. 생활 속의 사례
3. 여담


1. 소개


원제
高中数学选修1-1
번체 및 한국어
高中數學選修1-1
고중수학 선수1-1
중국 고등학생들 중 문과가 2학년 때 배우는 필수 과정이다. 중국의 전국 통일 대입 시험인 보통고등학교학생모집전국통일고시(가오카오)의 문과 시험 범위에 속한다.
대한민국의 경우엔 집합과 명제를 함께 다루지만, 중국에서는 '명제'를 따로 후속 과정으로 빼서 다룬다. 특히 명제 단원은 우리나라 학생들이 배우는 그 수준 이상의 내용이 들어있다. 그리고 이과들만이 배우는 '''이차곡선이 중국 문과 학생들에게는 필수'''이다. 또 하나 차이점이 있다면, 우리나라 학생들은 다항함수의 미분법, 적분법을 모두 배우지만, 중국 문과 학생들은 미분법만 배운다.

2. 목차



2.1. 제1장. 상용 논리 용어


한자 원문은 '常用逻辑用语'이고, 독음은 '상용라집용어'이다. 중국 고등학교 수학/필수1에서 배웠던 '집합' 단원의 연장선으로, 대한민국 교육과정의 '명제'에 해당하면서도 그것보다 조금 더 심화되었다.

2.1.1. 중단원 1. 명제 및 그 관계


한자 원문
命题及其关系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2015)

2.1.2. 중단원 2. 충분조건필요조건


한자 원문
充分条件与必要条件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2015)

2.1.3. 중단원 3. 간단한 논리 연결사


한자 원문
简单的逻辑联结词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2015)

2.1.4. 중단원 4. 양화사 (전칭과 특칭)


한자 원문
全称量词与存在量词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 외
  • '임의의~', '어떠한~'의 표기를 배운다.

2.2. 제2장. 이차곡선


원문 한자는 '圆锥曲线与方程'으로 '원추곡선과 방정식' 정도로 해석이 된다.

2.2.1. 중단원 1. 타원


한자 원문
椭圆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기하(2015)

2.2.2. 중단원 2. 쌍곡선


한자 원문
椭圆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기하(2015)

2.2.3. 중단원 3. 포물선


한자 원문
抛物线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기하(2015)

2.3. 제3장. 도함수와 그 응용


원문 한자는 '导数及其应用'으로 '도함수와 그 응용' 정도로 해석이 된다.

2.3.1. 중단원 1. 변화율과 도함수


한자 원문
变化率与导数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Ⅱ(2015)

2.3.2. 중단원 2. 미분 공식


한자 원문
导数的计算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Ⅱ(2015)
미적분(2015)

2.3.3. 중단원 3. 도함수의 활용


한자 원문
导数在研究函数中的应用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수학Ⅱ(2015)
미적분(2015)

2.3.4. 중단원 4. 생활 속의 사례


한자 원문
生活中的优化问题举例
[image]
2015 개정 교육과정
교과 외

3. 여담


  • 적분은 배우지 않는다. 다만, 초월함수의 미적분까지 다루는 것으로 보인다.
[각주]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