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대발표

 

1. 소개
2. 각종 중대발표 사례


1. 소개


개인이나 기관, 단체 또는 국가 등이 매우 중요한 사안에 대해 공식적인 선언이나 입장을 표명하는 것.
일반적으로 중대발표의 내용은 언론사에 미리 알려주지 않거나 엠바고 요청을 해놓는다. 따라서 언제 어디서 누가 중대발표를 한다고 뉴스가 나면 사람들이(특히 증권가 쪽) 몹시나 그 내용을 궁금해 하며 실시간 검색어 순위에는 중대발표가 오르락 내리락한다.
막상 발표 시점이 되면 생각과는 달리 평이한 내용이 많아 낚시의 요소로도 많이 쓰인다. 게다가 '''중대'''발표라서 났다 하면 애꿎은 '''중대'''갤이 털린다.
북한에서 유독 즐겨쓰는 이벤트인데, 북한 중대발표 뉴스가 날 때마다 인터넷 상에는 전쟁 떡밥들이 돌아다니며 전장 분위기를 고조시키나 실은 생각보다 가벼운 내용이 발표되어 많은 이들을 허탈(?)하게 만들기도 하기때문에 이 단어의 가치가 북한 한정으로 떨어졌다.[1]
이렇게 인터넷상에서 중대발표가 희화화되기 시작한 건 북한이 아니라 중국 때문이다. 2010년 북한의 연평도 포격으로 동북아시아 정세가 긴박하게 돌아가자, 11월 28일 낮에 동일 17시에 중대발표를 하겠다고 해서 북한에 대한 강경대응 표명이냐 아니면 한미의 대북강경정책에 대한 전면비판이냐를 두고 말이 많았는데 정작 그 중대발표라는게 6자회담 수석대표 회동 제안이라 다들 허탈해했다. 당연히 6자회담 당사국들에게 모두 씹혔고, 이 날 중앙대 갤러리가 털리는 것을 시작으로 중대발표의 전통이 시작되었다.
한편 일본 서브컬처 계열에서도 중대발표라는 단어의 가치는 바닥을 친다. 이 바닥에서는 뭔가 중대 발표가 있다고 하면 '''99%는 쓰잘데기없는 시시한 발표에 불과하다'''. 거의 암묵의 룰 수준으로 굳어질 정도. 특히 특정 작품이 애니화되거나, 이미 애니화된 작품의 3기가 나올지도 모른다는 기대감을 팬들에게 심어주다가, 전혀 중요하지 않은 엉뚱한 발표로 낚시를 시전해 절망과 분노를 터뜨리는 것이다. 이 낚시의 절정은 바로 '''실사화'''. 다만 현장 이벤트+중대발표 조합은 조금 다르다. 이때는 대부분 애니화나 게임발매등 괜찮은 정보가 있으니, 중대발표 예정인지 이벤트에서 중대발표 예정인지 구분할 필요가 있다.

2. 각종 중대발표 사례


  • 2010년 12월 2일 NASA비소 기반 DNA 미생물 발견
  • 2011년 12월 19일 북한의 김정일 사망
  • 2012년 7월 18일 북한의 김정은 원수 칭호 획득
  • 2012년 9월 25일 북한의 12년제 의무교육 개혁정책 발표
  • 2012년 12월 4일 NASA, 화성에서 유기화합물이 발견되어서 생명체의 존재 가능성 발표. (다만 생명체가 존재한다는 흔적은 보이지 않음)
  • 2016년 1월 6일 북한 수소탄 핵실험 실시
  • 2016년 9월 26일 NASA 허블 우주 망원경유로파 수증기 분출 관측 발표.
  • 2017년 7월 4일 북한의 대륙간 탄도 미사일 발사 성공 발표
  • 2017년 9월 3일 북한의 ICBM 장착용 수소폭탄 실험 성공 발표

[1] 만일 북한이 실제로 전쟁을 일으키려고 한다면 기습을 하지, 대놓고 중대발표로 선전포고를 할 확률은 매우 낮다 못해 없다고 할 수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