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의 마지막 날: 생존/아이템
1. 개요
지구의 마지막 날: 생존에 나오는 아이템의 총 정리.
아이템은 무기, 아이템, 가구, 의류, 이동수단, 방어시설의 6가지 종류가 있으며, 거의 대부분의 아이템은 1칸당 20개를 소지할 수 있으나 일부 2차 제작에 필요한 아이템(주로 이동수단 관련 아이템)은 1칸당 1개씩, 쿠폰, 고철, 좀비의 치아, 뇌, 눈알은 1칸당 50개씩 차지한다.
제작과 중복되는 부분이 있지만, 종류별로 구분하기가 어려워 별도의 항목을 작성했다.
2. 회복(Heal)
회복 아이템의 회복 수치 중 생명력 회복 수치는 플레이어의 기술 중 '의무병' 기술과 '식탐' 기술의 영향을 받는다. 의무병 기술의 레벨이 높을 수록 붕대의 생명력 회복량이 증가하고 식탐 기술의 레벨이 높을 수록 일반 식량의 생명력 회복량이 증가한다. 후술할 생명력 회복량의 경우 두 기술의 영향을 받지 않았을 때의 기본 회복 수치이다.
베타 1.16.5 ~ 1.17.4 시절에는 식품의 생명력 회복이 즉시 이루어지는 게 아니라 이터널시티 2처럼 조금씩 천천히 회복되는 방식으로 바뀌었던 적이 있었다. 현재는 다시 기존처럼 즉시 회복으로 롤백되었다.
아이콘 | 아이템 이름 | 회복 수치 | 획득 방법 |
[image] | 붕대 (Bandages) | 생명력 40 | [image] × 5 |
천 조각 5개로 제작할 수 있다. 레벨 10 이상이어야 제조법을 배울 수 있으며 제조법을 배울 때 스킬 포인트 1이 필요하다. '의무병' 기술의 효과를 받으면 회복량이 조금 더 늘어난다. 시기를 막론하고 대단히 유용한 회복 아이템으로, 특히 자원 지대에서 쓰러뜨린 좀비의 시체에서 긁어모은 천 조각으로 즉석에서 붕대를 만들어 체력을 회복하는 등의 응용이 가능하다. | |||
[image] | 구급상자 (First Aid Kit) | 생명력 100 | 붕대 × 3 + [image] × 2 |
붕대 3개와 알코올 2개로 제작할 수 있다. 레벨 34 이상이어야 제조법을 배울 수 있으며 제조법을 배울 때 스킬 포인트 1이 필요하다. '의무병' 기술의 효과를 받지 않고 무엇보다 붕대 3개면 체력 120 + α를 회복할 수 있기 때문에 체력 회복 효율은 떨어진다. 과거에 최대 생명력이 100이던 시절에는 좋든 싫든 약간은 회복량 손실이 있었기도 했다. 하지만 붕대를 3번 연타해서 회복할 체력을 터치 한 번에 회복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으로, 그만큼 손이 덜 간다는 점이 장점이다. 또한 묶음 단위, 즉 20개 단위로 놓고 보면 붕대 한 묶음은 800 + α의 회복량을 지녔지만 구급상자 한 묶음은 2,000의 회복량을 지녔기 때문에 묶음 단위로 들고 다닌다면 이 쪽이 더 좋다. 어차피 붕대나 구급상자나 얻기는 각자 나름대로 쉽기 때문에 상황에 맞게 가져가서 쓰면 된다. | |||
[image] | 날고기 (Raw Meat) | 생명력 7 배고픔 5 목마름 5 | 사슴, 늑대, 여우의 시체 |
사슴, 늑대, 여우를 사냥하면 반드시 하나씩은 얻을 수 있다. 그 자체로는 별로 회복량이 좋지 않고 조리를 하거나 건조시켜야 비로소 식품으로써 쓸 수 있게 된다. 하지만 개 식량으로 줄 수 있는 게 다른 익힌 고기는 안 되고 무조건 날고기만 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는 모으는 것이 좋다.. | |||
[image] | 육즙 가득한 스테이크 (Juicy Steak) | 생명력 20 배고픔 30 목마름 5 | 날고기 + 연료 + 2분 (모닥불) |
모닥불에 날고기를 구우면 얻을 수 있다. 설정 상 미디엄 레어로 익혔다고 한다. 회복량은 평범하지만 후술할 육포 때문에 직접 요리할 일은 없다. 요리하려면 별도로 연료가 필요하고, 그렇게 연료를 써 가면서 조리해도 정작 그냥 말린 것에 비해 배고픔 회복 수치가 살짝 떨어지기 때문이다. 여기에 스테이크는 상인이 요구하는 물품이 아니기 때문에, 서바이벌 가이드나 시즌 임무 목록 채우려고 조리하는 게 아닌 이상에는 조리하는 의미가 없다. | |||
[image] | 육포 (Jerky) | 생명력 20 배고픔 40 목마름 5 | 날고기 + 10분 (고기 건조대) |
날고기를 건조대에 말려서 얻을 수 있다. 만드는 데 있어 연료도 필요 없고 배고픔 수치도 10 가량 더 높기 때문에 스테이크에 비해 좀 더 효율적이어서, 플레이어가 먹는 육고기는 대개 이 쪽이다. 상인이 요구하기도 하기 때문에 여러모로 이 쪽이 좀 더 고평가받는다. | |||
[image] | 당근 (Carrot) | 생명력 15 배고픔 25 목마름 5 | 씨앗 + 1시간 → 당근 × 2 (텃밭) |
텃밭에 씨앗을 뿌려서 얻을 수 있다. 씨앗 하나 당 1시간이나 필요하지만 대신에 한 번에 2개씩 나오기 때문에 씨앗의 수급만 충분히 이루어진다면 충분히 많이 얻을 수 있는 식량이다. 후술할 당근 스튜로 조리할 수도 있지만 스튜로 만드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는 것도 아니라서 대개 당근을 그대로 먹는 경우가 많다. | |||
[image] | 당근 스튜 (Carrot Stew) | 생명력 20 배고픔 25 목마름 5 | [image] + 2분 (모닥불) |
모닥불에 당근을 요리하면 얻을 수 있다. 조리하기 이전의 당근과 비교하면 조리 결과가 해 봐야 생명력 회복량이 5 올라간 것밖에 없어서,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조리하지 않고 그냥 먹는 경우도 많다. 어차피 당근이나 당근 스튜를 먹는 경우는 체력 회복이 주 목적이기보다는 배고픔을 해결하기 위해서이기 때문. 다만 상인이 당근 스튜를 요구할 때도 있기 때문에 아예 요리할 필요가 없는 건 아니다. | |||
[image] | 열매 (Berry) | 생명력 5 배고픔 2 목마름 1 | 열매 덤불 |
자원 지역에 있는 열매 덤불에서 한 번에 3개씩 채집할 수 있다. 모닥불에 열매 3개를 끓여서 열매 차를 만들 수도 있다. 무슨 열매인지는 불명. 열매는 열매 차로 만드는 것보다 그냥 그 자체를 먹는 것이 더 고평가받는데 이유는 생명력 5 회복이 붙어 있기 때문. 또한 열매는 한번에 여러 개를 얻을 수 있어서 의외로 생명력 회복량이 높은 편이다. 극초반에 자원 지역에 갔는데 체력이 부족하다 싶으면 열매를 계속 따서 먹는 걸로 체력을 많이 회복할 수 있다. 베타 1.16.5 ~ 1.17.4 시절에는 생명력 회복량이 9였다. | |||
[image] | 열매 차 (Berry Tea) | 배고픔 5 목마름 30 | [image] × 3 + 2분 (모닥불) |
모닥불에 열매 3개를 요리하면 얻을 수 있다. 일반적인 상황에서 보면, 열매 3개와 비교하면 배고픔 회복량 차이가 1 정도밖에 안 되고 목마름은 열매 차가 훨씬 더 많이 채워주지만 생명력 회복량이 완전히 없어져서 이 부분만큼은 조리 전의 열매 3개에 밀린다. 또한 조리에 연료가 필요한데다, 조리 결과로 얻은 목마름 30은 그렇게 괜찮은 수치는 아니다. 소소하게나마 배고픔도 조금은 채워 주는 효과가 있지만 애초에 배고픈 건 다른 식품으로 해결하는 경우가 많아 별 의미는 없을 뿐더러, 그 목마름도 후술할 물병만으로 충분히 해결된다. 다만 이 게임을 맨 처음에 시작하고 물병 수급이 너무 안 된다 싶으면 그 땐 확실히 중요하다. 적어도 빗물받이를 만들고 물병을 쉽게 소모할 수 없는 초반에는 도움이 된다. | |||
[image] | 생수 (Bottle of Water) | 목마름 50 | 자원 지역의 상자 등 [image] + 10분 (빗물받이) |
자원 지역의 상자를 포함해 다양한 지역에서 얻거나 빈 병을 빗물받이에 넣어 두면 얻을 수 있다. 물병을 사용하면 빈 병 아이템이 남는다. 빗물받이를 만들고 여기저기에 널린 물병이나 빈 병을 충분히 수급한 뒤로는 일상의 식수를 물병으로 해결하게 된다. | |||
[image] | 통조림 식량 (Canned Food) | 생명력 15 배고픔 25 목마름 5 | 자원 지역의 상자 등 |
자원 지역의 상자를 포함해 다양한 지역에서 얻을 수 있다. 물병과 마찬가지로, 통조림 식량을 사용하면 빈 깡통 아이템이 남는다. 평범한 식량 자원이다. 똑같이 평범한 식량 자원인 당근과 비교하면 생명력 회복량이 살짝 덜하고 식사 후에 잡템이 남는다는 단점이 있지만 재배에 시간이 대단히 오래 걸리는 당근에 비하면 이 쪽이 수급률이 좀 더 높아 비등비등하다. 베타 1.14 이전까지는 '콩 통조림(Baked Beans)'이었으며 아이콘도 아래와 같이 생겼다. 물론 스펙 상의 차이는 없다. [image] | |||
[image] | 맥주 (Beer) | 목마름 20 바로 소변 상태이상에 걸림 | 자원 지역의 상자 등 |
자원 지역의 상자를 포함해 다양한 지역에서 얻을 수 있다. 다만 물병에 비하면 그 확률은 조금 떨어진다. 목마름 20이 참 어중간한 수치인 것도 있지만, 맥주를 마시면 현재 상태에 관계없이 바로 소변 상태이상에 걸린다는 점 때문에 평소에는 자주 찾는 식품은 아니다. 소변 상태이상이 여러모로 안 좋은 상태이상인 만큼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별로 마실 이유가 없다. | |||
| 독한 술 (Strong Alcohol) | 목마름 30 냉동 상태이상 완화 | 자원 지역 내 도시락 상자 등 |
자원 지역에 가끔씩 있는 도시락 상자 등을 포함해 여기저기서 얻을 수 있으며, 잘 안 나오는 물품이다. 아이콘을 보면 알겠지만 위스키이다. 목마름 30 회복 외에 참나무 숲 같은 데에서 걸릴 수 있는 냉동 상태이상을 완화시킨다. 옷을 잘 챙겨 입었다면 냉동 상태이상에 걸릴 일은 많이 없지만, 그래도 만의 하나의 사태가 발생할 경우를 대비해 가져가는 것도 선택해 볼 수 있다. 참고로 주변이 추운 상태에서 술을 마시는 건 절대로 좋은 선택이 아니다.[1] 독한 술을 마셔서 덥게 느껴지는 이유는 체온이 올라가는 것보다 알코올로 인한 혈관 확장으로 피부 주위의 혈관이 활성되어 덥다고 느끼는 게 더 크다. 추운 환경에서 술을 마실 경우, 혈관 확장으로 따뜻하게 느낄지는 몰라도 더 많은 혈액이 외부에게 열을 빼앗기기 때문에 외려 중심체온이 더 내려가 위험해진다. | |||
[image] | 식용 버섯 (Edible Mushroom) | 생명력 5 배고픔 2 목마름 1 | 참나무 지역 |
주로 참나무 숲에서 채집할 수 있다. 다만 땅과 비슷한 색상을 띠고 있는데다 미니맵에 따로 나오는 것도 아니라서 눈에 잘 안 띈다. 자체 성능은 열매와 똑같으나, 베타 1.15.0 업데이트로 생긴 낚시 컨텐츠와 연동되는 식재료이기 때문에 차별화는 된다. | |||
[image] | 칠면조 고기 (Raw Turkey) | 생명력 7 배고픔 5 목마름 5 | 야생 칠면조의 시체 |
위험도 노란색 지역 이상의 자원 지역에서 종종 볼 수 있는 야생 칠면조를 쓰러뜨리면 얻을 수 있다. 날고기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로는 회복량이 저조하고 조리를 해야 비로소 회복 아이템으로써의 가치가 생긴다. 개 식량으로 줄 수도 있는데 날고기보다 수급률 면에서는 밀리지만 개당 효율은 대단히 높은 편이다. | |||
[image] | 구운 칠면조 (Roasted Turkey) | 생명력 100 배고픔 80 목마름 5 | 칠면조 고기 + 40분 (모닥불) |
칠면조 고기를 모닥불에 구우면 얻을 수 있다. 생명력과 배고픔 회복량이 무지막지하지만 수급률이나 조리 시간 등의 문제로 자주 먹기는 힘들다. |
3. 재료(Material)
게임 초기에는 미확인 아이템 및 미구현 아이템이 매우 많았으나, 매번 업데이트를 통해 그 수가 감소하는 추세니 아이템에 대한 걱정은 조금 덜어놔도 좋다.
- 용도 미확인 아이템들은 ?로 표시해 두었습니다.
3.1. 나무, 광석류
- 나무 - 원목
아이콘 | 아이템 이름 | 입수 경로 |
[image] | 소나무 통나무 (Pine Log) | 나무 조각, 소나무 벌목 |
나무 조각을 주워서 1개를 얻거나, 손도끼로 소나무를 벌목해서 3개씩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소나무 벌목 시에는 손도끼로 4번의 도끼질이 필요하다. 손도끼 하나의 내구도는 최대 50인데, 이론 상으로 2자루의 손도끼로 25그루의 소나무 벌목이 가능하며 이 경우 75개의 소나무 통나무를 채취할 수 있다. 목공 작업대에서 소나무 통나무를 가공해 소나무 판자를 만들 수 있다. 소나무 통나무 자체는 Lv. 1 벽 및 바닥의 건설 재료로 쓰이고, 손도끼, 곡괭이, 창, 횃불 같은 무기 및 도구 재료로도 쓰이며, 작은 상자, 모닥불, 텃밭, 목공 작업대, 샤워실, 빗물받이, 개 상자 시설의 재료이기도 하다. 거의 모든 아이템 제작의 '''필수 요소'''. 가장 쉽게 얻을 수 있는 자원 중 하나이며, 그런 만큼 대단히 많은 수량이 요구된다. 적은 수의 통나무 자체를 재료로 써야 하는 초반부터 시설 제작 및 건축에 판자를 대량으로 요구하는 중, 후반까지도 많이 쓰이는 만큼 꾸준히 모아야 하는 자원이다. 이외에도 모닥불이나 용광로에 연료로 쓸 수도 있고 상위 연료의 재료로도 쓰일 수 있으나, 더 고효율의 연료 및 재료가 있으며 얻기도 어렵지 않기 때문에 통나무 자체를 연료로 쓰는 일은 없다시피 하다. 통나무 하나는 2분 정도밖에 지속되지 않는다. | ||
[image] | 참나무 통나무 (Oak Log) | 참나무 벌목 |
참나무 벌목으로 2개씩 얻을 수 있으며, 참나무 벌목 시 철 손도끼로 8번의 도끼질이 필요하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목공 작업대에서 참나무 통나무 3개를 가공해 참나무 판자를 만들 수 있으며, 통나무 자체는 연료로도 쓸 수 있다. 참나무는 상대적으로 보기 대단히 힘든데다 참나무 판자가 건설 재료 및 시설 재료로 쓰이는 경우가 많아 이걸 연료로 쓸 일은 전혀 없다. 그 자체적으로 재료로 쓰이는 경우도 없기 때문에 참나무 통나무는 모두 참나무 판자를 만드는 데 쓰이는 편이다. | ||
[image] | 물푸레나무 통나무 (Ash Log) | 물푸레나무 벌목 |
물푸레나무 벌목으로 2개씩 얻을 수 있으며, 물푸레나무 벌목 시 철 도끼로 8번의 도끼질이 필요하다. 오랫동안 데이터 상으로만 있었다가 베타 1.15.0 때 드디어 인게임 내에 추가되었다. 목공 작업대에서 물푸레나무 통나무 5개를 가공해 물푸레나무 판자를 만들 수 있으며, 통나무 자체는 연료로도 쓰이고 가문비나무 시설의 재료로도 쓰인다. |
- 나무 - 판자
[image] | 소나무 판자 (Pine Plank) | [image] + 4분 (목공 작업대) |
목공 작업대에서 소나무 통나무를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소나무 판자는 [2] 이 세 시설들은 게임을 맨 처음에 시작할 때부터 얻을 수 있는 시설들이며, 1개 이상 기지 내에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다시 만들 필요가 없다. 소나무 통나무와 더불어 거의 모든 아이템 제작의 필수 요소. 소나무 통나무가 제일 기초적인 틀을 만드는 데 쓰인다면, 소나무 판자는 본격적으로 만들어진 기초적인 틀을 개선시키는 데 필요한 아이템이다. 후반 가서도 톱날 철퇴 같은 고성능 무기의 재료로도 쓰이는데다 건축 시에도 대량으로 필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꾸준히 많이 만들어 놔야 한다. 이외에도 용광로의 연료로도 쓸 수 있고 더 상위 연료의 재료로도 쓰이는데, 연료로 쓸 경우 이상하게도 통나무에 비해 판자의 연료 지속 시간은 3분으로 조금 더 오래 가는 편이다. 하지만 그렇다고 소나무 판자를 연료로 쓰지는 말자. 연료로 쓸 생각이라면 소나무 판자를 더 상위 연료의 재료로 가공해 쓰는 것이 가치가 더 높다. | ||
[image] | 참나무 판자 (Oak Plank) | [image] × 3 + 20분 (목공 작업대) |
목공 작업대에서 참나무 통나무를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참나무 판자는 재활용 도구, 인계선 덫, 제련된 용광로, 무기 진열대 시설의 재료로 쓰이고, 이외에도 상자를 트렁크로 업그레이드하거나 트렁크를 틀로 업그레이드할 때에도 필요하다. 또한 급조 권총, 낚싯대 같은 무기 및 도구 재료로도 쓰이며, 아늑한 소파, 말 구유 시설에도 필요하다. 또한 Lv.3 벽 업그레이드에도 필요하다. 참나무 판자를 안정적으로 얻을 수 있는 시기는 게임 중반, 오토바이와 발전기가 완성되고 북서쪽 감시탑이 활성화되는 시기이다. 참나무 판자를 요구하는 시설 중 재활용 도구나 제련된 용광로는 고급 재료들을 얻는 데 필요한 시설들이다. 하지만 참나무 판자의 제일 최대 사용처는 바로 '''Lv.3 벽 업그레이드.''' 참나무 판자로 만들 수 있는 Lv.3 벽부터는 하루에 한 번 꼴로 몰려오는 좀비 떼를 완벽하게 막을 수 있게 되며, 습격자들이 Lv.3 벽을 부수려면 C-4 폭탄을 요구하기 때문에 손도끼만 요구했던 기존에 비해 대단히 안정성이 증가한다. 벽의 업그레이드에 주로 쓰이는 만큼 역시 수량이 많이 요구되지만, 소나무와 달리 참나무 판자는 하나 당 3개의 통나무를 요구하는데다 참나무 통나무는 얻기 힘든 재료이다. 얻을 수 있을 때 최대한 많이 얻어 두고 쓸 때에는 잘 생각해서 쓰는 편이 좋다. 급조 권총이나 소파 같이 효용성 떨어지는 시설 만들겠다고 귀한 재료를 쓰는 어리석은 짓은 하지 말자. | ||
[image] | 물푸레 판자 (Ash Plank) | [image] × 5 + 1시간 (목공 작업대) |
목공 작업대에서 물푸레나무 통나무를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총기류, 헬기 등등 각종 고급 아이템에 사용된다. 특히 최후반부 아이템들은 물푸레나무 판자를 요구하는 것들이 대다수이다. |
- 돌 계열 자원
[image] | 석회석 (Limestone) | 돌 조각, 석회석 암석 채굴 |
돌 조각을 주워서 1개를 얻거나, 곡괭이로 석회석 암석을 채굴해서 3개씩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소나무와 비슷하게, 석회석 암석 채굴 시에는 암석을 곡괭이로 5번을 깨야 한다. 곡괭이 하나의 내구도는 최대 50인데, 이론 상으로 1자루의 곡괭이로 10개의 석회석 암석 채굴이 가능하며 이 경우 30개의 석회석을 채취할 수 있다. 석공 작업대에서 석회석 2개를 가공해 벽돌을 만들 수 있다. 석회석 자체는 손도끼 및 곡괭이 같은 도구의 재료로 쓰이고, 모닥불, 용광로, 개 상자, 고기 건조대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Lv.2 벽과 바닥 업그레이드용 건축 재료로 사용된다. 소나무와 더불어 쉽게 얻을 수 있는 자원 중 하나이며, 소나무에 비해 사용처는 적을 지 모르나 여전히 대량으로 필요하다. 특히 건축에는 석회석 내지는 그 석회석을 가공해서 만들 수 있는 벽돌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에 건축 자재로써의 가치가 매우 높다. | ||
| 벽돌 (Stone Brick) | [image] × 2 + 4분 (석공 작업대) |
석공 작업대에서 석회석 2개를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벽돌은 차고, 작업대, 제련된 용광로, 산 세척기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Lv. 3 벽과 바닥 업그레이드용 건축 재료로 사용된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차고나 제련된 용광로, 산 세척기 모두 해 봐야 벽돌 20개 정도밖에 요구하지 않고 저 시설들은 1개씩만 배치할 수 있다 보니 평소에는 많이 쓰이지 않는 재료이다. 하지만 본격적으로 Lv. 3 벽이나 바닥 타일 업그레이드를 하게 되면 그 때부터는 그야말로 석회석이 씨가 마를 정도로 무지막지한 수량을 쓰게 된다. 상인과의 거래 시 상인이 요구하기도 한다. |
- 금속 계열 자원
[image] | 철광석 (Iron Ore) | 철광석 채굴 |
곡괭이로 철광석 암석을 채굴해서 3개씩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용광로에서 철광석 2개를 제련해 철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철광석 자체는 목공 작업대, 샤워기, 용광로 시설의 재료로 쓰인다. 시설들은 어지간해서는 파괴되지 않으므로 시설에 철광석이 대량으로 사용될 리는 당연히 없고, 주요 사용처는 용광로에서 제련해서 철 주괴를 만드는 데 쓰인다. 소나무 판자처럼 철 주괴 역시 게임 초반부터 후반까지 대량으로 쓰이는데다 다양한 곳에서 재료로 쓰이기 때문에 그 원료가 되는 철광석 또한 많이 필요하다. | ||
[image] | 고철 (Scrap Metal) | 자원 지역 상자 자원 지역 내에서 사망한 AI 생존자의 시체 아이템 재활용 |
자원 지역 상자에서 몇 개씩 얻거나, 자원 지역 내에서 AI 생존자가 사망해 시체가 남을 경우 그 시체에 몇 개씩 있을 수도 있다. 재활용 도구 시설을 만들면 각종 금속 자원을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50개이다. 용광로에서 고철 4개를 제련해 철 주괴를 만들 수 있다. 고철 자체는 빗물받이, 개 상자, 석공 작업대, 무두질 틀, 가시덫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오토바이, 총포 제작 작업대 완성에 필요하다. 톱날 철퇴 무기의 재료로도 쓰인다. 게임 초반에는 시설 완성에 주로 쓰이고 시설이 완성되면 이후부터는 쓸 일이 많이 없어져 묻히지만, 나중에 톱날 철퇴를 제작할 수 있게 되면 그 때부터는 조금 사용처가 생기는 자원이다. 고철을 용광로에서 제련해 철 주괴로 만드는 건 약간 시기를 탄다. 게임 초반에는 고철을 시설 완성에 써야 하는데다, 무엇보다 대놓고 철 주괴로 제련해서 쓰라고 있는 철광석이 있기 때문에 고철을 철 주괴로 제련할 일은 없는 편이다. 철광석 2개가 철 주괴 1개로 제련되는 것에 비해 고철은 한 번에 4개씩 필요한 것도 조금은 마이너스 요소. 하지만 중반부에 들어서면 재활용 도구에서 뭘 재활용할 때마다 고철이 쏟아져 나오는데 정작 톱날 철퇴 제작에는 고철이 많이 쓰이는 편이 아니라서 고철이 남아돌게 된다. 따로 무기 개조 부품의 재료로 쓰이지도 않아서 딱히 쓸 데가 없는데, 이런 경우라면 굳이 철광석 채굴하러 갈 필요 없이 남는 고철을 철 주괴로 제련하는 것도 좋다. | ||
[image] | 철 주괴 (Iron Bar) | [image] × 2 + 4분 (용광로) [image] × 4 + 4분 (용광로) 알파 벙커 배급 상자 |
용광로에서 철광석 2개 및 고철 4개를 제련해서 얻을 수 있다. 알파 벙커에서 배급 쿠폰 20개로 교환할 수 있는 배급 상자 내에 있을 때도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철 주괴는 작업대에서 철 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철 주괴 자체는 , 석공 작업대, 무두질 틀, 재봉틀, ATV, 작업대, 라디오 송수신탑, 의료용 탁자, 산 세척기, 제련된 용광로 시설의 재료로 쓰이고, 이외에도 상자 업그레이드에도 필요하다. 또한 활, 철 손도끼, 철 곡괭이, 푸주칼, 쇠 지렛대, 삽, 금속 파이프, 곤죽 망치, 마체테 같은 무기 및 도구의 재료로도 쓰인다. 또한 Lv. 3 바닥 업그레이드에 건축 재료로 쓰인다. 나무 판자와 더불어 대단히 기초적인 자원 중 하나. 기초적이지만 게임 초반부터 후반까지 안 쓰이는 데가 없어 항상 대량으로 비축해 둘 필요가 있는 자원이다. | ||
[image] | 철 판 (Iron Plate) | [image] + 20분 (작업대) |
작업대에서 철 주괴를 가공해서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철 판은 작업대에서 못 2개로 가공할 수 있다. 철 판 자체는 재활용 도구, 의료용 탁자, 발전기, 제련된 용광로, 무기 진열대, 포탑 시설의 재료로 쓰이고, 이외에도 트렁크를 틀로 업그레이드하거나 라디오 송수신탑, 포탑의 업그레이드에도 사용된다. 강화 비니, 강화 재킷, 강화 청바지, 강화 부츠, 전술 방탄복, 전술 바지, 전술 부츠 의류의 재료로도 쓰이며, 금속 파이프 무기의 재료로도 쓰일 뿐더러 Lv. 4 벽과 바닥 업그레이드에도 건축 재료로 쓰인다. 만드는 데 시간이 대단히 오래 걸리지만, 초중반에는 딱히 쓸 데가 많이 없어서 그렇게 많이 요구되는 자원은 아니다. 다만 2티어 복장을 자주 강화해서 쓰거나 3티어 군복을 쓸 일이 많다면 의류 제작에 나름 쓰이기는 한다. 철 판이 주로 쓰이는 시기는 중후반부에 들어서 무기 개조 부품을 만들 시기부터이다. 무기 부품이 철 판을 대량으로 요구하기 때문에 그 때부터는 수요가 상당히 늘어난다. 또한 Lv. 4 바닥에도 철 판이 요구되는데, 역시 한꺼번에 대량으로 재료를 요구하는 건축 자재 특성 상 그 수요가 또 한 번 껑충 뛴다. | ||
| 못 (Nails) | 자원 지역 내 공원 테이블 알파 벙커 쿠폰 상자 [image] + 4분 → 못 2개 (작업대) |
자원 지역 내에 가끔씩 있을 수 있는 공원 테이블에서 판자와 함께 얻을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알파 벙커에서 쿠폰 상자를 열었을 때 안에 몇 개가 있을 수도 있다. 직접 만드는 경우라면 작업대에서 철 판 1개를 못 2개로 가공할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못은 의료용 탁자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상자를 트렁크로 업그레이드하거나 트렁크를 틀로 업그레이드할 때 필요하다. 무기나 도구의 경우 철 손도끼, 철 곡괭이, 삽, 곤죽 망치가 못을 재료로 요구한다. 중후반부터 그 쓰임새가 주로 드러나는 재료 아이템. 시설보다는 철 손도끼를 위시한 도구 제작 및 상자 업그레이드에 주 재료로 쓰인다. 특히 한 번에 2개 남짓 요구하는 도구 쪽과 달리 상자 업그레이드에는 많은 수가 요구된다. 무기 개조 부품 중 일부가 못을 재료로 요구하기도 하고 일부는 상당히 많이 요구할 때도 있지만, 상대적으로 크게 눈에 띄는 부분은 아니다. |
[image] | 알루미늄 선 (Aluminum Wire) | 알파 벙커 |
1.5.4 패치로 등장한 자원. 알파 벙커 지하 2층~4층 내의 상자나 캐비넷 등을 뒤지다 보면 얻을 수 있다. 용광로에서 알루미늄 선 2개를 제련해 알루미늄 주괴를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 선 자체는 인계선 덫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이외에도 무기 개조 부품의 재료 및 브라보 벙커 내 시설 복구용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 ||
| 보크사이트 (Bauxite) | 석회석 기둥 이상 지역 및 지하실에서 철광석 채굴 시 일정 확률로 획득 |
획득 방식이 여타 다른 자원과 다른데, 맵 상에 배치되어 있는 철광석 중 소수의 철광석에 보크사이트가 섞여 있어서, 해당 철광석을 채굴하면 보크사이트도 같이 얻을 수 있는 방식이다. 물론 외관 상으로는 아무 변화도 없으므로 그냥 철광석을 채굴하는 과정에서 같이 얻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단 철광석이 나오지 않는 소나무 자원 지대에서는 절대로 나오지 않고 석회석 지역 중에서도 석회석 융기나 석회석 절벽에서도 보크사이트는 나오지 않는다. 얻으려면 위험도 붉은색 지역 광산인 석회석 기둥에 가거나, 자원 지대에서 희귀하게 나오는 지하실 내 철광석을 채굴해야 한다. 용광로에서 보크사이트 4개를 제련해 알루미늄 주괴를 만들 수 있다. 하지만 2개씩 소모하고 30분이 걸리는 알루미늄 선에 비해 이 쪽은 4개나 요구하며 1시간 동안 제련해야 하기 때문에 가성비 면에서는 대단히 안 좋다. 접근성도 안 좋은 게, 갈 때마다 전체적인 몹 배치 등이 달라지고 언제 AI 생존자나 독침 좀비의 습격을 받을 지도 모르는 위험지역에 이거 하나 캐려고 간다는 것 자체가 위험 행위이며, 그렇다고 지하실을 노릴 수도 없는 게 지하실 또한 해당 자원 지역의 난이도와 무관하게 대단히 위험한 장소라 지하실 내 갱도까지 도달하는 것부터 힘들 수 있으며, 무엇보다 거기까지 갔는데 철광석이 없으면 말짱 도루묵이다. 다만 1.17.6 업데이트로 생긴 항구에서 만들 수 있는 유리 섬유나 시멘트 제조에 보크사이트가 필요하기 때문에 알루미늄 주괴 이외의 수요처가 아예 없는 건 아니다. | ||
[image] | 알루미늄 주괴 (Aluminum Bar) | [image] × 2 + 30분 (용광로) 보크사이트 × 4 + 1시간 (용광로) 빈 깡통 재활용 |
용광로에서 알루미늄 선 2개나 보크사이트 4개를 제련하면 얻을 수 있다. 재활용 도구에서 빈 깡통을 재활용해도 적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알루미늄 주괴는 작업대에서 2개를 써서 알루미늄 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알루미늄 주괴 자체는 재활용 도구, 발전기, 산 세척기의 재료로 쓰이며, 산 세척기의 완성에도 요구된다. 초반에는 정말 필요한데 중반부터는 재활용 도구에 빈 깡통을 재활용하는 것만으로도 심심찮게 얻을 수 있는 자원이다. | ||
[image] | 알루미늄 판 (Aluminum Plate) | [image] × 2 + 1시간 (작업대) |
작업대에서 알루미늄 주괴 2개를 가공하면 알루미늄 판으로 가공할 수 있다. 알루미늄 판은 발전기, 산 세척기의 완성에 필요하며, Lv. 4 벽 및 바닥 업그레이드 재료로 쓰인다. 이외에도 무기 개조 부품 중 레이저 사이트 같은 전자 부품은 알루미늄 판을 요구하기도 하기 때문에 초반보다는 중후반에 좀 더 중요하다. |
[image] | 구리 광석 (Copper Ore) | 구리 광석 채굴 |
1.6패치로 추가된 신규 광물. 북방 설원 지역 및 소나무 & 석회석 지역에서 드물게 볼 수 있는 지하실 내 최심부에 있는 구리 광석을 철 곡괭이로 채굴하여 얻을 수 있다. 용광로에서 구리 광석 5개를 제련해 구리 주괴를 만들 수 있다. 다만 건전지를 재활용하거나 농장 상자 내지는 알파 벙커의 지문인식 방에서 구리 주괴를 얻을 수도 있고 이게 일반적으로 더 쉬운 방법이기 때문에, 구리를 얻겠다고 구리 광석을 채굴하러 설원 지역에 가거나 지하실 깊숙히 파고드는 건 그다지 추천되는 방법은 아니다. | ||
[image] | 구리 주괴 (Copper bar) | [image] × 5 + 1시간 (용광로) 알파 벙커 내 지문 인식이 요구되는 방 농장 상자(3개) |
용광로에서 구리 광석 5개를 가공하거나, 알파 벙커 내에 지문 인식을 요구하는 방 안에서 확률적으로, 농장 상자를 열면 안에서 확률적으로 3개씩 나온다. 이외에도 건전지, 비싼 시계, 카메라를 재활용 도구로 재활용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대부분 구리 주괴는 광석을 직접 가공해서 얻기보다는 재활용이나 농장 상자 등을 통해 얻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얻기가 상당히 힘들지만 그 자체로는 쓸 일이 많이 없다. 전선 아이템의 제작이나 전등 시설의 제작에도 쓰이지만 둘 다 엄청난 자원 낭비이다. 하지만 강철 주괴를 만드는 데 필요한 재료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구리는 여기에 쓰인다. |
| 강철 주괴 (Steel Bar) | [image] + [image] + [image] + [image] × 2 + 1시간 30분 (제련된 용광로) 알파 벙커 지하 4층 최종 보상 아이템 재활용 |
제련된 용광로에서 철 주괴, 알루미늄 주괴, 구리 주괴, 그리고 석탄 2개를 가공하면 만들 수 있다. 또한 알파 벙커 지하 4층을 완전히 다 돌면 열리는 구역 내의 군용 상자에 들어있을 수도 있다. 이외에도 SWAT 방어구나 군용 배낭, 카타나, 렌치, ATV 바퀴, 엔진 부품, 트럭 톱날, 트럭 바퀴, 열 센서, 윈체스터, 급조 권총 등을 재활용하면 대단히 낮은 확률로 나온다. 재활용으로 얻기에는 확률이 매우 낮다 보니 강철 주괴만큼은 제련된 용광로를 통해 만드는 경우가 많다. 강철 주괴는 상자를 트렁크로 업그레이드하는 데 필요하다. 작업대에서 가공하는 것으로 강철 판을 만들 수 있다. 이외에는 급조 권총의 재료이기도 하지만 만들 일이 없기 때문에 무시해도 좋다. 베타 1.17.6 업데이트로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최종 티어 자리에서는 내려오긴 했지만, 여전히 얻거나 만들기가 정말 힘들어서 대단히 귀중한 재료이다. | ||
[image] | 강철 판 (Steel Plate) | 강철 주괴 1개 + 1시간 (작업대) 알파 벙커 4층의 군용 상자 농장의 헛간 내 오토바이 |
강철 주괴를 작업대에서 가공하면 얻을 수 있다. 이외에도 판 자체가 알파 벙커 4층의 군용 상자에서 나오기도 하고, 농장의 헛간을 열었다면 헛간 안에 있는 오토바이에서 얻을 수도 있다. 강철 판은 SWAT 헬멧, 방탄복, 바지, 부츠, 군용 배낭 장비의 재료이며, 취사용 스토브, 압축가공기, 화학 작업대 시설의 재료이기도 하다. 또한 무기 부품 재료로도 쓰이고, 산 세척기 완성, 트렁크를 틀로 업그레이드할 때, 포탑 2레벨 업그레이드에도 필요하며, 이외에도 편안한 침대, 지뢰, 옥외 화장실, 조각상 등의 재료로도 쓰인다. 전술한 강철 주괴가 정말 얻기 힘든 재료인 만큼 강철 판도 얻기가 대단히 어렵다. 문제는 이 강철 판이 '''4티어 벽 및 바닥의 재료'''로 사용된다는 것. 이렇게 귀중한 재료가 시설이나 부품, 심지어 건설 재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요구되는 양은 수급률을 한참 상회한다. |
| 티타늄 광석 (Titanium Ore) | 죽음의 섬 내 동굴 (수동 드릴 및 C-4 폭탄 필요) |
베타 1.17.6 업데이트로 드디어 구현된 물품. 티타늄 광석을 채굴할 수 있는 지역은 '죽음의 섬'이라는 장소인데, 여기에 가려면 우선 모터보트가 완성되어 있어야 하고 모터보트를 통해 갈 수 있는 섬의 감시탑에 있는 미완성된 발전기를 수리하고 등대를 완성해야 해당 장소가 개방된다. 섬 안에는 대단히 상대하기 어려운 좀비들이 포진해 있는데 이들의 시야를 벗어나서 섬 안쪽에 있는 동굴로 향해야 한다. 동굴 안에도 체력 800의 '러커'라는 이름의 좀비를 위시해 위험한 좀비가 많이 있는데, 이들을 모두 다 쓰러뜨리고 동굴 최심부로 향하면 안에 채굴할 수 있는 티타늄 광석과 폭파시켜야 하는 티타늄 덩어리가 있다. 티타늄 광석 채굴에는 '''수동 드릴'''이라는 이름의 신규 도구가 필요하며, 티타늄 덩어리의 경우 C-4 폭탄을 설치해서 터뜨리면 그 잔해에서 티타늄 광석을 얻을 수 있다. 죽음의 섬을 한 번 돌 때마다 최대 18개의 티타늄 광석을 얻을 수 있는데 이는 티타늄 주괴 6개 분량에 해당한다. | ||
| 티타늄 주괴 (Titan Bar) | 티타늄 광석 × 3 + [image] + [image] × 2 + 모래 × 5(제련된 용광로) 티타늄 방어구 잔해 재활용 |
베타 1.17.6 업데이트로 드디어 구현된 물품. 이전까지 미구현 아이템들 중 대다수는 제조법에 티타늄 주괴나 텅스텐 주괴를 요구하도록 해서 제조할 수 없도록 막아 놨는데, 티타늄 주괴가 구현되자 이전까지 티타늄 때문에 제조가 막혔던 아이템들 중 여전히 미구현된 아이템들은 텅스텐 주괴를 대신 요구하도록 바뀌어 여전히 제조할 수 없도록 막아 놨다. 제대로 구현된 아이템들의 경우 진짜로 티타늄 주괴를 요구하도록 바뀌긴 했다. 티타늄 주괴는 수동 드릴, 전자 연구실, 전자 회로, 그리고 '''케블라 방어구''' 같은 엔드게임 컨텐츠의 제조에 쓰인다. 글록 17, M16 같은 무기의 제조에도 티타늄 주괴가 필요하지만 애초에 총기는 만들어서 쓸 이유가 전혀 없으므로 의미는 없다. |
- 연료 자원
[image] | 석탄 (Charcoal) | [image] → [image] (모닥불) [image] → [image] × 2 (모닥불) 자원 지역 내 그릴, 농장 내 포대자루 등 |
불을 피울 때 있어 제일 효율적인 연료. 통나무나 판자보다 개당 지속 시간이 더 긴 5분 20초이며, 나중에 토탄을 얻기 전까지는 주된 연료로 쓰인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제일 주가 되는 방법은 소나무 통나무나 소나무 판자를 모닥불에서 건류시키는 것이다. 특이하게도 판자를 건류시키는 것이 그냥 통나무를 건류시키는 것보다 수급률이 좋은데 정작 통나무를 판자로 만드는 데에는 시간 외에 아무것도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통나무를 미리 판자로 만들어 놓고 그 판자를 석탄으로 만드는 것이 더 고효율이다. 이외에도 은근슬쩍 다양한 곳에서 얻을 수 있는 자원이다. 자원 지대 내에 랜덤하게 있는 그릴 내에 있을 수 있고, 이외에 농장 내 포대자루를 뒤져 보면 안에 있을 수도 있다. 이 점을 이용해서 극초반에 자원 지대를 파밍하는 도중에 자원 지대 내에 있는 그릴에서 석탄을 얻고, 그 석탄으로 판자를 건류시켜서 그걸로 석탄을 만들고, 그렇게 만들어진 석탄으로 또 판자를 건류시켜서 또 석탄을 만들고 하는 등의 무한순환이 가능하다. 참고로 나무를 건류시켜 만드는 물건은 석탄이 아닌 목탄이다. 영어권 표기명도 그냥 Coal이 아닌 Charcoal이라고 명시되어 있기 때문에 명백한 오역이다. |
- 직물 및 가죽 계열 자원
[image] | 식물 섬유 (Plant Fiber) | 풀 채집 |
자원 지역 내에 있는 풀을 채집하면 하나씩 얻을 수 있다. 풀을 채집하는 과정에서 후술할 당근 씨앗도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식물 섬유는 작은 상자, 모닥불, 텃밭, 현관 깔개 시설의 재료로 쓰이며, 기본 배낭, 아빠 모자, 셔츠, 카고 바지, 운동화 장비의 재료이다. 화분, 타이어 화단, 꽃 욕조, 장식 연못 같은 장식용 시설의 재료이기도 하다. | ||
| 씨앗 (Seeds) | 풀 채집 시 일정 확률로 같이 얻음 |
자원 지역 내에 있는 풀을 채집하면 일정 확률로 같이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텃밭에서 당근을 재배하는 데 주로 사용된다. 화분 같은 시설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 ||
[image] | 밧줄 (Rope) | 좀비나 AI의 시체 [image] × 2 + 4분 (무두질 틀) |
대개 좀비를 잡으면 좀비의 시체에서 볼 수 있다. 떠돌이 좀비나 재빠른 이빨 좀비 같은 적들은 1개만 가지고 있지만 독침 좀비 이상부터는 2개 이상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직접 만든다면 무두질 틀에 식물 섬유를 가공하는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밧줄은 주로 의류, 특히 신발류의 제작에 들어가는 경우가 많다. 기본 배낭, 횃불, 활, 카고 바지, 운동화, 강화 셔츠, 강화 바지, 강화 운동화, 비니, 두꺼운 재킷, 청바지, 워커, 전술 부츠, 털 비니, 털 재킷, 털 바지, 털 부츠, 낚싯대, 군용 배낭 장비의 재료로 사용되며, 고기 건조대, 무두질 틀, 현관 깔개, 뾰족 덫, 인계선 덫 시설의 재료이기도 하다. 개 상자의 완성에도 필요하고 오래된 농장의 다리 수리에도 필요하다. 일반적으로는 좀비를 잡는 것만으로도 쉽게 얻을 수 있는데다 다른 자원 파밍 과정에서 부수적으로 얻는 경우도 많고 쓸 일이 많이 없는 경우가 많아 대개 쌓이는 편이다. 다만 뾰족 덫을 엄청 많이 만드는 경우 뾰족 덫 하나가 밧줄을 10개씩 요구하는 것에 비해 덫이 파괴된 잔해에서는 밧줄이 전혀 회수되지 않아 이 쪽에서는 정말 많은 양이 소모된다. 또한 전술한 대로 의류 쪽에서 정말 많이 쓰이기 때문에 옷을 직접 만들어 쓰는 사람의 경우라면 밧줄이 많이 필요할 것이다. | ||
[image] | 천 조각 (Piece of Cloth) | 좀비나 AI의 시체 [image] × 2 + 2분 (재봉틀) |
대개 좀비를 잡으면 좀비의 시체에서 볼 수 있으며, 밧줄에 비해서는 나올 확률이 조금 낮다. 밧줄과 마찬가지로 떠돌이 좀비나 재빠른 이빨 좀비 같은 적들은 1개만 가지고 있지만 독침 좀비 이상부터는 2개 이상 들고 있는 경우가 많다. 직접 만든다면 재봉틀에 식물 섬유를 가공하는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천 조각은 주로 붕대 아이템, 아빠 모자, 셔츠, 카고 바지, 운동화, 비니, SWAT 헬멧, SWAT 방탄복, SWAT 바지 장비의 재료로 쓰인다. 또한 샤워기, 빗물받이 장비의 재료로도 쓰인다. 또한 재봉틀에 2개를 가공해서 두꺼운 원단 아이템을 만들 수 있다. 전선 아이템의 재료로도 쓰이나 전선은 애초에 만들어서 써야 할 이유가 전혀 없으므로 논외로 친다. 극초반에 중요한 시설 2개에 모두 이 물품이 사용되기 때문에 극초반에는 하나 하나가 귀중하다. 이후에는 1티어 의류를 만드는 게 아니라면 어지간해서는 쓰일 일이 없지만, 붕대의 재료로 쓰인다는 점이 큰 특징. 이 때문에 자원 파밍 지역에서 좀 체력적으로 불리하다 싶으면 좀비를 잡으면서 얻은 천 조각으로 즉석에서 붕대를 만들어 쓰기도 한다. | ||
[image] | 두꺼운 원단 (Thick Fabric) | 알파 벙커 내 상자 알파 벙커 쿠폰 상자 [image] × 2 + 2분 (재봉틀) |
알파 벙커 내 상자나 쿠폰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직접 만든다면 재봉틀에 천 조각을 가공하는 것으로 만들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두꺼운 원단은 비니, 두꺼운 재킷, 청바지, 워커, 전술 모자, 전술 방탄복, 전술 바지, 전술 부츠, 털 비니, 털 재킷, 털 바지, 털 부츠, SWAT 헬멧, SWAT 방탄복, SWAT 바지, SWAT 부츠, 군용 배낭, 위험 물질 방호 신발 장비의 재료로 사용된다. 이외에 전등, 아늑한 소파, 편안한 침대 가구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보다시피 2 티어 이상의 의류에는 반드시 들어가는 소재이다. 평소에는 쓸 일이 거의 없어 매일같이 쌓이고 직접 만들 일도 없지만, 의류를 직접 만들어 쓰는 경우라면 대단히 많이 쓰일 소재이다. | ||
[image] | 생가죽 (Animal Rawhide) | 늑대나 사슴의 시체 |
회색 늑대나 광견병 늑대, 사슴을 잡을 경우 얻을 수 있다. 반드시 하나씩 나오는 날고기와 달리 이 쪽은 확률이라 안 나올 수도 있다. 플레이어의 기술 중 하나인 '무두질 전문가' 기술이 있을 경우 1개가 나올 것이 2개가 나올 때도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생가죽은 그 자체로는 쓸 일이 거의 없다. 해 봐야 횃불 무기나 현관 깔개 시설의 재료로 쓰이는 정도. 대신 생가죽은 후술할 가죽 아이템의 재료가 되며 대개 이 쪽에 주로 쓰인다. | ||
[image] | 가죽 (Leather) | [image] + 4분 (무두질 틀) |
전술한 생가죽을 무두질 틀에 넣고 가공하면 만들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가죽은 강화 셔츠, 강화 바지, 강화 운동화, 두꺼운 재킷, 청바지, 워커, 강화 비니, 강화 재킷, 강화 청바지, 전술 모자, 전술 방탄복, 전술 바지, 전술 부츠, 털 비니, 털 재킷, 털 바지, 털 신발, SWAT 부츠, 위험 물질 방호 재킷, 위험 물질 방호 바지 의류의 제작에 필요하다. 푸주칼, 쇠지렛대, 금속 파이프, 곤죽 망치, 마체테, 톱날 철퇴 무기에도 재료로 쓰인다. 생가죽과 달리 가죽은 여기저기에서 많이 쓰인다. 특히 어지간한 의류나 중급에서 고급 무기들은 외관 상으로 가죽이 쓰일 일이 없는데도 가죽을 많이 요구한다. 후반까지 가서도 톱날 철퇴 때문에 쓰일 일이 많은 재료. 이외에도 무기 부품의 재료로도 쓰이기 때문에 될 수 있는 한 많은 양을 확보해 두는 것이 좋다. | ||
[image] | 털 (Fur) | 여우의 시체 |
여우를 잡을 경우 얻을 수 있다. 가죽과 마찬가지로 확률적이라 안 나올 수도 있으며, '무두질 전문가' 기술의 영향을 받아 한 번에 2개를 얻을 수도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털의 유일한 사용처는 보온 방어구이다. 털 비니, 털 재킷, 털 바지, 털 신발에만 쓰이지만 대신에 많은 양이 요구된다. |
- 미구현 자원
텅스텐 광석 (Tungsten Ore) | 텅스텐 만드는 재료. 가공. |
텅스텐 주괴 (Tungsten Bar) | 아이템 제작 재료 |
3.2. 기타 재료
자연의 매장물이나 나무 등을 채취하는 방식이 아닌, 자원 지역 내 여기저기에 있는 상자를 열어서 얻을 수 있는 재료들이나 집에 있는 여러 시설들을 통해서 만들 수 있는 재료들에 해당한다.
아이콘 | 아이템 이름 | 획득 방법 |
| ATV 변속기 (ATV Transmission) | 주유소 슬롯머신 잭팟 |
1.15.0 업데이트 이전까지 구현되어 있지 않았던 물건이었다.[3] 서쪽 AI 기지의 제작 ATV 내부를 보면 이 아이템이 획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막상 플레이어가 가져갈 수는 없다(...) | ||
[image] | ATV 바퀴 (ATV Wheel) | 위험도 노란색 지역 이상의 상자 알파 벙커 쿠폰 상자 |
ATV 제작 시 16개가 필요하다. 재활용 도구로 분해 시 적은 확률로 강철 주괴를 얻을 수 있다. 베타 1.15.0 업데이트로 ATV가 구현되면서 일반 자원 지역에서는 더 이상 나오지 않게 되었다. 그래도 수요가 많지는 않은 물품이기 때문에 알파 벙커를 꾸준히 돌다 보면 충분히 모을 수 있다. | ||
[image] | 오토바이 핸들 (Chopper Fork) | 알파 벙커 생존 상자, 전투 장비 상자 농장 상자, 농장 내 헛간 내 오토바이 |
오토바이의 핸들에 해당하며 오토바이 조립 시 1개가 필요하다. 후술할 오토바이 연료 탱크의 출현 확률 상향 이후에는 오토바이 부품 중에서 제일 안 나오는 부품의 자리를 대신 차지했다. 주유소에 있는 기계공에게 제공 시 500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 ||
[image] | 오토바이 연료 탱크 (Chopper Gas Tank) | 알파 벙커 내 생존 상자, 전투 장비 상자 농장 상자, 농장 내 헛간 내 오토바이 |
오토바이의 연료통에 해당하며 조립 시 1개가 필요하다. 등장 확률이 대단히 낮아 몇 번이고 등장 확률이 올라갔던 것으로 악명 높은 물건이다. 노란 쿠폰 상자에서는 나오는 게 거의 기적일 정도이며 붉은 쿠폰 상자에서도 그다지 나오는 것을 기대하기 힘들었을 정도. 다만 확률이 많이 올라간 요즘에는 의외로 핸들보다도 체감 상으로 자주 나오는 물건이 되었다는 평. 주유소에 있는 기계공에게 제공 시 1,000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일종의 보상책으로 주어진 오토바이 잡지를 제외하면 오토바이 부품 중에서 제일 포인트를 많이 주는 아이템이다. | ||
[image] | 오토바이 바퀴 (Chopper Wheel) | 알파 벙커 내 생존 상자, 전투 장비 상자 농장 상자, 농장 내 헛간 내 오토바이 게임을 맨 처음에 시작하고 필드에서 처음 나오는 AI의 시체 |
오토바이의 바퀴에 해당하며 오토바이 조립 시 2개가 필요하다. 주유소에 있는 기계공에게 제공 시 500 포인트를 얻을 수 있다. 게임을 처음에 시작하고 맨 처음 마주친 AI 생존자를 쓰러뜨리면 해당 생존자의 시체에서 오토바이 바퀴가 반드시 하나가 나오게 되어 있다. 오토바이 핸들과 마찬가지로 요즘은 바퀴도 생각보다 잘 안 보이는 물품인 만큼, 우선적으로 챙겨서 집에 가져가는 것이 좋다. | ||
[image] | 엔진 부품 (Engine Parts) | 공중 투하 보급 상자 알파 벙커 쿠폰 상자 농장 상자, 헛간 내 오토바이 폐차 내 엔진 재활용 |
이동 수단 제작 재료. '''몹시 희귀하니 나오면 무조건 챙겨오자.''' 얻기는 매우 힘든 주제에 이동 수단 제작에는 엄청난 양을 요구한다. 오토바이 제작에 20개, 발전기 완성에 5개, 무기 개조 부품에 8개, 산 세척기 완성에 15개, 모터보트 제작에는 20개[4] 정확하게는 모터보트에 장착해야 하는 보트 엔진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 2개가 필요한데 하나당 10개의 엔진 부품을 요구한다. | ||
| 녹슨 / 낡은 엔진 (Rusty/Intact Engine) | 자원 지역 내 녹슨 차량 |
자원 지역에서 매우 드물게 녹슨 차량이 뒤쪽이 파묻힌 채로 나오는데, 뚜껑을 열면 나온다. 일단 이 아이템 자체가 무겁고 커서 두 손으로 들고 가는 모션이 나온다. 들고 밖으로 나갈 수 없으며, 오토바이에 실어서 집으로 가져와야 한다. 엔진에 따라서 재활용한 결과물이 다른데, 갈색의 녹슨 엔진의 경우 알루미늄 선 / 알루미늄 주괴 / 엔진 부품이 나오며, 파란색의 낡은 엔진의 경우 알루미늄 주괴 / 엔진 부품 / 강철 판이 나온다. | ||
| 트럭 바퀴 (Truck Wheel) |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쿠폰 상자 |
현재는 타이어 화단 시설 외에는 아무 쓸모가 없는 아이템이다. 후에 좀비 트럭의 재료로 쓰일 듯 하다. 재활용 도구로 재활용하면 낮은 확률로 강철 주괴를 얻을 수 있다. | ||
| 트럭 톱날 (Truck Saw Blade) |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쿠폰 상자 |
그 자체가 시설의 재료로 쓰이고 있지는 않지만 대신에 무기 중 톱날 철퇴의 개조 부품으로 사용된다. 후에 좀비 트럭의 재료로 쓰일 듯 하다. | ||
[image] | 접착제 (Adhesive) | 자원 지역 내 상자 |
1.9 버전에서 추가된 아이템이다. 강화 셔츠, 강화 바지, 강화 운동화, 강화 비니, 강화 재킷, 강화 청바지, 강화 부츠, 털 비니, 털 재킷, 털 바지, 털 신발 장비 및 활, 급조 권총 무기의 재료로 쓰인다. 현관 깔개, 재봉틀, 작업대, 거울, 옷장 시설의 제작에도 필요하다. 이외에는 총포 제작 작업대, 낚싯대, 가문비나무의 재료로도 쓰인다. 시기를 막론하고 대단히 많이 쓰이는 자원이다. 초반에는 시설 제작, 중반에는 의류 강화, 후반에는 무기 부품의 재료로 쓰이는데 부품 하나가 못 해도 접착제를 20개씩, 내지는 그 이상으로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수량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 | ||
[image] | 볼트 (Bolts) | 자원 지역 내 상자 |
차고, ATV, 거울, 재활용 도구 시설의 재료로 쓰이고, 금속 파이프 무기의 재료이기도 하다. 작은 상자를 상자로 업그레이드할 때에도 요구되고, 민간 통신 장치, 오토바이, 개 상자, 총포 제작 작업대, 산 세척기의 완성에 필요하다. 특히 발전기나 포탑의 경우 제작 및 완성에 모두 필요한 재료이다. 이외에는 전등, 급조 권총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접착제와 마찬가지로 대단히 많이 쓰이는 자원이다. 역시 초중반에는 시설 제작, 후반부터는 무기 부품의 재료로 쓰인다. 역시나 볼트를 요구하는 부품은 정말 많은 수량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아 수량 확보가 중요하다. 게임 후반에 진입했다면 설원 지역을 공략하는 것으로 많은 수를 확보할 수 있다. | ||
| 볼 베어링 (Ball Bearing) | 자원 지역 내 상자 |
무기 진열대 시설의 제작에 필요하다. 오토바이와 발전기의 완성에 필요한 재료이기도 하다. 이외에는 그렇게 쓸 일이 많이 없어 수량을 많이 확보할 필요는 없지만 은근슬쩍 잘 안 나오는 물품이다. | ||
[image] | 덕트 테이프 (Duct Tape) | 자원 지역 내 상자 |
대충 만든 몽둥이, 활, 개 상자, 철 손도끼, 철 곡괭이, 곤죽 망치, 톱날 철퇴 장비의 재료로 쓰이고, ATV, 의료용 탁자 시설의 재료로도 쓰인다. 이외에는 전등, 급조 권총, 전선, 가문비나무 등의 재료로도 쓰이지만 여기에 쓰는 건 엄청난 자원 낭비이다. 일반적으로는 철 손도끼와 철 곡괭이, 곤죽 망치, 톱날 철퇴에 주로 쓰인다. 무기 부품의 재료로도 쓰이고 역시 많은 수량을 요구하기 때문에 역시나 수량을 많이 확보해야 한다. 볼트와 마찬가지로 설원 지역에서 많이 얻을 수 있으며, 특히 설원 지역에서는 테이프를 정말 많이 얻을 수 있다. | ||
| 고무 부품 (Rubber Parts) | 자원 지역 내 상자 |
차고, 재봉틀, 재활용 도구, 포탑 시설의 제작에 필요하고, 오토바이, 총포 제작 작업대, 발전기, 산 세척기 시설의 완성에 필요하다. 무기 부품 재료로도 쓰인다. 압축 가공기에서 고무 부품 20개를 가공하면 고무 하나를 얻을 수 있다. 다른 재료들에 비해 나오는 확률이나 갯수가 적은 편인데 무기 부품 제작에는 최대 60개씩 요구하는 등 수급률에 비해 많은 양이 요구된다. 때문에 쓸 일이 적어지는 게임 중반에 최대한 수량을 확보해 놓는 게 중요하다. 볼트와 마찬가지로 설원 지역에서 많이 얻을 수 있지만 여전히 상대적으로 얻을 수 있는 양이 적은 편이다. 다행히 베타 1.16 업데이트 이후로 나올 확률이 조금 올라가 계속 파밍하다 보면 은근히 쌓이게 되었다. | ||
| 고무 (Rubber) | 고무 부품 × 20 + 1시간 (압축가공기) |
압축가공기를 통해 만들 수 있는 재료로, 위의 고무 부품과는 완전히 다른 물품이다. 제작 코스트가 높은 압축가공기를 요구하는 것도 문제지만 무엇보다 하나 당 고무 부품을 20개나 요구하기 때문에 직접 만들기는 정말 빡빡한 편. 그리고 그렇게 만든 고무 재질도 ATV나 모터보트 등을 만드는 데 있어 대량으로 요구되기 때문에 후반에 ATV나 고급 시설을 제작할 시기가 되면 더욱 더 수요가 늘어난다. 전술한 고무 부품 출현 확률도 이를 염두에 두고 조정한 것이지만 수요에 비해 공급이 정말 빠듯한 건 여전하다. | ||
| 트랜지스터 (Transistor) | 자원 지역 내 상자 |
평소에는 쓸 일이 거의 없지만 장치 수리 등에는 많은 양이 필요하다. 초기에는 민간 통신 장치 조립에, 중후반부에 들어서면 경찰서나 브라보 벙커 내 터미널 수리에 많은 양이 요구된다. 이외에는 주유소의 기계공에게 제공함으로써 오토바이를 업그레이드할 수 있다. | ||
| 전선 (Wiring) | 자원 지역 내 상자 [image] + [image] + [image] |
이동 수단, 민간 통신 장치나 일부 생산 시설의 제작 및 완성에 필요하다. 이외에 경찰서나 브라보 벙커 내 터미널 수리에도 많은 양이 요구된다. 아이템 제작으로도 얻을 수 있지만 구리를 요구하는데다 정작 전선은 자원 지대를 비롯해 수많은 지역에서 정말 많이 보이는 아이템임에도 정작 쓰임새가 많은 아이템이 아니기 때문에 아이템 제작으로 얻는 건 심각한 재료 낭비이다. | ||
[image] | 건전지 (Batteries) | 자원 지역 내 상자 |
수경 재배 시스템 시설의 재료로 쓰인다. 이외에는 무기 거치대의 백라이트 용도로 쓰인다. 그걸 제외하면 건전지의 수요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 애초에 나올 확률도 낮고 한 번에 얻는 수량도 적은 편이지만 수요가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크게 문제될 게 없다. 대신에 재활용 도구에서 재활용하면 낮은 확률로 구리 주괴를 얻을 수 있는데 그 확률이 기본적으로 8%로 상당히 높은 편이라 구리 수급용 재료로 각광받고 있다. | ||
| 스프링 (Spring) | 재활용 도구에서 총기 분해 알파 벙커 상자 |
1.9에서 총기 부품(Weapon Parts)을 대체하여 추가되었다. 재활용 도구에서 총기를 분해하면 높은 확률로 획득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알파 벙커 내에 있는 상자에서도 조금씩 나온다. 한 묶음이 50개이다. 포탑 시설의 제작에 사용된다. 이외에도 모든 총기의 제작에 스프링이 요구되지만 정작 총기는 만들어서 쓰지 않기 때문에 의미는 없다. 스프링의 주요 사용처는 무기 부품 재료, 특히 총기류의 무기 부품 재료로 주로 사용된다. 요구량이 많고 스프링의 수급률이 조금 안 좋은 편이지만 수요처가 무기 부품 외에는 없다시피 하기 때문에 스프링이 부족해서 부품을 완성시킬 수 없다던가 하는 상황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특히 공장 부품이나 탄소 복합재를 얻기 위해 총기를 재활용하는 과정에서 스프링이 쌓이는 경우도 적지 않게 일어난다. | ||
[image] | 전구 (Light Bulb) |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상자 |
거울, 재활용 도구, 무기 진열대, 수경 재배 시스템 시설의 재료로 쓰인다. 이외에는 전구의 수요는 사실상 없다. 재활용 도구로 분해해도 고철밖에 안 나온다. 다만 나중에 텅스텐이 구현될 경우 전구 내 필라멘트가 텅스텐으로 만들어지는 경우가 많은 점을 감안해서 텅스텐 수급용 재료로 쓰일 가능성은 있다. | ||
[image] | 플라스틱 (Plastic) | 플라스틱 물품 재활용 |
빈 병이나 CAC 카드를 재활용 도구에서 분해하면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플라스틱은 의료용 탁자, 무기 진열대, 수경 재배 시스템 시설의 제작에 필요하며, 이외에 위험 물질 방호 헬멧, 위험 물질 방호 재킷, 위험 물질 방호 바지, 위험 물질 방호 신발 장비의 제작에 필요하다. 평소에는 쓸 일이 없는 물품이다. 그래서 빈 병 같은 걸 막 분해하다 보면 어느 샌가 쌓여 있는 걸 구경할 수 있다. 무기 부품의 재료로도 쓰이는데 전술했듯 수요가 없다시피 한 물품이라 역시 플라스틱 부족으로 무기 부품을 못 만드는 상황은 잘 일어나지 않는다. | ||
| 렌치 (Wrench) |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내 상자 |
고무 부품보다도 더 안 나오는 재료이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렌치는 압축 가공기 시설의 제작, 발전기의 제작 및 완성, 포탑 시설의 완성, 경찰서의 터미널 수리에 사용된다. 이외에도 무기 부품의 재료로 쓰인다. 수급률은 낮은데 무기 부품이나 시설 제작 등에 많이 쓰이는 재료라 언제고 수량이 부족한 재료이다. | ||
| 톱니 (Cog) | 알파 벙커 전투 장비 상자 알파 벙커 내 상자(보안 프로토콜 필요) |
1.15.0 업데이트로 연접봉(Connecting Rod)을 대신하는 물품이 되었다. 톱니는 산 세척기의 완성에 10개가, ATV의 완성에는 200개가 필요하다. 이외에는 브라보 벙커의 터미널 수리에 필요하다. | ||
[image] | 공기 정화기 (Air Filter) | 공중 투하 알파 벙커 전투 장비 상자 방독면 재활용 |
공기 정화기는 위험 물질 방호 헬멧의 재료로 쓰이며, 산 세척기의 완성에 25개, ATV 완성에 150개가 필요하다. 완성된 산 세척기 자체를 가동시켜서 상자를 정화할 때에도 소모품의 형태로 하나씩 요구되기 때문에 산 세척기 완성 이후에도 조금씩 쓰이는 데 비해 얻기는 그다지 쉽지 않다. | ||
| 설계도 (Blueprint) | 자원 지역 내 상자(매우 낮은 확률) 공중 투하(낮은 확률) 총기 분해 시 매우 낮은 확률로 출현 농장 상자 경찰서 내 상위 경관 출입증 제출 |
1.9 업데이트로 추가되었다. 총기 분해 시 해당 총기의 것을 얻거나 상자에서 드물게 얻을 수 있으며, 알파 벙커의 보안 프로토콜을 작동시킨 후 적에게서 드랍된 아이템을 1층의 NPC와 교환하여 얻을 수도 있다. 확정적으로 얻고 싶다면 경찰서에 상위 경관의 출입증을 터미널에 제출하거나 농장에서 상자를 열면 확정적으로 하나씩은 얻을 수 있다. 사용 시 총포 제작 작업대에 해당 부품의 설계도가 등록되며 부품 제작에 쓰이는 재료를 투입할 수 있게 된다. 설계도는 등급에 따라 일반, 희귀, 아주 희귀로 나뉘며, 아주 희귀한 설계도 중 일부는 사용 기술을 가지고 있다. | ||
[image] | 공장 부품 (Factory Parts) | 총기 재활용 브라보 벙커 상자 |
1.9 버전에서 추가되었다. 총기를 재활용하거나 브라보 벙커 내 상자에서 얻을 수 있다. 베타 1.15 이전까지는 경찰서에 경위급 이상의 출입증을 제출하면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었으나 해당 업데이트로 더 이상 안 나오게 바뀌었다. 공장 부품의 주요 사용처는 무기 부품, 특히 중고급 부품이다. 역시나 낮은 수급률에 비해 요구량은 중간 수준이나, 탄소 복합재를 총기 재활용으로 얻어 내려는 유저들이라면 이 과정에서 공장 부품을 대량으로 얻는 경우가 많다. | ||
[image] | 첨단 부품 (Hi-Tech Components) | 고급 전자 제품 재활용 |
1.9 버전에서 구현된 재료. 열 센서, 휴대전화를 재활용하면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첨단 부품은 경찰서의 5번째 터미널과 브라보 벙커 내 터미널들의 수리에 쓰이며, 이외에는 무기 부품의 재료로 쓰인다. 쓰이는 수량도 적고, 수급률도 정말 낮은 희귀 재료. 쓸 곳을 잘 가려서 쓸 필요가 있다. | ||
[image] | 탄소 복합재 (Carbon Composite) | 총기 재활용 경위급 이상의 출입증 제출 |
일반적으로는 총기 재활용 시 정말 낮은 확률로 나오며, 경찰서에 경위급 이상의 출입증을 제출해서 얻을 수도 있다. 탄소 복합재는 위험 물질 방호 헬멧, 위험 물질 방호 재킷, 위험 물질 방호 바지, 위험 물질 방호 신발 장비의 제작에 필요하며, 무기 부품의 재료로도 사용된다. 수급률이 바닥을 기는데 사용처는 여기저기에 있는 재료이기 때문에 역시나 쓸 곳을 잘 가려서 써야 한다. | ||
[image] | 알코올 (Alcohol) | 알파 벙커 상자 열매 5개 + 10분 → 알코올 1개 (의료용 탁자) |
알파 벙커를 돌다 보면 여기저기서 얻을 수 있고, 쿠폰 상자 내에도 여러 개가 들어 있다. 직접 만든다면 의료용 탁자에서 열매 5개를 10분 동안 증류시키는 것으로 만들 수 있다. 알코올은 구급 상자, 폭발성 물질의 재료이다. 또한 상자에 칠해 놓은 페인트를 지우는 데 쓸 수 있으며 이 경우 10개가 필요하다. 전체적으로 수급률은 나쁘지 않은데 정작 사용처가 구급상자 외에는 없다시피 하고 이마저도 실제 회복 효율을 중시한다면 구급상자보다는 그냥 붕대 묶음을 들고 가는 경우가 많아 거의 쓸모가 없다시피 한 재료이다. | ||
[image] | 빈 병 (Empty Bottle) | 생수 사용, 휘발유병 사용 |
생수를 마시거나 기름이 담긴 병 내 기름을 오토바이에 넣으면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빈 병은 빗물받이를 이용해 물병으로 만들거나 오토바이의 기름을 빼내서 휘발유병으로 만들 수 있고, 빈 병 자체가 화분 시설의 재료로 쓰이기도 한다. 재활용 도구로 빈 병을 재활용하면 플라스틱을 얻을 수 있다. | ||
| 빈 깡통 (Empty Can) | 통조림 식량 사용 |
통조림의 내용물을 먹으면 얻을 수 있다. 한 묶음이 20개이다. 빈 깡통은 인계선 덫 시설의 제작에 필요하고, 개 상자를 완성하는 데에도 필요하다. 또한 금속 파이프의 무기 부품 중 하나인 '못 박힌 깡통'의 재료로 80개의 빈 깡통이 필요하다. 재활용 도구를 통해 일정 확률로 '''알루미늄 주괴'''로 재활용할 수 있다. | ||
[image] | 사진기 (Camera)? | 자원 지역 이외의 지역의 상자 래비저의 시체 |
자원 지역 이외의 지역에서 드물게 나오고, 래비저를 쓰러뜨리면 래비저의 시체에서 이게 나올 때도 있다. 쓰이는 곳은 없지만 재활용 도구에서 분해 시 낮은 확률로 구리 주괴를, 매우 낮은 확률로 렌즈를 얻을 수 있다. | ||
[image] | 렌즈 (Lens)? | 공중 투하 카메라 재활용 |
1.9 버전에서 추가된 아이템. 상자에서 얻거나 카메라에서 분해하면 매우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총기의 일부 조준경 부품의 제조에 사용된다. | ||
[image] | 휘발유 (Gasoline) | 공중 투하 상자 알파 벙커 내 상자 |
주요 사용처는 오토바이나 모터보트 같은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 연료 충전량은 하나당 25이다. 발전기를 완성하거나 포탑을 가동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
[image] | 휘발유병 (Bottle with Gasoline) | 빈 병을 오토바이의 연료 칸에 넣어 기름을 뺌 |
오토바이 UI를 열고 연료 칸에 빈 병을 넣은 뒤 기름을 빼면 얻을 수 있다. 주요 사용처는 이동 수단의 에너지원. 연료 충전량은 하나당 5로 휘발유통의 1/5 수준이지만 대신에 이 쪽은 사용 시 빈 병을 돌려받을 수 있다. 발전기를 완성하거나 포탑을 가동하는 데에도 사용된다. | ||
[image] | 총기용 기름 (Gun Oil) | 알파 벙커 내 상자 및 좀비 시체(보안 프로토콜 필요) |
1.6.9 버전에서 추가된 재료. 이전까지 사용처는 없었으나 1.9 업데이트 이후 무기 부품 재료로 사용된다. | ||
| 포탑 부품 (Turret Parts) | 알파 벙커 포탑 잔해 |
알파 벙커 내에 있는 포탑을 파괴하면 그 포탑의 부품을 일부 회수할 수 있다. 포탑 부품의 사용처는 전부 플레이어의 기지 내에 설치할 수 있는 포탑과 연관되어 있다. 제작, 완성, 업그레이드, 수리하는 데 있어 포탑 부품이 다 필요하다. | ||
[image] | 열 센서 (Heat sensor) | 알파 벙커 포탑 잔해 |
알파 벙커 내에 있는 포탑을 파괴하면 정말 낮은 확률로 얻을 수 있다. 열 센서는 포탑 완성 및 업그레이드에 각각 1개, 3개씩 필요하다. | ||
| USB 저장 장치 (USB Drive) | 좀비 시체,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내 상자 |
좀비나 생존자의 시체, 내지는 자원 지역 상자 등 다양한 곳에서 정말 낮은 확률로 나온다. USB 저장 장치는 경찰서 내 터미널 복구에 소량이 필요하며, 브라보 벙커의 터미널 복구에는 대량으로 필요하다. 이외에도 재활용 도구로 분해 시 플라스틱과 트랜지스터가 확률적으로, 그리고 매우 낮은 확률로 전자 회로가 나온다. 차후에 전자 연구실(Electronics Lab)이 구현된다면 USB의 내용을 플레이어가 해독할 수 있을 듯 하다. | ||
[image] | 황 (Sulfur) | 늪 지역에서 채취 |
1.15.0 업데이트로 구현된 재료이다. 화약, 산, 방사능 치료 알약의 가소제이다. | ||
[image] | 화약 (Gunpowder) | 황 20개 + 석탄 10개 |
1.15.0 업데이트로 구현된 재료이다. 글록 17, 폭발성 물질 제작의 필수 재료이지만 현실적인 부분을 다 따지면 폭발성 물질의 재료로만 쓰인다. | ||
[image] | 금괴 (Gold Bar) | 자원 지역 내 상자 |
생긴 건 여타 다른 광물처럼 생겼지만 실제로는 제련 과정 같은 거 없이 그냥 그 자체로 얻을 수 있는 물품이며, 누가 금 아니랄까봐 얻기 정말 힘든 희귀 물품이다. 세기말의 시대임에도 여전히 금괴는 가치가 대단히 높다고는 하지만, 일반적인 상황에서는 아무데도 쓸 데가 없고 그냥 상인이 요구할 때 가져다 주는 정도에 불과하다. 때문에 그냥 평범하게 플레이하다 보면 금괴가 쌓일 때도 있다. 그랬다가 1.17.6 업데이트로 전자 회로의 제조법이 바뀌었는데, 그 바뀐 제조법이 금괴 3개를 요구하도록 바뀌면서 전자 회로의 재료로 쓰일 수 있게 되었다. | ||
| 폭발성 물질 (Explosive Material) | [image] × 10 + [image] × 5 + [[파일:LDOE_Aluminium_Bar.png|width=32px] × 20 [image] × 20 + [image] × 25 + [image] × 10 |
베타 1.15.0 버전 이전까지는 만들 수 없었으나 해당 버전 이후로 요구 레벨과 재료 양이 훨씬 더 높아진 대신 모든 재료가 다 구현되면서 직접 만들 수 있게 되었다. 만드는 게 그렇게 큰 의미가 있는 건 아니지만, 일단 아이템 자체는 C-4 폭약과 지뢰의 재료이며, 제조법을 익히려면 레벨 82에 1 포인트가 필요하다. | ||
| 전자 회로 (Electronic Circuit) | 티타늄 주괴 × 4 + 전선 × 5 + [image] × 2 [image] × 3 + 유리 섬유 × 5 + [image] × 5 |
베타 1.6.9 업데이트 이후로 전술 터미널에 디스크를 삽입하면 갈 수 있는 숲의 상자에서 한 개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USB 드라이브나 휴대전화를 재활용 도구로 재활용 시 정말 낮은 확률로 나오기도 한다. 또한 베타 1.17.6 업데이트로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제조법이 좀 더 복잡해진 대신 플레이어가 직접 만들 수 있게 되었다. 제조법을 익히려면 레벨 88에 2 포인트가 필요하다. 산 세척기의 제작 및 경찰서 터미널 수리나 경찰서 내 아레나 재기동에 사용되며, 1.7.9 버전 이후 터렛을 2레벨로 업그레이드할 때 1개, 3레벨 업그레이드에 3개가 요구된다. 베타 1.15.0 업데이트로 구현된 브라보 벙커 내에 있는 각종 편의성 장치 복구에도 요구되는데 수리해야 하는 6개 장치 중 4개가 전자 회로를, 그것도 각 장치가 최소 3개 이상의 전자 회로를 요구하고 이 중 '순찰 취소' 기능을 가진 장치 수리에는 전자 회로가 10개나 필요하다. 이외에도 모터보트 완성에 5개가 필요하기도 하다. 본 게임 내 아이템들 중에서 얻기 힘든 아이템 중 하나로 손꼽히는 아이템이다. 다만 귀중한 만큼 사용처가 한정되어 있으므로 적재적소에 활용하는 것이 좋다. | ||
| 티타늄 방어구 파편 (Fragments of titanium armor suit) | 죽음의 섬, 가라앉은 상자 |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같이 나온 재료이다. 죽음의 섬 내에서 3개 정도를 주울 수도 있고, 가라앉은 상자를 정화하면 안에 몇 개가 들어 있다. 티타늄 방어구 파편의 유일한 사용처는 재활용밖에 없지만, 재활용 시 '기계' 재활용 레벨에 따라 높은 확률로 전선, 낮은 확률로 알루미늄 주괴, 그리고 제일 낮은 확률로 '''티타늄 주괴'''를 얻을 수 있다. 수동 드릴을 얻거나 만들기 전까지는 유일한 티타늄 주괴 수급처나 다름없으므로, 재활용 도구의 '기계' 부문의 레벨을 최대치까지 올린 상태에서 재활용하는 게 좋다. |
3.3. 상인 거래 전용 물품
여기에 써진 물품들은 그 자체적으로는 아무 데도 쓸 곳이 없는 대신 상인과의 거래에서 상인이 요구할 때가 있는 물품이다.
아이콘 | 이름 | 획득 방법 |
[image] | 손전등 (Flashlight)? | 좀비 시체, 자원 지역 내 상자 알파 벙커 내 상자 |
USB 저장 장치와 마찬가지로 좀비나 생존자의 시체, 내지는 자원 지역 상자 등 다양한 곳에서 USB보다는 아주 살짝 높은 확률로 나온다. 그 자체적으로는 아무 쓸 데가 없으며, 재활용 도구로 분해해도 매우 낮은 확률로 나오는 알루미늄 주괴를 제외하면 그렇게 좋은 재료를 얻을 수는 없다. 설명에는 전자 연구실에서 해체하면 쓸모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되어있는 것으로 보아 추후 사용처가 공개될 것 같다. | ||
[image] | 비싼 시계 (Expensive Watch)? | 좀비 시체 (주로 코왈스키 병장에게서))) 자원 지역 내 상자 |
설명에는 예비 부품으로나 쓸 수 있다고 되어 있으며, 재활용 도구로 재활용하면 높은 확률로 고철, 낮은 확률로 볼트, 그리고 매우 낮은 확률로 구리 주괴를 얻을 수 있다. 상인이 요구할 때가 있다. | ||
[image] | 담배 (Cigarettes)? | 좀비 시체 자원 지역 내 상자 |
그 자체로는 아무 쓸 데도 없다. 다만 상인이 요구할 때가 있다. | ||
| 자물쇠와 열쇠 (Lock and Key)? | 좀비 시체 자원 지역 내 상자 |
그 자체로는 아무데도 쓸 데가 없으며, 재활용 도구로 분해해도 고철이나 플라스틱만 나온다. 상인이 요구할 때가 있다. | ||
| 휴대전화 (Mobile Phone)? | 좀비 시체 |
그 자체로는 아무데도 쓸 데가 없으나 가끔 상인이 요구할 때가 있다. 하지만 재활용 도구를 통해 분해 시 플라스틱과 첨단 부품이 확률적으로, 그리고 매우 낮은 확률로 전자 회로가 나오기 때문에 아무 쓸모가 없는 물품 중에서는 제일 중요하다. |
4. 무기(Weapon)
모든 무기에는 내구도가 있으며 0이 될 경우 자동으로 파괴된다. 내구도는 공격버튼을 둘러싼 원형 띠로 쉽게 볼 수 있다. 또한 이 내구도는 무기마다 다르다. 고위력 무기나 무기보다는 도구로 쓰이는 무기들의 경우 사용 횟수가 적은 편.
무기마다 피해량 및 공격 속도가 다르며, 실질적인 위력은 대략 공격력 × 공격속도이다. 단, 방어력이 높은 AI나 농장 및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알파 벙커 내 적들 상대로는 단발 공격력이 훨씬 중요하다. 또한 무기에는 고유의 무게가 있어, 무기를 착용하게 될 경우 이동 속도가 소폭 감소하게 된다.
1.5.5 패치 이후로 파츠가 장착된 무기들이 등장하였다. 파츠는 조준 장치, 소음기, 확장 탄창, 레이저 조준기 총 4개가 있었고, 이들 무기는 1.9 업데이트 때 무기에 많은 변화가 일어난 뒤로 직접 플레이어가 개조하여 무기에 장착할 수 있게 되었다. 무기 개조가 가능한 무기의 경우 무기 종류에 따라 부품을 최대 5개까지 달 수 있다. 아래의 무기들 중에 개조 가능한 무기는 @로 표시되어 있다. 부품은 총포 제작 작업대에서 제작 가능하며, 제작 시 설계도가 필요하다.
4.1. 도구
특정 자원을 채취하기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하는 물품이다. 굳이 손에 들고 있지 않아도 인벤토리에 해당 도구가 있는 상태에서는 해당 도구가 필요한 자원을 채취할 수 있다.
일단 손에 들고 있을 수도 있고 뭣하면 이걸로 상대방을 공격하는 것도 가능해서 시스템 상으로는 근접 무기로 취급되고 실제로 재활용이 되는 도구의 경우 재활용 시 근접 무기로 취급하지만, 도구는 근접 무기로 쓰기에는 공격력이나 공격 속도 면에서 상대적으로 같은 티어 내 다른 무기들에 비해 안 좋은 경우가 많다. DPS가 표기되어 있지 않은 건 다 이 때문. 말 그대로 이런 걸로 적을 때려패거나 할 생각 하지 말고 그냥 본래 목적대로 쓰라고 있는 쪽에 더 가깝다. 애초에 해당 도구 없이는 해당 자원을 채취할 수 없는 것도 있고.
근접 무기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공격력 / 공격 속도 | 필요 재료 | 내구도 | |
손도끼 (Hatchet) | 기본 | 7 / 0.9 | [image] × 3 + [image] × 3 | 50 | |
나무 벌목용 도구이다. 소나무를 베는 데 쓰이며 AI의 집이나 모텔의 판자로 가로막힌 곳, 다른 유저의 기지에 있는 1레벨 벽을 이걸로 찍어서 파괴할 수 있다. 다만 문이나 벽을 파괴할 때에는 한 번에 1/6씩 내구도를 소모한다. | |||||
곡괭이 (Pickaxe) | 기본 | 7 / 1.1 | [image] × 3 + [image] × 3 | 50 | |
손도끼와 마찬가지로, 석회석이나 철광석을 채굴하는 데 쓰이는 광석 채굴용 도구이다. 상설 파밍 지역 내에 있는 지하실에서 경우에 따라 벽을 곡괭이로 깨야 하는 상황이 나올 수 있는데, 이 경우 손도끼로 벽을 찍을 때처럼 한 번에 1/6씩 내구도를 소모한다. | |||||
철 손도끼 (Iron Hatchet) | 레벨 14 1 포인트 | 20 / 1.1 | [image] × 5 + [image] × 3 + 못 2개 + [image] × 5 | 75 | |
참나무와 물푸레나무 벌목에 쓰이는 도구. 농장에 있는 집 문이나 AI의 집 내지는 다른 유저의 기지 내 2레벨 벽을 이걸로 찍어서 파괴할 수 있다. 손도끼와 마찬가지로 문이나 벽을 파괴할 때에는 1/6씩 내구도가 소모된다. 상위 도구이긴 해도 일단 도끼인 만큼 이걸로 소나무를 채취하는 건 가능하지만, 소나무는 일반적인 손도끼로도 충분히 채취할 수 있는 건데 상대적으로 제작 단가도 높은 철 손도끼를 굳이 소나무에 써야 할 이유는 없기 때문에 그냥 낭비이다. 참나무 지역에서 자동 진행을 돌릴 경우 여차했다간 이걸로 참나무를 베는 게 아니라 애꿎은 소나무만 죄다 베는 참사가 일어날 수 있으므로, 참나무가 있는 지역에서는 자동을 돌리기 전에 철 손도끼를 다른 상자 같은 데에 넣어 놓는 등 인벤토리에서 임시로 빼 놓은 상태에서 자동을 돌릴 필요가 있다. 평소에 이걸로 적을 공격할 일은 없다시피 하지만, 이걸로 적을 팰 경우 둔탁한 철로 때리는 듯한 소리가 난다. | |||||
철 곡괭이 (Iron Pickaxe) | 레벨 14 1 포인트 | 20 / 0.7 | [image] × 5 + [image] × 3 + 못 2개 + [image] × 5 | 75 | |
구리 광석, 석영, 황 채굴에 쓰이는 도구이다. 만들 수 있는 시기에 비해 구리 광석이나 석영을 채굴할 수 있는 시기가 한참 뒤이지만, 대신 설원 지역에 구리가 많이 나오지 않다 보니 한 번 참나무 지역에 갔을 때 서너 자루씩 쓰게 되는 철 손도끼에 비해 소모율이 훨씬 적다. 물론 나중에 석영이나 황을 채굴하러 갈 때에는 소모량이 좀 많아지긴 하지만, 그 시기 쯤 되면 철 곡괭이 만들 자원 정도는 넉넉하게 쌓아 놓았을 시기라 역시 큰 문제는 없다. 철 곡괭이 또한 일단 곡괭이인 만큼 석회석이나 철 광석을 채굴할 수는 있지만, 철 손도끼와 같은 이유로 이 또한 그냥 낭비이다. 설원 지역은 상대적으로 자동 진행을 하기가 대단히 어려운 지역이라 체감이 안 되지만, 그래도 조심해서 손해 볼 건 없다. | |||||
낚싯대 (Fishing Rod) | 레벨 52 1 포인트 | 5 / 1.1 | [image] × 3 + [image] × 5 + [image] × 5 + [image] × 7 + [image] × 5 | 10 | |
1.6 버전에 구현되고, 1.15.0 버전에서 낚싯터가 구현되면서 본격적으로 그 쓰임새가 생긴 도구이다. 다만 제조를 위해서는 대단히 희귀한 기술인 '어부' 기술이 필요하다. 무기처럼 표현되어 있고 실제로 휘두를 수도 있긴 하지만 실제로 무기로 쓸 생각은 절대로 하지 말자. 공격력은 5로 맨주먹보다도 낮고 공격 속도는 1.1인데다가, 결정적으로 내구도가 10이여서 무기로는 부적절하다. | |||||
수동 드릴 (Manual earth drill) | 레벨 100 1 포인트 | - | 티타늄 주괴 × 5 + [image] + [image] × 15 전선 × 15 + [image] × 10 + [image] × 3 | ? | |
1.17.6 업데이트로 추가된 도구. 내구도가 표시되어 있지만 플레이어가 직접 손에 들고 무기처럼 쓸 수는 없는 도구이다. 티타늄 광석 채굴에 필요한 도구이다. 티타늄 채굴에 필요한 도구가 티타늄을 요구하는 게 모순처럼 느껴질 수도 있지만, 광석 가공 없이 티타늄 주괴를 얻을 수 있는 다른 방법이 있어서 딱히 문제되는 사항은 아니다. | |||||
C-4 폭약(C-4 Explosive) | 레벨 100 2 포인트 | - | 강철 주괴 20개 + 스프링 15개 + [image] × 20 폭발물 18개 + [image] × 10 + 전선 25개 | - | |
엄밀하게 말하면 C-4 폭약은 여타 다른 도구들처럼 손에 들고 근접 무기처럼 쓸 수 있다던가 하는 건 아니지만, 그렇다고 이 게임 내에서 이 폭약이 무기처럼 쓰이는 모습이 잘 나오지를 않고, 마침 이후에 티타늄의 채굴 같은 데에 소모성 도구처럼 쓰이는 모습이 짙어서 여기에 표기한다. 일반적으로는 알파 벙커의 전투장비 상자에서 일정 확률로 얻거나, 참나무 수풀 내지는 설원 지역 같이 위험도가 높은 자원 지역의 상자 안에서 가끔 가다 얻을 수 있다. 디스크 좌표에 있는 상자에서 2개씩 나오기도 한다. 3레벨의 벽, 창문, 문에 설치해서 부술 수 있으며, 이외에도 감염된 숲에 있는 고치나 죽음의 섬 내 동굴 안에 있는 티타늄 덩어리를 폭파시키는 데 쓰이기도 한다. 여타 다른 폭발물들이 그렇듯 폭파 시 주변의 일정 범위를 표시한 후, 해당 범위 내에 있는 적이나 플레이어에게 폭발 피해를 준다. 제조 단가는 대단히 비싸지만 이미 예전부터 만들어 쓰는 의미가 없는 아이템이었다. | |||||
금속 절단기 (Metal Cutter) | - | ? | ? | ? | |
일단 NPC가 사용하는 모습이 과거에 나온 적이 있으나, 플레이어가 쓸 수 있는 도구의 형태로는 아직 구현되지 않은 도구이다. 금고나 4레벨 벽을 부수는 용도로 추정된다. |
4.2. 근접 무기
근접 무기의 경우 기습 공격 시 해당 무기의 공격력의 3배에 달하는 피해를 가한다. 또한 원거리 무기와 달리 근접 무기는 아무리 싼 것이든 비싼 것이든 직접 제작해 쓰는 일이 많은데, 일반적으로 무기에 쓰이는 재료의 우선 순위는 나무 & 돌 < 철 < 가죽 정도로 치는 경우가 많다. 즉 성능 상으로 비슷한 무기의 경우 가죽의 비중이 적은 쪽이 좀 더 가성비가 좋고 철 비중이 좀 더 적은 쪽이 가성비가 좀 더 좋다는 뜻이다.
근접 무기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공격력 / 공격 속도 | DPS | 필요 재료 | 내구도 |
맨손 (Hand) | 기본 | 6 / 1.8 | 10.8 | - | ∞ |
아무것도 장비하고 있지 않을 때 기본적으로 쓰는 무기. 따로 도구를 쓰지 않고 맨손으로 주먹질하는 만큼 내구도 제한 같은 건 없다. 어째 연출만 놓고 보면 정말 별로일 것 같지만, 묘하게 DPS가 나쁘지 않고 선후딜 면에서도 조금 자유롭다. | |||||
망치 (Hammer) | - | 8 / 1.6 | 12.8 | - | 100 |
AI 드랍 내지는 다양한 곳에서 찾을 수 있는 무기. 방당 피해량은 낮지만 공격 속도가 빨라 무작정 한 놈을 연타로 패는 데 최적화되어 있다....라는 게 이것의 낚시. 망치의 진정한 용도는 무기가 아니라 재료, 그것도 무기 개조에 대량으로 쓰이는 재료이다. 게다가 농장의 다리를 고치는데 쓰이는 등 오히려 무기로 쓰면 안되는 무기(?). | |||||
창@ (Spear) | 레벨 1 1 포인트 | 10 / 1 | 10 | [image] × 3 | 100 |
별 거 없는 그냥 나무 막대기. 정말 기본적인 무기로, 이걸로 찌르는 게 아니라 이걸 휘둘러서 공격한다. 방당 피해량 때문에 위험도 초록색 지역에서 기습 + 평타를 통한 스텔스 사냥에 최적화되어 있다. 물론 이외 지역에서는 변태 플레이가 아닌 이상 거의 버려지다시피 한다. 개조를 한다해도 기본 무기 뎀딜이 거지라 의미가 없는 무기. | |||||
횃불 (Torch) | 레벨 6 1 포인트 | 12 / 1.1 | 13.2 | [image] × 5 + [image] + [image] × 2 | 100 |
광원 효과를 가지고 있어 주변이 더 밝아지나 적의 인식 범위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다. 다만 주무기로 들고 있을 시 내구도가 3초에 1씩 감소하는 단점이 있어 직접 만들어서 쓰는 경우는 없다. 특정 이벤트에서는 이 횃불을 들고 좀비에게 다가가 해당 좀비를 다른 곳으로 유도하는 이벤트도 있었다. | |||||
대충 만든 몽둥이@ (Makeshift Bat) | 레벨 6 1 포인트 | 14 / 1 | 14 | [image] × 5 + [image] × 3 | 100 |
생긴 것만 봐서는 판자를 적당히 가공해서 무기로 쓰는 듯. 이쯤 오면 체력 40짜리는 그냥 기습 한 방에 원킬이 뜨는 등 초록색 지역 내에서 그냥저냥 무난하게 쓸 수 있지만 직접 만들어서 쓰기에는 테이프가 아까운 편이다. 1.9 이전까지는 28레벨부터 위의 재료에 못 8개를 추가해서 만들 수 있었던 피해량 22짜리 못을 박은 방망이(Nail Board)도 있었으나, 1.9 업데이트로 해당 무기는 없어지고 대신 대충 만든 몽둥이를 개조하는 식으로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
하키채 (Hockey Stick) | - | 15 / 1.3 | 19.5 | - | 70 |
AI 드랍 내지는 상설 파밍 지역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미묘하게 위험도 초록색 지역과 노란색 지역의 중간 같은 느낌의 무기이다. 나름 괜찮은 사거리에 공격 속도도 무난하다. | |||||
푸주칼@ (Cleaver) | 레벨 18 1 포인트 | 17 / 1.4 | 23.8 | [image] × 5 + [image] × 5 + [image] × 4 | 100 |
생긴 건 중국집 식칼처럼 생겼다. 사거리가 정말 짧지만 피해량이 제법 괜찮은 편이다. 초중반에는 제작 코스트 때문에 그다지 크게 와닿지 않을 무기 같지만, 후반에 개조 부품을 만들 시기가 오면 푸주칼의 입지가 상당히 높아진다. 특히 희귀한 부품 2개를 완성해서 만들 수 있는 일명 '전술 푸주칼'은 푸주칼이라고는 믿기지 않을 정도로 고성능. | |||||
쇠지렛대 (Crowbar) | 레벨 22 1 포인트 | 17 / 1.6 | 27.2 | [image] × 7 + [image] × 3 | 100 |
일명 빠루. 푸주칼과 비슷하나 이 쪽은 공격 속도가 좀 더 나으며 소모 자원 대비 효율이 좋은 대신 개조가 안 되는 문제가 있다. 다른 건 몰라도 가성비 면에서는 상당히 좋게 평가받는 무기. 특히 알파 벙커 같은 데에서 일명 '벽치기(Wall trick)' 전술을 쓸 때 특히 고평가받는데, 제작 코스트도 낮고 공격 선딜이 적은 점 때문에 벽치기 전술을 쓸 때 우위를 점할 수 있기 때문이다. 몇몇 지역에서는 이 쇠지렛대를 사용해 문을 열어야 하는데 이 경우 쇠지렛대를 평소에 휘두르듯 한 손으로 휘두르지 않고 양손으로 휘두르며, 손도끼나 곡괭이처럼 한 번 사용할 때마다 내구도가 1/6씩 대폭 깎인다. | |||||
골프채 (Golf Club) | - | 18 / 1.1 | 19.8 | - | 80 |
AI 드랍 내지는 상설 파밍 지역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위험도 노란색 지역에서도 어느 정도 쓸만할 정도로 피해량이 괜찮은 편이다. | |||||
노 (Paddle) | - | 20 / 0.8 | 16 | - | 80 |
AI 드랍 내지는 상설 파밍 지역의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피해량만 놓고 보면 체력 80짜리 적도 기습 + 평타로 끝낼 수 있을 정도로 준수한 편이고, 이 게임 내에 있는 적의 상당수가 20의 배수 단위의 체력을 가지고 있어서 딜 로스가 없다는 점이 큰 장점. 다만 공격 속도가 낮아서 후술할 야구방망이에 비해서는 쓰기 힘든 편이다. 평타 캔슬을 통해 거리를 약간씩 벌려서 적의 딜 로스를 유발하는 식으로 쓰면 느린 공격 속도로도 충분히 유용하다. 이걸로 적을 때렸을 때 나오는 "챨쌱" 소리는 아주 찰진 편. | |||||
야구 방망이@ (Baseball Bat) | - | 20 / 1 | 20 | - | 80 |
AI 드랍 내지는 상설 파밍 지역, 알파 벙커 내 배급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무기. 습격자들 중에는 이걸 들고 있는 습격자들도 있다. 방당 피해량이 노와 같은 20이지만 야구 방망이 쪽이 공격 속도가 좀 더 빨라 노의 상위 호환이다. 노와 같은 이유로 딜 로스가 없는 점도 장점이지만, 무엇보다 야구 방망이는 개조를 통해 공격 속도를 일부 희생하는 대신 공격력을 높이는 것도 가능하다. | |||||
삽 (Shovel) | 레벨 34 1 포인트 | 26 / 1 | 26 | [image] × 8 + [image] × 7 + 못 3개 | 70 |
기존에는 27의 피해를 가지고 있어 체력 80짜리 적을 기습으로 원킬낼 수 있었으나, 이게 지나치게 많이 이용되자 결국 피해량이 1 낮아져 80짜리 적을 기습으로 원킬할 수 없게 됐다. 그래도 일단 아무것도 없는 초기에 만들 수 있는 물건 중에는 피해량이 높아 위험도 붉은색 지역에서도 어떻게든 쓸 수 있을 정도이며, 여전히 체력 100의 적은 기습 + 평타 한 방으로 손쉽게 처치할 수 있다. 일단 무기로 쓰이는 경우가 많긴 하지만 후반에 가면 무기보다는 도구로써 쓰이기도 하는데, 모래 채석장에 있는 모래를 채굴할 때나, 늪지대에 있는 토탄 자원을 채취할 때 삽이 필요하다. 이벤트 중에는 삽을 이용해 땅을 파내는 것을 요구하는 이벤트도 있다. | |||||
금속 파이프@ (Metal pipe) | 레벨 34 1 포인트 | 26 / 1.3 | 33.8 | [image] × 10 + [image] × 5 + [image] × 5 + [image] | 90 |
이전에는 못 박힌 약탈자(Spiked Devastator)였으나, 1.9 패치 이후로 이름이 바뀌었다. 조합 방법 및 재료는 동일하며, 이후 업데이트로 요구 재료가 조금 바뀌었다. 기존의 못 박힌 약탈자는 개조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무장 중 하나이지만, 무기 상자 안에서 나올 수 있는 무기 중에서는 실질적으로 꽝 취급받는 무기이다. 또한 직접 만들기에는 요구 재료가 좀 비싼 편. 하지만 피해량이 괜찮고 무엇보다 개조도 할 수 있어 취급은 영 아닐지언정 성능 자체는 꽤나 준수하다. | |||||
도로 표지판 (Road Sign) | - | 30 / 0.7 | 21 | - | 70 |
일명 표지판. 위험도 노란색 지역 이상 및 공중 투하 지역에서 얻을 수 있다. 장대형 무기라 일단 사거리가 길며, 피해량 30이면 위험도 붉은색 지역에서 아무 문제 없이 쓸 수 있을 정도이나 이 쪽은 공격 속도가 낮다. 역시나 기습 및 평타 캔슬을 통해 적의 딜 로스를 유발하는 식으로 쓰는 게 좋다. 노와 야구 방망이의 관계와 비슷한데 이 쪽은 노에 가깝다. | |||||
마체테@ (Machete) | 레벨 52 1 포인트 | 30 / 1.3 | 39 | [image] × 15 + [image] × 3 + [image] × 12 | 80 |
직접 제작 및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 얻을 수 있으며, 습격자들이 주로 들고 다니는 무기 중 하나이기도 하다. 제작 코스트가 높은 무기라 직접 제작보다는 상인과의 거래를 통해 얻거나 습격자들의 것을 뺏어 쓰는 것이 좀 더 추천된다. 피해량 30에 괜찮은 공격 속도를 가지고 있고 개조도 할 수 있어 거의 표준에 가까운 무기이다. 여기서부터는 본격적으로 알파 벙커에서 쓸만하다. 노와 야구 방망이의 관계와 비슷한데 이 쪽은 야구 방망이에 가깝다. | |||||
카타나 (Katana) | - | 35 / 1.3 | 45.5 | - | 70 |
공중 투하 및 상인과의 거래로 얻을 수 있는 무기. 와시자키와 더불어 사무라이의 상징이라고 한다. 여기서부터는 체력 100짜리도 기습 한 방에 원킬이 뜬다. 제법 좋은 피해량에 은근 빠른 공격 속도가 겹쳐 근접 무기들 중에 DPS가 제일 높은 무기이다. 의외로 사거리도 나쁘지 않다. | |||||
곤죽 망치@ (Skull Crusher) | 레벨 46 1 포인트 | 45 / 0.7 | 31.5 | 벽돌 × 2 + [image] × 12 + 못 × 12 [image] × 5 + [image] × 4 | 45 |
에어드랍 및 상인과의 거래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일명 오함마. 기본 피해량 만으로도 떠돌이 좀비는 원킬이며 장대형 무기라 사거리도 대단히 긴 편이나 곤죽 망치와 후술할 톱날 철퇴는 무기의 내구도가 낮아 이런 일반 좀비를 상대로 쓰는 건 엄청난 무기 손해이다. 주로 기습 목적 및 체력이 높지만 기습이 안 되는 적을 상대할 때 주로 쓰곤 한다. | |||||
톱날 철퇴@ (Saw Blade Mace) | 레벨 64 1 포인트 | 55 / 0.7 | 38.5 | [image] × 15 + [image] × 10 + [image] × 5 [image] × 5 + [image] × 12 | 30 |
에어드랍 및 상인과의 거래로 얻을 수 있는 무기로, 일명 쏘블 및 톱함마. 기습의 피해량이 165나 되고 장대형 무기라 사정거리도 길어, 광분한 거인 등 체력이 높거나 중무장한 적을 상대하는 데 쓰이는 최종병기급 무기이다. 성능이 이렇게 좋은 만큼 요구 재료도 엄청 많고 무엇보다 내구도가 30밖에 안 되는 점은 확실히 단점이나, 철저하게 기습 목적으로 쓰이는 무기인 만큼 단점 체감이 심한 편은 아니다. | |||||
낫 (Scythe) | - | 60 / 0.7 | 42 | - | 30 |
오래된 농장의 철 상자를 가지고 금속 절단기를 통해 열면 획득 가능하다. 개조는 불가능하지만 근접 무기 중에서는 최강의 단발 피해량을 가지고 있다. |
4.3. 원거리 무기
총기를 위시한 원거리 무기의 경우 기습 시의 추가 피해가 없지만 안정적으로 원거리에서 공격하는 데 최적화되어 있으며, 무게도 상대적으로 적게 나가 이동 속도 감소가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원거리 무기는 실제로 적을 상대로 사용했을 때에만 내구도가 소모되며, 그냥 허공에 쓰는 경우에는 내구도 소모가 일어나지 않는다. 다만 M16, AK47 같은 고속 연사 무기의 경우 일정 시간 이상 적을 상대로 연사 공격을 하게 되면 공격 빗나감(Miss) 판정이 적지 않게 나게 된다. 빗나감 판정이 나도 내구도는 감소하기 때문에 무작정 연사로 공격하면 효율이 급락한다. 무기를 끊어서 쏘거나, 무기 개조로 안정성을 높이면 빗나감 확률이 줄어든다.
활을 뺀 나머지 원거리 무기는 제작이 불가능하거나, 만들어 봐야 성능 대비 재료가 아까울 정도로 비싼 경우가 대부분이다. 포인트나 재료를 원거리 무기에 낭비하는 행동은 하지 말 것. 즉 후술할 표에서 제작법 습득 조건은 어지간한 경우가 아닌 이상 죄다 장식이다.
원거리 무기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공격력 / 공격 속도 | DPS | 필요 재료 | 내구도 |
활@ (Bow) | 레벨 10 1 포인트 | 8~20 / - | - | [image] × 5 + [image] + [image] × 5 [image] × 3 + [image] × 3 | 50 |
DPS가 큰 의미가 없는 무기인데, 이는 이 무기가 장전을 오래 할 수록 피해량이 올라가는 방식이기 때문이다. 일정 시점 이후부터는 빗나가는데, 빗나가기까지 시간이 그리 길지 않으므로 섬세한 컨트롤이 필요하다. 빗나갈 경우 활의 내구도는 감소하지 않는다. 개조를 통해 활의 생김새가 바뀔 수도 있는데, 이러면 분명히 나무나 철로 만들었는데 들고 있는 게 플라스틱제 컴파운드 활이 나오는 경우도 볼 수 있다. | |||||
급조 권총@ (Zip Gun) | 레벨 34 1 포인트 | 18 / 0.8 | 14.4 | 강철 주괴 2개 + 스프링 4개 + [image] × 5 [image] × 3 + [image] + [image] × 8 | 100 |
총기 중에서는 그나마 제작 코스트가 낮은 총이긴 하나... 보다시피 사제총이다. 노획하건 제작하건 쏘는 것을 보면 알겠지만, 플린트락도 아닌 거의 심지를 태워서 쏘는 화승총이다(...) 개조 중 가장 기본이 볼트 액션인 게 모든 것을 설명할 정도. 무개조 버전에서는 안 쓰니만 못하는 능력을 보여 그냥 재활용하는 게 나을 수준이다. 베타 1.14 이전까지는 '수제 총'이라 번역되었다가 번역명이 바뀌었다. | |||||
[image] 글록 17@(Glock 17) | 레벨 40 1 포인트 | 20 / 3.3 | 66 | 티타늄 주괴 × 15 + [image] × 15 + 스프링 × 8 [image] × 5 + [image] × 3 + [image] × 2 | 100 |
공중 투하, 상인과의 거래 및 알파 벙커의 쿠폰 상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제일 기본적인 권총. 발당 공격력도 무난하고, 연사력과 그에 따른 DPS가 좋아 대단히 좋은 무기이다. 1.15.0 업데이트로 요구 재료 중 강철 주괴 20개가 티타늄 주괴 20개로 변경되었다. 해당 업데이트에서 화약 아이템이 구현됨에 따라 기존 제조법을 그대로 따라갔으면 실제로 유저가 직접 만들 수 있는 무기가 되었을 수 있었기 때문에 취한 조치로 보인다. M16이나 AK-47보다 더욱더 자원이 필요하다는 괴상한 상황이다. 이후에 1.17.6 업데이트로 티타늄이 구현되어 만들 수 있게 되었지만, 제조법이 훨씬 더 복잡해진데다 벙커 알파에서 툭하면 얻을 수 있는 총이기 때문에 더욱 더 만들 의미가 없는 총. 기본 총이라는 위치 덕분인지 개조 카타고리가 5가지로 총기 중 가장 많으며, 연사 무기가 아니라서 미스 판정 없음, 발당 기본 20이라는 준수한 데미지 덕분에 드롭율에 비해 유용하다. 거기에 개조를 하면 효율이 더욱 더 높아진다. | |||||
윈체스터@ (Winchester) | - | 21 / 0.9 | 18.9 | - | 30 |
경찰서에서 경감 등급 이상의 출입증을 터미널에서 교환하면 일정 확률로 주거나, 파괴된 호송차 이벤트 중 해당 지역을 습격자들이 배회하고 있을 경우 해당 지역 최심부에 있는 습격자가 들고 있다. 산탄총 같이 단발식이지만 산탄총과 달리 이 쪽의 피해는 방당 21이 고작이다. 아이템 설명과는 완전히 딴판으로 정말 약해빠진 무기이다. 그런데 그 와중에 개조 부품의 개수는 20개로 미니 우지와 함께 제일 많다. 기존에는 25의 피해량, 0.8의 공격 속도, 그리고 산탄총처럼 먼저 장전을 하고 발사하는 무기였는데, 이후 업데이트로 피해량이 살짝 줄은 대신 공격 속도가 늘고 즉발식으로 바뀌었다. 이러나 저러나 써먹기 힘든 무기인 건 여전하지만. 사실 현실적인 부분을 생각해 보면 작중에서 나오는 윈체스터는 아무리 최근으로 잡아도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반의 물건인데, 이런 유물이 현대의 총기에 비해 성능이 좋을 리가 없다. 그마저도 실물과 비교해 보면 작중에서 나오는 윈체스터는 기본적으로 개머리판과 총열을 짧게 자른 소드 오프 버전이며, 이들을 복원하려면 총기 부품을 별도로 만들어야 하는데 윈체스터의 총기 부품은 아무리 기초적인 거라도 총기용 기름이라는 고급 아이템을 요구한다. 즉 작중에서의 윈체스터는 실전성보다는 그 희귀성이나 고급 유물로써의 가치가 좀 더 높은 편인데 작중에서 나오는 생존자들이나 습격자들은 쓸만한 무기가 없다 보니 그 과거의 유물을 현대 시대에 맞춰서 개량해 쓰고 있는 셈이다. | |||||
플레어건 (Flare Gun) | - | 10 / 1 | 100 (누적 데미지 합산) | - | 32 |
알파 벙커 지하 4층 상자, 농장 상자 또는 경찰서에서 조사관 출입증을 교환하면 일정 확률로 준다. 공격 후 맞은 적은 총합 90의 피해를 6번에 걸쳐서 받아 도합 100의 피해를 입힐 수 있다. | |||||
콜트 파이선 (Colt Python) | - | 25 / 1.4 | 35 | - | 100 |
알파 벙커 지하 1층에 있는 스페셜리스트 NPC에게 군번줄이나 수첩 등을 주면서 명성 레벨이 3까지 올라가면 얻을 수 있는 무기이다. 기존에는 듀얼 베레타라는 물건을 얻을 수 있었다. 리볼버 매그넘인데도 글록에 비해 큰 피해를 줄 수 없는 총기. 또한 리볼버가 대개 그렇듯 개조 또한 불가능하다. 윈체스터와 비슷하게 현실성보다는 희귀성이나 고급 유물로써의 가치가 더 높은 무기인 셈. | |||||
VSS@ (VSS Vintorez) | 레벨 58 1 포인트 | 50 / 2 | 100 | 스프링 14개 + + [image] × 10 | 60 |
저격소총. 초보자 패키지로 구매하거나 위험도 붉은색 지역에서 나오는 AI가 들고 있는 총을 뺏어서 얻을 수 있다. 방당 피해량도 피해량이고 소음이 체감상으로 작게 들리는 총이라 AI가 들고 있는 총 중에 제일 위험한 총이면서 동시에 정말 얻기 힘든 총이다. 이걸 들고 오는 AI가 있을 경우 AI를 직접 상대하지 말고 최대한 멀리 AI로부터 도망치면서 적들이 이 AI를 대신 처리하게 하는 것이 제일 이득이다. | |||||
산탄총@ (Shotgun) | 레벨 76 2 포인트 | 70 / 0.9 | 63 | 스프링 2개 + + [image] × 3 + [image] × 2 | 40 |
공중 투하, 상인과의 거래 및 알파 벙커의 쿠폰 상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무기. 장전하고 쏘는 식이라 발사 시의 선딜이 있긴 하나 방당 피해량이 70이나 돼서, 알파 벙커에서 광분한 거인 및 지하 4층에서 나오는 얼어붙은 좀비들, 특히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알파 벙커 내 눈먼 좀비를 공략하기 위한 무기로 쓰기 적합하다. 평타 캔슬이 가능해서, 쏘자마자 바로 움직여서 쏘면 후딜레이를 캔슬하는 게 가능하다. 산탄총이긴 하지만 멀리서 쏜다고 범위 피해를 입히지는 않는다. 범위 피해를 입히려면 산탄총의 개조 부품 중 하나인 무거운 총열을 장착하면 쓸 수 있는 스프레드 샷(Spread Shot)이라는 기술을 이용해야 한다. | |||||
미니 우지 (Mini Uzi)@ | - | 8 / 8.3 | 66.4 | - | 225 |
알파 벙커의 쿠폰 상자나 농장 상자에서 얻을 수 있는 기관단총이다. 기관단총의 고증 및 한계가 잘 구현되어 있어, 낮은 피해량과 짧은 사거리를 가진 대신 높은 연사력을 가졌다. 또한 총기 중에서 장탄량이 제일 많은 점은 상대적으로 약체 취급받는 이 무기의 강점 중 하나. 개조 부품의 개수가 20개로 윈체스터와 함께 제일 많다. | |||||
M16 소총@ | 레벨 76 2 포인트 | 12 / 8.3 | 99.6 | 티타늄 주괴 × 17 + 스프링 × 4 + [image] × 5 [image] × 5 + [image] × 3 + 공장 부품 × 2 | 170 |
공중 투하, 상인과의 거래 및 알파 벙커의 쿠폰 상자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소총. 방당 피해량은 낮지만 사거리와 연사력이 좋고 장탄량이 많은 무기이다. 벙커 내에 있는 포탑보다 사거리가 길어서, 포탑 처리에 있어 반드시 필요한 무기. 다만 지나치게 연사했다가는 Miss만 뜨면서 내구도가 그대로 소모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 |||||
AK-47@ | 레벨 82 2 포인트 | 15 / 8.3 | 124.5 | 스프링 4개 + + [image] × 5 | 170 |
소총. v1.5 이후 알파 벙커의 쿠폰 상자를 통해 얻을 수 있다. 여러 면에서 M16의 상위 호환이다. 살짝 더 높은 피해량과 미스 판정을 줄여주는 안정성을 늘려 주는 개조 부품이 더 많다는 것 외에도 개조 부품 중에 상대방의 방어력을 무시하고 피해를 줄 수 있는 '''총검'''이나 유탄을 발포할 수 있는 '''언더배럴식 유탄발사기'''가 있다는 점도 상대적으로 강점이다. | |||||
드라구노프 저격소총 (The Dragunov) | 레벨 88 2 포인트 | 50 / 2 | 100 | 스프링 5개 + + [image] × 5 | ? |
저격소총. 기습을 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아이템 자체가 구현되지는 않은 듯 하다. | |||||
미니건 (Minigun) | - | 22 / 8.3 | 182.6 | - | 160 |
알파 벙커 입구 쪽에서 진정한 친구 기술이 있는 개를 통해 1개 얻거나, 알파 벙커 내 전투 장비 상자에서 얻거나, 아니면 알파 벙커 4층의 중량 터렛에서 얻을 수 있다. 혹은 버려진 호송차 이벤트에서 기계화 장갑을 입고있는 병사의 시체에서 얻을 수 있다. 장착 시 기본 이동속도가 22로 감소하며 뛸 수 없게 된다. 공격 버튼을 꾹 눌러야 미니건 발사가 이루어지며, 과열되면 공격이 나가지 않는다. 포탑 제작에도 사용된다. | |||||
FN 스카 (FN SCAR)@ | - | 18 / 8.3 | 149. 4 | - | 170 |
소총. 1.6.9패치 이후 알파 벙커 1층에 있는 스페셜리스트 NPC에게 군번줄이나 견장, 군용 수첩 등을 건네주면서 레벨을 올리면 얻을 수 있다. 가끔 좌표가 찍힌 숲의 상자에서도 나온다. 지금까지는 가장 사기적인 성능의 소총이며 개조의 효과를 정말 잘 받는데 풀 개조 시 5방마다 치명타가 발동하고 10발에 miss가 한 번 날까 말까 할 정도이다. 이거 들면 브라보 벙커의 난이도가 급감할 정도. 대신 그만큼 물량 자체가 안 나오는 것이 최대 단점. | |||||
밀코르 MGL (Milkor MGL) | - | 200 / 1.1 | 220 | - | 16 |
유탄 발사기. 1.6.9패치 이후 알파 벙커 1층에 있는 스페셜리스트 NPC에게 군번줄이나 견장, 군용 수첩 등을 건네주면서 레벨을 최대치까지 올리면 얻을 수 있다. 다른 원거리 무기와 달리 이 무기는 허공에 대고 쏴도 내구도 소모가 일어나며, 자신에게 가까이에 있는 적에게 쏠 경우 스플래쉬 데미지를 입는다. 기본 데미지는 200이며 방어력에 따라 감소한다. 수류탄의 상위호환용 총. 수류탄은 타겟에 던질 때 타겟이 움직이면 무용지물이 되는데, 이것은 움직이는 목표에 락온 된 상태로 쏜다. 게다가 폭파범위를 미리 보여주기 때문에 안전 거리를 정확히 알 수 있다. | |||||
수류탄 (Grenade) | - | 200 | - | - | - |
투척무기. 주무기 슬롯엔 넣을 수 없고 주머니에만 넣을 수 있다. 1회 클릭한 뒤 보조무기 슬롯을 당겨 투척 방향을 정한다. 땅에 떨어진 후 3초 후 폭발, 200의 스플래쉬 대미지를 입한다. 농장 지대에서 종종 멀리 있는 좀비에게 던졌는데 투척 데미지 3을 입어서(...) 좀비가 인식해서 달려오는 경우가 있다. 던질 때 대상이 움직이면 아무런 피해를 못 줘서 기습할 때 외엔 쓰기가 힘든 무기. | |||||
작살 (Harpoon) | - | 60 / 0.9 | 54 | - | 32 |
시즌 이벤트 보상으로만 볼 수 있는 무기이다. 발당 피해는 밀코르나 수류탄 같은 폭발 무기를 빼면 일반 총기 중에서는 제일 최강이다. | |||||
이퀄라이저 (The Equalizer) | - | 15 / 8.3 | 124.5 | - | 170 |
최초의 기본 공격에 방어력 무시 효과가 달린 소총. 데미지는 AK-47 상위호환, FN-SCAR 하위 호환 정도에 안정성은 무 개조 AK-47보다 약간 나은 정도. 제네시스 상단의 호감도 보상으로 얻거나 크레인을 통해 얻는 바다에 가라앉은 상자에서 가끔 등장한다. 일단 15라는 높은 데미지에 방어력 무시 효과라는 사기적인 효과가 있어 무기 자체는 매우 강력한 성능을 발휘한다. 하지만 썩은 요켈같은 방어력이 낮은 적 상대로는 내구도가 아깝고,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원거리 무기가 개조가 되어 강력해지기 때문에 후반에는 덩치 좀비나 방어력이 높은 보스몹들 위주로 상대하는 게 좋다. AK-47을 풀개조했다면 덩치를 잡지 않는 이상 관짝행 무기가 되는 셈. 당연히 풀개조 FN스카한테는 발끝도 못 미친다. 이 총은 치명타가 안 터지기도 하고 안정성도 압도적으로 딸리기 때문. |
4.4. 무기 개조
5. 의류(Armor) 및 가방(Backpack)
의류를 착용하면 방어력이 대폭 증가하고, 신발의 경우는 착용 시 이동속도와 방어력이 증가한다. 세트 단위로 설명해 놨지만, 특정 세트를 제외하면 일반적으로는 세트를 모두 착용한다고 해서 딱히 세트 효과가 나타난다거나 하지는 않는다. 후술할 복장들 중에 직접 만들 가치가 있는 건 초반에 필요한 1급 세트 정도이며, 나머지는 다른 곳에서 보급을 받거나 AI 내지는 습격자가 입고 있던 것을 뺏어다 쓰는 것이 더 좋다. 예외로 후술할 강화 세트의 경우 상대적으로 재료 소모가 지나치게 심하지 않으면서 같은 등급의 방어구를 조금 더 좋은 상태로 오랫동안 쓸 수 있게 하기 때문에 제작법을 배워서 만드는 것도 나쁘지 않다.
참고로 내구도 수치는 정확하게 값이 나온 것이 아니므로 참고만 하자. 또한 이 내구도 수치는 누적 피해량이 아닌, '''피격 횟수'''의 영향을 받는다. 즉 100에 달하는 피해량을 한 번 받는 것보다 10의 피해량을 10번 받는 게 의류 내구도를 더 깎는다는 뜻이다.
또한 초반부 복장 세트의 경우 추가 자원을 덧대서 강화판으로 만들 수 있는데, '''강화판으로 만들 경우 내구도가 초기화된다.''' 이 때문에 복장 하나를 실피 수준까지 내구도를 남겨 놨다가 이후에 강화판으로 만들어 쓰는 걸로 의류 하나를 정말 오래 쓸 수 있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서 상당히 많은 양의 접착제를 소모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대책은 잘 세워 두는 게 좋다.
아이템 이름 | 필요 재료 | 방어 수치 | 내구도 | 요구 레벨 및 포인트 | 세트 모습 | |
맨 몸 | - | 이동 속도 39 | ∞ | - | ||
기본 세트 | ||||||
[image] 아빠 모자 (Dad hat) | [image] × 2 + [image] | 방어력 2 | 100 | 10레벨 각 1 포인트 | ||
[image] 셔츠 (Shirt) | [image] × 3 + [image] × 3 | 방어력 3 | ||||
[image] 카고 바지 (Cargo Pants) | [image] × 3 + [image] × 3 + [image] × 2 | 방어력 3 | ||||
[image] 운동화 (Sneakers) | [image] × 2 + [image] + [image] × 2 | 이동 속도 41 | ||||
일상복에 가까운 복장. 초반에 만들 수 있다면 제법 유용하며, 된다면 파밍 지역에서 이걸 입고 나오는 AI를 쓰러뜨려서 뺏는 것도 좋지만 대개 이걸 입고 나오는 AI는 위험도 초록색이나 노란색 지역에서나 나오며 그 수도 적은 편이다. 중반에 가서도 위험도 노란색 지역까지는 어떻게든 쓸 수 있으며, 여차하면 후술할 강화형의 재료로 쓰는 것도 좋지만 초반이 아닌 이상 대개 가죽이나 접착제 낭비라는 게 주된 평. 북방에 있는 상설 참나무 지역에 갈 때에는 이걸 입지 말 것. 참나무 지역의 추위는 이 복장 세트로는 견딜 수 없다. | ||||||
강화형 기본 세트 | ||||||
[image] 강화 셔츠 (Reinforced Shirt) | [image] + [image] × 5 + [image] × 3 + [image] × 4 | 방어력 5 | 150 | 16레벨 각 1 포인트 | ||
강화 바지 (Reinforced Pants) | [image] + [image] × 5 + [image] × 3 + [image] × 4 | 방어력 4 | ||||
[image] 강화 운동화 (Reinforced Sneakers) | [image] + [image] × 2 + [image] × 2 + [image] × 2 | 방어력 1 이동 속도 41 | ||||
전술한 일상복에 가죽을 덧대 강화한 버전의 의상. 습격자들의 복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아빠 모자는 강화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3개 아이템만으로 풀 세트가 이루어지며 이 때문에 습격자들은 후술할 강화 비니를 머리 보호 목적으로 대신 사용한다. 참고로 강화판이라지만 결국 베이스가 기본 세트이다 보니 이 세트를 입고 가는 걸로는 참나무 지역의 추위를 막을 수 없다. | ||||||
일반 세트 | ||||||
[image] 비니 (Beanie) | [image] × 3 + [image] × 5 + [image] × 5 | 방어력 3 | 100 | 22레벨 비니, 워커 - 1 포인트 재킷, 청바지 - 2 포인트 | ||
[image] 두꺼운 재킷 (Thick Jacket) | [image] × 5 + [image] × 7 + [image] × 5 | 방어력 6 | ||||
[image] 데님 청바지 (Denim Jeans) | [image] × 5 + [image] × 7 + [image] × 5 | 방어력 5 | ||||
[image] 워커 (Work Boots) | [image] + [image] × 7 + [image] × 8 | 방어력 2 이동 속도 42 | ||||
알파 벙커에서 배급 상자를 열면 얻을 수 있는 복장이다. 습격자들의 복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똑같은 일상복이지만 여기서부터는 본격적으로 방어력이나 이동속도 면에서 좀 쓸만해진다. 달려오는 좀비들과 거의 비슷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도망치기 쉬워지며, 위험도 붉은색 지역에서도 어떻게든 선전할 수 있다. 또한 이 복장 세트부터는 참나무 숲 같이 추위가 약간 문제 될 수 있는 지역에서도 문제 없이 행동할 수 있다. 후술할 강화형으로 쓸 수도 있다. | ||||||
강화형 일반 세트 | ||||||
강화 비니 (Reinforced Beanie) | [image] + [image] + 못 1개 + [image] + [image] × 3 | 방어력 4 | 180 | 32레벨 각 1포인트 | ||
강화 재킷 (Reinforced Jacket) | [image] + [image] × 2 + 못 2개 + [image] × 3 + [image] × 5 | 방어력 7 | ||||
강화 청바지 (Reinforced Jeans) | [image] + [image] × 2 + 못 2개 + [image] × 2 + [image] × 5 | 방어력 6 | ||||
강화 부츠 (Reinforced Boots) | [image] + [image] + 못 1개 + [image] × 2 | 방어력 3 이동 속도 42 | ||||
일상 의류에 철 판을 덧대 강화한 버전의 의상. 습격자들의 복장 중 하나이기도 하다. 이 의상 세트는 외관 상으로 봤을 때 정말 살벌한 편인데, 강화 비니는 용접 작업을 할 때 쓰는 커버처럼 생겼으면서도 눈 부분만 뚫려 있고 피 비슷한 게 묻어 있으며, 강화 재킷은 외부에 가시 비슷한 게 돋쳐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 ||||||
전술 세트 | ||||||
전술 모자 (Tactical Cap) | [image] × 9 + [image] × 7 | 방어력 5 | 150 | 40레벨 방탄복 2 포인트 나머지 1 포인트 | ||
전술 방탄복 (Tactical Body Armor) | [image] × 10 + [image] × 8 + [image] × 4 | 방어력 8 | ||||
전술 바지 (Tactical Trousers) | [image] × 10 + [image] × 7 + [image] × 4 | 방어력 7 | ||||
전술 군화 (Tactical Boots) | [image] × 8 + [image] × 7 + [image] × 5 + [image] × 2 | 방어력 4 이동 속도 43 | ||||
알파 벙커에서 생존 상자나 전투 상자를 열면 이 복장 세트를 얻을 수 있으며, 파괴된 호송차 이벤트에서 쓰러져 있는 군인이 입고 있는 복장을 뺏어서 쓸 수도 있다. 알파 벙커나 위험도가 높은 지역을 들어갈 때 필수적인 복장이다. 후술할 SWAT이 얻기 힘든 복장인 것에 비해 전술 세트는 상대적으로 얻기 쉽고, 굳이 만든다 하더라도 재료 면에서 크게 부담이 가지 않는 편이라 고위험도 지역에 들어갈 때 입는 복장 중에서도 표준 복장에 해당한다. 참고로 전술한 호송차 이벤트 등으로 전술 복장을 계속 모으다 보면 전술 모자나 바지, 신발은 계속 쌓이는 반면에 전술 방탄복이 다른 복장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잘 나오지 않을 것이다. 요구 자원이 그렇게 심하게 많은 건 아니므로 필요하다면 제작법을 배워서 직접 만드는 것도 크게 나쁘지는 않다. | ||||||
보온 세트 | ||||||
털 비니 (Fur Beanie) | [image] × 10 + [image] × 12 + [image] × 5 + [image] × 5 + [image] × 4 | 방어력 4 | 150 | 46레벨 각 1 포인트 | ||
털 재킷 (Fur Jacket) | [image] × 15 + [image] × 20 + [image] × 15 + [image] × 20 + [image] × 6 | 방어력 5 | ||||
털 바지 (Fur Trousers) | [image] × 12 + [image] × 15 + [image] × 12 + [image] × 15 + [image] × 6 | 방어력 5 | ||||
털 부츠 (Fur Boots) | [image] × 8 + [image] × 12 + [image] × 5 + [image] × 8 + [image] × 3 | 방어력 2 이동 속도 42 | ||||
북방 설원 지역의 추위를 막아 주는 복장이다. 소모 자원, 특히 위험도 노란색 지역 이상에서만 나오는 여우를 잡아야 얻을 수 있는 털을 대량으로 요구하는데다, 다른 복장들과 달리 다른 생존자에게서 루팅하거나 여타 다른 지역의 보관함 같은 데에서 나오지 않거나, 나오더라도 정말 드문 확률로 나오기 때문에 사실상 직접 만들 수밖에 없는 복장이다. 북방 설원 지역에 가려면 반드시 이 복장을 세트로 착용해야 하며, 이게 없을 경우 냉동 상태이상에 걸려 아무것도 제대로 할 수 없게 된다. 참고로 이 보온 복장은 풀 세트로 입으면 4층의 냉동고에서도 멀쩡히 멍 때려도 전혀 냉동 상태이상에 걸리지 않는다. | ||||||
SWAT 세트 | ||||||
SWAT 헬멧 (SWAT Helmet) | [image] × 15 + [image] × 10 + [image] | 방어력 7 | 150 | 헬멧 - 52레벨 나머지 - 58레벨 2 포인트 | ||
SWAT 방탄복 (SWAT Body Armor) | [image] × 20 + [image] × 15 + [image] × 2 | 방어력 10 | ||||
SWAT 바지 (SWAT Trousers) | [image] × 20 + [image] × 15 + [image] × 2 | 방어력 10 | ||||
SWAT 군화 (SWAT Boots) | [image] × 10 + [image] × 5 + [image] | 방어력 5 이동 속도 44 | ||||
알파 벙커에서 전투 상자를 열면 이 복장 세트를 얻을 수 있을 때가 있으며,[5] 시즌 7 전까지는 전투 상자에 SWAT 복장 세트 하나, 전술 복장 세트 하나가 반드시 들어 있었다. 시즌 8부터 전술 복장 세트가 둘 있는 경우가 생겼다. | ||||||
케블라 세트 | ||||||
[image] 케블라 헬멧 (Kevlar Helmet) | 티타늄 주괴 × 15 + [image] × 8 + [image] × 5 + [image] × 2 + 유리 × 2 + [image] × 5 | 방어력 8 | ?? | 76레벨 각 2 포인트 | [image] | |
[image] 케블라 방탄복 (Kevlar Body Armor) | 티타늄 주괴 × 15 + [image] × 10 + [image] × 7 [image] × 15 + [image] × 8 + [image] × 5 | 방어력 12 | ||||
[image] 케블라 바지 (Kevlar Trousers) | 18 + [image] × 10 + [image] × 7 [image] × 10 + [image] × 5 + [image] × 3 | 방어력 12 | ||||
[image] 케블라 군화 (Kevlar Boots) | 티타늄 주괴 × 14 + [image] × 10 + [image] × 5 [image] × 5 + [image] × 10 + [image] × 3 | 방어력 6 이동 속도 44 | ||||
과거에는 시즌 보상, 그것도 유료인 프리미엄 패스를 한 사람들 중 주어진 태스크를 충실하게 달성한 사람들만 얻을 수 있었다. 이후 1.17.6 버전에서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직접 플레이어가 만들 수 있게 되었다. | ||||||
CBRN 전투 갑옷 세트 | ||||||
[image] CBRN 전투 헬멧 (CBRN Combat Helmet) | ?? | 방어력 7 방사능 차폐율 4 | ?? | ?? | [image] | |
''' ''"전투 상황에서 빠르게 누적될 방사능으로부터 보호하는 튼튼한 헬멧입니다. 내장된 방독면을 가지고 있습니다."'' ''' | ||||||
[image] CBRN 전투복 (CBRN Combat Armor) | ?? | 방어력 10 방사능 차폐율 4 | ||||
''' ''"전투 중 든든한 보호를 제공하며, 급격한 방사능 누적을 막습니다."'' ''' | ||||||
[image] CBRN 전투 바지 (CBRN Combat Pants) | ?? | 방어력 10 방사능 차폐율 4 | ||||
''' ''"강화된 방호력과 급격한 방사능 누적을 막아주는 납 중간층 있는 바지입니다."'' ''' | ||||||
[image] CBRN 전투 군화 (CBRN Combat Boots) | ?? | 방어력 5 방사능 차폐율 4 이동 속도 44 | ||||
''' ''"급격한 방사능 누적을 막으며 전투 중 이동을 용의하게 하는 튼튼한 부츠입니다."'' ''' | ||||||
현재 제작 불가능한 갑옷 세트. 케블라와는 다르게 설계도조차 없다. 시즌 4때부터 나왔으며, 유료 프리미엄 패스의 거의 최종 레벨에서 얻을 수 있다. | ||||||
위험 물질 방호 세트 | ||||||
위험 물질 방호 헬멧 Hazmat Helmet | 납판 × 10 + 고무 × 10 + [image] × 5 + [image] + [image] | 방어력 2 방사능 보호도 4 | ?? | 130레벨 헬멧, 신발 - 1 포인트 재킷, 바지 - 2 포인트 | ||
위험 물질 방호 재킷 Hazmat Jacket | 납판 × 10 + 고무 × 12 + [image] × 5 + [image] × 5 + [image] × 2 | 방어력 4 방사능 보호도 4 | ||||
위험 물질 방호 바지 Hazmat Pants | 납판 × 10 + 고무 × 10 + [image] × 5 + [image] × 3 + [image] × 2 | 방어력 3 방사능 보호도 4 | ||||
위험 물질 방호 신발 Hazmat Shoes | 납판 × 8 + 고무 × 10 + [image] × 5 + [image] × 5 + [image] | 방어력 1 방사능 보호도 4 이동 속도 40 | ||||
베타 1.15 업데이트로 직접 만들 수 있게 된 복장 세트. 복장 자체의 방어도나 이동 속도 증진은 요구 레벨대 및 자원에 비해 정말 시원찮지만 대신 '''방사능 보호도'''가 있다는 것이 제일 큰 특징이다. | ||||||
특공 세트 | ||||||
특공 헬멧 (Assault Helmet) | [image] × 20 + [image] × 5 + [image] × 8 + 유리 × 4 + [image] × 8 | 방어력 14 | ?? | 160레벨 각 2 포인트 | ||
특공 방탄복 (Assault Body Armor) | [image] × 20 + [image] × 7 + [image] × 18 + [image] × 10 + [image] × 8 | 방어력 20 | ||||
특공 바지 (Assault Trousers) | [image] × 20 + [image] × 7 + [image] × 12 + [image] × 8 + [image] × 5 | 방어력 20 | ||||
특공 군화 (Assault Boots) | [image] × 18 + [image] × 5 + [image] × 8 + [image] × 12 + [image] × 5 | 이동 속도 47 | ||||
티타늄 주괴가 구현되지 않아 제작할 수 없으며 특공 복장 자체도 미구현 상태이다. 정작 티타늄이 구현되자 미구현된 특공 복장의 경우 케블라와 비슷한 제조법에 금속만 텅스텐 주괴를 요구하도록 바뀐 상태. |
아이콘 | 아이템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필요 재료 |
| 기본 가방 (Basic Backpack) | 레벨 3 1 포인트 | [image] × 2 + [image] × 3 |
장착 시 소지품 5칸이 추가되어 총 15칸의 슬롯을 이용할 수 있다. 오토바이 완성 시에도 4개가 필요하다. | |||
| 군용 가방 (Military Backpack) | 레벨 64 2 포인트 | [image] × 10 + [image] × 2 + [image] × 15 |
1.6 버전에 구현되었다. 소지품 10칸이 추가되어 총 20칸의 슬롯을 이용할 수 있다. 재료로 강철 판이 들어가는 만큼 이걸 가지고 있는 상태에서는 죽지 않게 조심해야 한다. | |||
| 전술 가방 (Tactical Backpack) | 레벨 140 2 포인트 | [image] × 20 + + [image] × 10 [image] × 15 + [image] × 3 |
텅스텐 주괴가 미구현 상태라 제작은 불가능하지만 전술 가방 자체는 구현되어 있으며, 시즌 이벤트 보상, 서바이벌 가이드 완수 내지는 주유소 내에 있는 병뚜껑 슬롯머신 등을 통해 얻을 수 있다. 가방의 끝판왕으로 장착 시 소지품 15칸이 추가되어 총 25칸의 슬롯이라는 어마어마한 양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군용 가방은 죽어 잃어도 어찌저찌 다시 제작이라도 할 수 있지 이것은 한 번 잃어버리면 거의 구할 수가 없기 때문에 진짜 목숨 걸고 사수해야 한다. |
레벨 | 아이템 이름 | 필요 포인트 | 필요 재료 | 방어력 | 내구도 |
X | 방독면 (Gas Mask) | X | X | 0 | ?? |
알파 벙커 내에서 낮은 내구도 상태로 얻거나 알파 벙커의 전투 상자에서 풀 내구도 상태로 얻을 수 있으며, 오토바이 휴게소 이벤트를 통해서도 얻을 수 있다. 알파 벙커 지하 3층에는 독성 가스가 꽉 차 있는 가스실이 있는데, 방독면 없이 가스실에 들어가면 플레이어의 체력이 빠른 속도로 줄어들기 때문에 해당 구역에 들어서기 전에 방독면을 머리 부분에 착용하고 들어가야 한다. '''가스실에 있는 동안에는 지속적으로 방독면의 내구도가 줄어든다.''' 이 속도가 장난이 아니라서 가장 느린 맨발로 문 따자마자 바로 두 락커를 먹고 나올 시점이면 이미 파괴될 수준. 전술 군화를 신고 갔다와도 빨피다. 때문에 해당 구역에 들어갔을 때 '''절대''' 시간을 지체하면 안 된다. |
구분 | 레벨 | 아이템 이름 | 필요 포인트 | 필요 재료 | 방어력 | 이동속도 | 내구도 |
수영 | X | 물안경/스노콜 | - | - | | - | ?? |
메리아스 | - | - | - | ||||
반바지 | - | - | - | ||||
오리발 | - | - | 37 | ||||
- | '''합계''' | - | - | 2 | 37 |
6. 가구(Furniture)
인게임 내 플레이어의 기지 내에 직접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가구 및 시설을 설명하는 단락. 기지에 있을 때 화면 오른쪽에 있는 망치와 톱 버튼을 누르면 건설 모드로 진입하며, 이 상태에서는 플레이어 본인이 아이템의 형태로 가지고 있는 가구를 기지 내에 설치하거나, 설치된 가구의 위치 및 배치 방향을 다시 조정하거나, 아니면 이미 설치된 가구를 아이템의 형태로 회수할 수도 있다. 건설 모드 상태에서 아래쪽에 있는 탭을 누르면 바닥재나 벽을 설치하거나, 설치된 바닥재나 벽을 업그레이드 및 회수할 수 있다.
기지 내에 설치할 수 있는 가구 및 시설의 경우 설치에 일정 크기의 공간이 필요하며, 또한 Lv.1 바닥이 없어도 그냥 맨 땅에 설치할 수 있는 일부 시설이 있는 반면 상당수의 시설들은 모두 바닥재가 설치되어 있어야 설치할 수 있다. 당연히 상위 시설로 올라갈 수록 요구되는 바닥재의 레벨도 올라가므로, 가구 및 시설을 설치하기 전에 해당 시설이 요구하는 바닥재 및 공간의 조건을 다 충족했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부분의 시설은 설치 과정에서 해당 시설의 배치 방향을 90˚ 각도 단위로 바꿀 수 있으나, 일부 시설은 배치할 수 있는 방향에 제한이 있으며, 아예 설치 및 재배치 과정에서 배치 방향을 바꿀 수 없는 경우도 일부 있다. 후술할 완성 단계가 요구되는 가구들에서 종종 이런 제한이 걸린 걸 볼 수 있다.
참고로 물품 제조 및 가공 시설의 경우 버그가 있거나 별도의 제한이 걸린 게 아닌 이상 일반적으로는 2대까지 설치할 수 있다.
일부 가구의 경우 단순히 재료를 써서 만들고 설치하는 선에서 끝나지 않고, 그 설치된 가구에 추가로 더 재료를 소모해서 해당 가구를 완성하는 과정을 요구할 때도 있다. 후술할 가구들 중 준비 단계와 완성 단계가 나눠진 가구들의 경우가 그러하며, 준비 단계는 인게임 내 아이템 제작 창에서 가구 아이템을 만드는 단계를, 완성 단계는 준비 단계에서 만들어진 가구가 기지 내에 설치된 상태에서 해당 가구에 추가로 재료를 소모해서 완성시키는 단계를 뜻한다. 완성 단계에서 모든 재료가 다 충족되면 UI 아래쪽에 있는 '완성(Finalize)' 버튼이 활성화되는데, 그 버튼까지 누르면 비로소 해당 가구를 정상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대개 이런 가구들은 크기가 커서 땅을 많이 요구하고, 기지 내에 하나밖에 설치할 수 없으며, 무엇보다 한 번 설치된 시설을 아이템의 형태로 회수할 수 없다는 특징이 있다.
게임을 맨 처음 시작할 때 모닥불과 고기 건조대, 민간 통신 장치, 총포 제작 작업대, 오토바이 제작대가 하나씩 주어진다. 가구 제작에는 재료 외에도 일정 수치 이상의 레벨이 요구되기도 하는데 후술할 가구들은 레벨 단위로 나눠서 분류했다.
3레벨 이상 | |||||
아이템 이름 | 요구 포인트 | 필요 재료 | 필요 공간 | 설치 조건 | |
모닥불 (Campfire) | 1 | [image] × 5 + [image] × 5 + [image] × 1 | 1 × 1 | 공터 및 바닥 2개 | |
연료를 소모하여 날재료를 굽거나 상위 연료를 제작하는 데 쓰인다. 날고기 1개 → 육즙 가득한 스테이크 (2분) 당근 1개 → 당근 스튜 1개 (2분) 열매 3개 → 열매 차 1개 (2분) 날 칠면조 고기 1개 → 구운 칠면조 고기 1개(40분) 소나무 통나무 1개 → 석탄 1개 (4분) 소나무 판자 1개 → 석탄 2개 (4분) | |||||
텃밭 (Garden Bed) | 2 | [image] × 5 + [image] × 1 | 2 × 2 | 공터 전용 2개 | |
씨앗을 당근으로 재배하는 데 쓰인다. 씨앗 1개 → 당근 2개(1시간) | |||||
목공 작업대 (Woodworking Bench) | 1 | [image] × 10 + [image] × 5 | 1 × 1 | Lv.1 이상 바닥 2개 | |
통나무 계열을 가공하여 판자 계열의 아이템을 만드는 데 쓰인다. [image] → [image] (4분) [image] × 3 → [image] (20분) | |||||
샤워실 (Shower) | 1 | [image] × 10 + [image] + [image] × 3 | 1 × 1 | 공터 전용 2개 | |
최대 2개를 배치할 수 있지만 하나만 있어도 크게 상관은 없다. 샤워를 통해 오염을 제거하는 데 쓰인다. [image] × 2 + 5초 → [image] × 2 + 청결도 최대치 복구 | |||||
6레벨 이상 | |||||
용광로 (Melting Furnace) | 2 | [image] × 10 + [image] × 5 | 1 × 1 | 공터 및 바닥 2개 | |
연료를 소모하여 금속 광석 종류를 가공하여 주괴로 만드는 데 쓰인다. [image] × 2 → [image] (4분) [image] × 4 → [image] (4분) [image] × 2 → [image] (30분) 보크사이트 4개 → [image] (60분) [image] × 5 → [image] (60분) 석영 4개 → 유리 (30분) | |||||
민간 통신 장치 (CB Radio) 준비 단계 | 1 | [image] × 3 + [image] × 5 + 전선 1개 | 1 × 1 | Lv.1 바닥 1개 | |
민간 통신 장치 (CB Radio) 완성 단계 | [image] × 5 + 트랜지스터 5개 + [image] × 5 + [image] × 2 | ||||
준비 단계와 완성 단계가 따로 나뉜 아이템 중 하나이지만 게임 처음 시작 시에 이미 준비된 게 하나가 있기 때문에 완성은 직접 해야 할 지언정 굳이 새로운 것 하나를 만들 필요는 없다. 알파 벙커의 코드 확인, 일정 확률로 나오는 상인과의 거래 내용 확인 후 상인을 월드 맵에 소환, 습격자들과의 협력 하에 24시간 동안 다른 유저의 기지 털이 내용 등을 확인할 수 있다.[6] 기지를 털 경우 다른 유저도 당신의 기지를 털 수 있다는 점에 유의. | |||||
빗물받이 (Rain Catcher) | 1 | [image] × 10 + [image] × 3 + [image] × 2 | 1 × 1 | 공터 전용 2개 | |
최대 2개를 배치할 수 있지만 하나만 있어도 크게 상관은 없다. 빈 병에 물을 받아 물병을 만드는 데 쓰인다. 식수 보급에 매우 중요한 시설이므로 반드시 만들어야 한다. [image] + 10분 → [image] | |||||
10레벨 이상 | |||||
개 상자 (Dog Crate) 준비 단계 | 1 | [image] × 20 + [image] × 7 + [image] × 15 + [image] × 10 | 3 × 2 | 공터 전용 1개 설치 시 방향 전환 불가 | |
개 상자 (Dog Crate) 완성 단계 | 빈 깡통 5개 + [image] × 15 + [image] × 10 [image] × 20 + [image] × 15 + 작은 상자 2개 | ||||
애완견을 여기서 관리할 수 있다. 완성 시 기르고 있는 개를 관리하고, 먹이를 주고, 성견이 된 개를 교배할 수 있다. 먹이와 개의 마리수에 따라 유지 시간도 달라진다. 생고기 : 2.4시간/마리 칠면조 고기 : 12시간/마리 개 사료 : 24시간/마리 + 교배 시 높은 등급의 강아지를 얻을 확률 증가 | |||||
14레벨 이상 | |||||
석공 작업대 (Stonecutter's Table) | ? | [image] × 20 + [image] × 10 + [image] × 5 | 1 × 1 | Lv.1 바닥 2개 | |
석회석을 벽돌로 만드는 데 쓰인다. [image] × 2 → 벽돌 1개 (4분) | |||||
고기 건조대 (Meat Dryer) | 1 | [image] × 5 + [image] × 12 + [image] × 10 | 1 × 1 | 공터 전용 2개 시작 시 1개 제공 | |
날고기를 육포로 만드는 데 쓰인다. 육포가 스테이크에 비해 약간 더 고성능인데다 무엇보다 스테이크는 굽는 데 연료를 요구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날고기는 이 쪽이나 개 상자에 들어간다. 날고기 1개 → [image] (10분) | |||||
무두질 틀 (Tanning Rack) | 1 | [image] × 15 + [image] × 5 + [image] × 15 + [image] × 5 | 1 × 1 | 공터 전용 2개 | |
식물 섬유를 밧줄로 만들거나 생가죽을 가죽으로 만드는 데 쓰인다. [image] → [image] (4분) [image] → [image] (4분) | |||||
16레벨 이상 | |||||
차고 (Garage) | 1 | [image] × 15 + [image] × 10개 + 벽돌 20개 [image] × 12 + 고무 부품 8개 + [image] × 10 | 3 × 2 | 공터 전용 1개 설치 시 방향 전환 불가 | |
베타 1.10.3 때 등장한 시설. 오토바이가 쉽게 드나들 수 있도록 출구 주변에 설치하는 것이 권장된다. 오토바이 도색이나 수리를 할 수 있는 시설이며, 주유소나 경찰서 등에서 얻은 설계도를 이용해 만든 다른 오토바이들과 수제 오토바이 중 무엇을 쓸 지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 |||||
18레벨 이상 | |||||
현관 깔개 (Doormat) | 2 | [image] × 15 + [image] × 5 + [image] × 10 + [image] × 3 | 1 × 1 | 공터 전용 1개 | |
배치 후에 기지로 돌아오면 배치된 타일 위에서 스폰된다. 미설치 시에는 맵의 네 귀퉁이 중 한 곳으로 귀환한다. | |||||
재봉틀 (Sewing Table) | 2 | [image] × 20 + [image] × 15 + 고무 부품 5개 + [image] × 5 | 1 × 1 | Lv.2 바닥 2개 | |
식물 섬유로 천 조각을 만들거나 천 조각을 두꺼운 원단으로 만드는 데 쓰인다. 셋 다 그렇게 크게 드문 자원은 아니다 보니 자주 쓰이는 시설은 아니지만 천 조각이나 두꺼운 원단이나 특정 상황에서는 쓸 일이 많기 때문에 만들어 둬서 손해 볼 시설은 아니다. [image] × 2 → [image] (2분) [image] × 2 → [image] (2분) | |||||
28레벨 이상 | |||||
작업대 (Workbench) | 2 | [image] × 15개 + [image] × 10 + 벽돌 4개 + [image] × 4 | 1 × 1 | Lv.2 바닥 2개 | |
괴 종류를 판 계열의 아이템으로, 철 판을 못으로 제작하는 데 쓰인다. [image] → [image] (20분) [image] → 못 2개 (4분) 강철 주괴 1개 → [image] (90분) [image] × 2 → [image] (60분) | |||||
옷장 (Wardrobe) | 2 | [image] × 5 + [image] × 12 + [image] × 18 [image] × 2 + [image] × 12 + 못 10개 | 1 × 1 | Lv.1 바닥 1개 | |
기존에 아이템 창에 있는 캐릭터 외형, 성별, 이름 변경 기능이 이 가구로 옮겨져 왔다. | |||||
32레벨 이상 | |||||
재활용 도구 (Recycler) | 2 | [image] × 3 + [image] × 8 + [image] × 5 [image] + [image] × 20 + 고무 부품 10개 | 1 × 1 | Lv.2 바닥 1개 | |
필요 없는 아이템을 재료 아이템으로 재활용하는 데 쓰이는 도구. 재활용할 때마다 재활용 경험치가 쌓이고 레벨이 오르는데, 레벨이 오를 수록 물품을 얻을 확률이 약간씩 상승한다. 무기나 방어구의 내구도가 낮을 경우 낮을 수록 재활용 시 재료 물품을 얻을 확률이 낮아지지만 재활용 경험치 상승 폭에는 문제가 없으니 되도록이면 따로 모아두자. 중~후반 생산이 어려운 아이템을 소수 획득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되며, 총기 재활용 시 일정 확률로 해당 총기의 개조 부품 설계도를 주기 때문에 매우 유용하다. 해당 사이트에 가면 보다 상세한 설명을 볼 수 있다. | |||||
34레벨 이상 | |||||
총포 제작 작업대 (Gunsmith Bench) 준비 단계 | 1 | [image] × 15 + [image] × 15 + 고무 부품 10개 [image] × 5 + [image] × 20 | 2 × 2 | Lv.3 바닥 1개 시작 시 1개 제공 | |
총포 제작 작업대 (Gunsmith Bench) 완성 단계 | [image] × 20 + [image] × 10 + [image] × 15 고무 부품 8개 + 전선 12개 + 작은 상자 3개 | ||||
게임 시작 시에 이미 주어지는 시설이므로 민간 통신 장치처럼 완성은 해야 할 지언정 직접 만들 필요는 없다. 과거에는 총을 분해하여 총기 부품을 얻는 데 쓰이던 시설이었으나, 1.9 업데이트 이후로 그 역할은 이제 재활용 도구가 대신하게 되고 총포 제작 작업대는 무기 개조에 쓰이는 작업대가 되었다. 물론 꽁으로는 안 되고 개조 부품을 얻어야 하며, 그러려면 설계도가 필요하다. 총포 제작 작업대는 크게 2곳으로 나뉜다. 큰 탁자 쪽은 본격적인 개조 작업대이며, 여기서 개조할 무기를 선택하고 개조 부품을 골라 성능이나 외관 등을 확인하거나, 현재 개조 설정을 저장하거나 저장된 개조 설정을 무기에 불러올 수 있다. 탁자 오른쪽에 있는 작은 선반은 설계도 여부를 확인하고 부품 제작에 쓰이는 재료를 투입하는 부품 제작실이다. 여기서 부품을 만들어야 개조 작업대에서 부품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 |||||
의료용 탁자 (Medical Table) | 2 | [image] × 20 + [image] × 15 + 못 7개 [image] × 3 + [image] × 5 + [image] × 2 | 1 × 1 | Lv.2 바닥 2개 | |
열매를 증류시켜 알코올을 만들 때 쓰인다. [image] × 5 → [image] (10분) | |||||
발전기 (Electric Generator) 준비 단계 | 2 | [image] × 10 + [image] × 15 + [image] × 5 + 렌치 5개 | 1 × 1 | 공터 및 바닥 | |
발전기 (Electric Generator) 완성 단계 | [image] × 40 + [image] × 5 + [image] × 15 + 렌치 10개 [image] × 50 + 고무 부품 15개 + 볼 베어링 20개 [image] × 30 + 전선 25개 + [image] × 40 | ||||
1.6 때 구현되었다. 야외에서 연료로 작동하는 발전기의 모습을 하고 있다. 완성된 발전기를 가지고 감시탑으로 가서 설치하면 북서쪽 지역을, 브라보 벙커 내에 작동하지 않는 컴퓨터에 설치하면 브라보 벙커를 해금할 수 있다. 단 맨손으로는 들고 갈 수 없고, 오토바이에 실어서 운반해야 한다. | |||||
40레벨 이상 | |||||
산 세척기 (Acid Bath) 준비 단계 | 0 | [image] × 25 + [image] × 40 + [image] × 10 + 벽돌 20개 | 2 * 2 | Lv.3 바닥 1개 | |
산 세척기 (Acid Bath) 완성 단계 | [image] × 20 + 전선 50개 + 전자 회로 5개 + [image] × 15 [image] × 15 + [image] × 100 + [image] × 25 [image] × 25 + 고무 부품 30개 + 톱니 10개 | ||||
기본적으로는 리스트에 나와 있지 않는 설계도이며, 벙커 알파 지하 3층 내 최종 구역에 있는 설계도를 획득해야 리스트에 추가된다. 이벤트성 아이템을 제외하고는 배우는 데 있어 유일하게 포인트가 소모되지 않는 설계도이다. 감염된 숲 같은 곳에서 오토바이로 가져올 수 있는 감염된 상자를 정화하는 데 쓰인다. 감염된 상자 → 군용 상자 (60분)[7] 허나 세척된 상자의 내용물은 원래 좌표 상자보다 부실해진다. 예를 들어 SWAT 보호구 4개가 들어있지 않고 한개만 나온다. | |||||
46레벨 이상 | |||||
제련된 용광로 (Refined Melting Furnace) | 1 | [image] × 20 + 벽돌 20개 + [image] × 20 + [image] × 10 | 1 × 1 | 공터 및 바닥 1개 | |
강철, 티타늄, 텅스텐 주괴를 4개의 재료로 제작하는 데 쓰인다. 텅스텐 광석이 구현되지 않은 현재는 강철 주괴와 티타늄 주괴를 제작할 수 있다. [image] + [image] + [image] + [image] × 2 → 강철 주괴 1개 (1시간 30분) 티타늄 광석 × 3 + [image] + [image] × 2 + 모래 × 5 → 티타늄 주괴 1개 | |||||
52레벨 이상 | |||||
손 펌프 (Hand Pump) | 1 | 티타늄 주괴 × 15 [image] × 10 못 × 12 | 1 × 1 | 공터 전용 2개 | |
1.17.6 업데이트로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같이 구현된 시설. 빗물받이와 같이 빈 병에 물을 채우는 기능이 있지만, 개당 1시간씩 걸리는 빗물받이와 달리 손 펌프는 빈 병이 들어서는 대로 바로 물을 채운다. 설명만 듣고 보면 빗물받이의 업그레이드 버전이 따로 없고 실제로도 그렇지만, 문제는 티타늄 주괴는 엔드게임 컨텐츠라는 것. 손 펌프를 만들 때 즈음에는 물 걱정 같은 거 안 해도 될 수준이라 겨우 즉석 물병 만들기 기능 하나 때문에 이걸 만들어야 할 이유가 없다. | |||||
70레벨 이상 | |||||
압축 가공기 (Pressing Machine) | 2 | 볼 베어링 × 20 + [image] × 15 + [image] × 15 스프링 × 20 + 렌치 × 10 + 망치 × 10 | 1 × 1 | Lv.4 바닥 1개 | |
각종 고급 아이템을 만드는 데 필요한 시설. 자체 요구 재료량도 재료량이지만 4레벨 바닥재 위에만 설치할 수 있다는 것 때문에 만드는 거나 설치하는 거나 다 어렵기는 매한가지다. 납 × 3 + 1시간 → 납판 [image] × 15 + 20분 → 철 판[8] 자원 측면에서는 낭비가 심한 제조법이다. 고철 15개면 철 주괴를 3개를 만들고 3개가 남는 양이고, 철 주괴 3개를 전부 작업대에서 가공하면 철 판 3개가 나오기 때문이다. 고무 부품 × 20 + 1시간 → 고무 토탄 × 3 + 1시간 → 연탄 | |||||
무기 진열대 (Weapon Stand) | 1 | [image] × 10 + [image] × 15 + 전선 10개 볼 베어링 20개 + [image] × 4 + [image] × 12 | 1 × 1 | Lv.3 바닥 3개 | |
무기 4개를 진열해 놓을 수 있는 진열대이다. 무기를 넣어 놓으면 외관 상으로도 해당 무기가 진열되어 있게 되며, 넣어 놓은 무기가 개조되어 있을 경우 개조된 사양까지 그대로 다 보인다. 요구하는 재료가 상당히 많은 것에 비해 무기류로만 넣을 수 있는 게 한정되어 있고 이마저도 4개밖에 얹어 놓을 수 없다는 점이 좀 아쉬울 지 모르지만, 의외로 이런저런 활용이 가능하다. 간단하게 집 입구 바로 근처에 배치해서 필요한 무기를 곧바로 빼갈 수 있게 해 놓을 수도 있고, 이외에도 외관 상으로 무기가 보인다는 점을 이용해 개조는 화려하게 되어 있는데 내구도가 낮은 무기만 다 넣어 놓아서 약탈 온 사람들을 엿먹인다거나 하는 등의 활용도 가능하다. 무기 창 아래쪽에는 건전지를 넣을 수 있는 창이 있는데, 여기에 건전지를 투입하면 투입된 건전지를 소모하면서 일정 시간 동안 진열대 위쪽에서 빛이 나는 시각적 효과가 생긴다. 관상 목적 외에 별다른 효과는 없다. | |||||
94레벨 이상 | |||||
화학 작업대 (Chemistry Station) | 1 | [image] × 10 + [image] × 15 + 고무 10개 못 20개 + [image] × 25 + 산 3개 | 1 × 1 | '''Lv.4 바닥''' 1개 | |
꽤 오랫동안 미구현 상태였다가 베타 1.12.3부터 섹터 7 바깥 지역 한정으로 제작할 수 있게 되었고, 베타 1.15.1 업데이트로 본격적으로 인게임 내에 구현되어 플레이어가 직접 쓸 수 있는 시설이 되었다. 요구 레벨대에 비해 제작 조건부터 설치 조건까지 대단히 까다롭지만, 애초에 화학 작업대가 요구하는 주 재료인 황은 ATV가 있어야 갈 수 있는 지역에서 채취할 수 있고, ATV를 제작할 정도면 이미 기지 내 바닥재 중 상당수가 Lv.4 상태가 되어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그렇게 크게 조바심 내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제작 재료 중에 산이 있고 그 산을 제작할 수 있는 시설이 이 시설이라 모순점이 생길 것 같지만, 알파 벙커의 전투 장비 상자에서 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문제될 부분은 아니다. [image] × 10 + [image] × 10 + 1시간 → 산(Acid) 1개 [image] × 20 + [image] × 20 + 1시간 → [image] [image] × 5 + Spices 10개 + 1시간 → '''방사능 치료 알약''' |
6.1. 상자류
상자류는 공통적으로 1 × 1의 공간을 차지하고 기지 내에 종류를 불문하고 총 40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상자 내부에 물품이 있을 경우 아이템의 형태로 회수할 수 없다.
베타 1.11.6 업데이트로 상자의 업그레이드 방식이 바뀌었다. 일단 작은 상자를 만들어 바닥에 배치한 뒤, 해당 상자를 열고 UI의 오른쪽 위에 있는 업그레이드 버튼을 누른 뒤 자원을 소모해서 업그레이드하는 식이다. 이에 따라 상자와 트렁크에 필요한 포인트가 없어지고 약간의 재료 조정이 있었다. 상위 상자를 아이템의 형태로 회수할 필요가 있다면 내부의 물품을 다 비우고 건설 상태에서 회수하면 아이템 상태로 회수된다. 또한 상자 내부에 어떤 종류의 아이템 위주로 수납되어 있느냐에 따라 상자 뚜껑에 주로 보관된 아이템의 종류가 표시된다.
아이템 이름 | 필요 재료 | 설치 가능 장소 | 수납 가능 칸 수 |
작은 상자 (Small Box) | [image] × 3 + [image] × 5 | Lv.1 바닥 | 15 |
제작법을 배우기 위해서는 3레벨 이상에 포인트 1이 필요하다. | |||
상자 (Chest) | [image] × 10 + [image] × 5 + [image] × 5 | Lv.2 바닥 | 25 |
트렁크 (Trunk) | [image] × 15 + 강철 주괴 5개 + 못 15개 | Lv.3 바닥 | 45 |
틀 (Rack) | [image] × 15 + [image] × 20 + [image] × 30 | Lv.3 바닥 | 75 |
트렁크 2개를 2단 틀에 넣어 놓은 모습을 하고 있다. | |||
금고 (Safe) | + [image] × 5 + 볼 베어링 7개 + [image] × 5 | Lv.3 바닥 | 5 |
배우기 위해서는 88레벨 이상에 포인트 2가 필요하다. 얻을 수 없는 재료가 있어서 만들 수는 없지만 금고 자체는 뽑기로 획득 가능하다. 열려면 메탈 커터가 필요한데 메탈 커터가 미구현이라 사실상 제일 안전하다. |
6.2. 장식품
말 그대로 아무 기능이 없이 그냥 장식 목적으로만 쓰는 가구들이다. 하지만 생존이 중요한 이 게임에서 미관 같은 거 신경 쓸 겨를이 없다 보니 그냥 있는 둥 마는 둥 하는 정도의 존재감밖에 없다. 그래도 약탈시 길막용도로 배치하는 쓸모는 있다.
게임 처음 시작 시 실내 식물과 식탁, 아늑한 소파가 기본적으로 제공된다.
요구 레벨 | 아이템 이름 | 포인트 | 필요 재료 | 필요 공간 | 설치 조건 |
28 | 전등 (Floor Lamp) | 1 | [image] × 7 + [image] + [image] × 2 + [image] × 5 + 전선 3개 + [image] × 2 | 1 × 1 | Lv.1 바닥 10개 |
화분 (Houseplant) | 1 | [image] × 2 + [image] + [image] × 5 + 씨앗 10개 | 1 × 1 | Lv.1 바닥 15개 | |
40 | 식탁 (Dining Table) | 1 | [image] × 15개 + 못 15개 + 빈 깡통 5개 | 1 × 1 | Lv.2 바닥 3개 |
46 | 아늑한 소파 (Cosy Couch) | 1 | [image] × 20 + [image] × 15 + 못 10개 + [image] × 10 | 1 × 1 | Lv.2 바닥 4개 |
58 | 말구유 (Horse Feeder) | 1 | [image] × 5 + [image] × 4 + 못 4개 | 1 × 1 | 공터 전용 |
미니맵엔 스패너 모양으로 뜨는 걸 봐서는 기능이 있을 것처럼 보이지만 현재로서는 그냥 장식품이다. | |||||
편안한 침대 (Comfotable Bed) | 2 | [image] × 14 + [image] × 8개 + 못 10개 + [image] × 5 + [image] | 1 × 1 | Lv.2 바닥 3개 | |
70 | 타이어 화단 (Tire Flowerbed) | 1 | 트럭 바퀴 3개 + 토탄 20개 + [image] × 5 + 새싹 8개 + [image] × 30 + [image] × 15 | 1 × 1 | 공터 및 바닥 3개 |
82 | 가문비나무 (Spruce) | 1 | [image] × 5 + 트럭 바퀴 3개 + 녹색 페인트 10개 + 토탄 10개 + [image] × 10 + [image] × 20 | 1 × 1 | 공터 및 바닥 3개 |
110 | 옥외 화장실 (Outdoor toilet) | 2 | [image] × 20 + 토탄 25개 + [image] × 5 + 못 18개 + [image] × 20 | 2 × 1 | 1개 |
140 | 꽃 욕조 (Bath with flowers) | 2 | [image] × 20 + [image] × 25 + 토탄 10개 + 새싹 10개 + [image] × 15 + [image] × 5 | 1 × 1 | 공터 및 바닥 3개 |
150 | 장식 연못 (Decorative Pond) | 2 | [image] × 20 + [image] × 35 + 토탄 10개 + 새싹 10개 + 벽돌 15개 + [image] × 60 | 1 × 1 | 공터 및 바닥 3개 |
170 | 조각상 (Sculpture) | 2 | [image] × 20 + [image] × 10 + 벽돌 50개 + [image] × 15 + 납판 20개 + 망치 20개 | 1 × 1 | 공터 및 바닥 1개 |
7. 이동수단(Transport)
일반적으로 이동수단은 글로벌 맵 내 다른 지역으로 훨씬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하거나, 평소에는 진입할 수 없는 장소에 진입할 수 있도록 하는 편의 수단이다. 벙커나 다른 위험 장소를 몇 번이고 돌아야 겨우 부품을 다 모을 수 있을 정도로 만들기 힘들지만, 일단 완성한다면 대단히 유용하다.
모든 이동수단은 연료로 가솔린을 사용하기 때문에 가솔린을 충분히 비축해 놓아야 하는데, 이동수단들은 하나같이 구하기 힘든 가솔린을 엄청 빠르게 소모하기 때문에 완성됐다고 함부로 운전하고 다니면 순식간에 연료가 고갈된다. 연료가 없다 싶으면 어딘가에 이동할 때 추가 아이템 및 아이템 운반 목적으로 쓸 수 있는 수단 정도로만 생각하자.
아이템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필요 재료 (설치) | 설치 조건 | 필요 재료 (완성) |
개조 오토바이 (Chopper) | 레벨 14 1 포인트 시작 시 1개 제공 | [image] × 10 [image] × 5 [image] × 5 | 2 × 2 Lv.2 바닥 최대 1개 | [image] × 20 전선 20개 [image] × 2 고무 부품 20개 [image] × 30 기본 가방 4개 [image] [image] 볼 베어링 10개 [image] × 30 |
모든 LDOE 초보 유저들의 로망 중 하나. 게임 시작 시 플레이어의 기지 내에 하나가 설치되어 있으며 1개밖에 설치할 수 없기 때문에 추가로 만들 필요는 없다. 즉 이 문서 내에서는 완성에 필요한 재료만 보면 된다. 2~8칸의 아이템 슬롯을 가지고 있으며, 후방에 있는 짐칸에 폐차의 녹슨 엔진이나 발전기를 적재할 수 있다. 참나무나 설원 지역을 개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이동수단. 또한 오토바이 휴게소 이벤트는 오토바이가 있어야 이벤트 지역에 들어갈 수 있다. 한 번 만들어진 오토바이는 차고가 있을 경우 차고에 주차되어 있으며, 차고에서 오토바이 도색이나 세척, 수리 등을 할 수 있게 된다. 갓 만들어진 오토바이는 속도나 적재량 등에 있어서 좀 불편할 수 있으나, 오토바이는 작중에서 나오는 이동수단 중 유일하게 레벨업 및 업그레이드가 가능한 운송수단이며 업그레이드를 통해 이 부분을 상당수 해소할 수 있다. 주유소에 있는 NPC에게 이런저런 부품을 주다 보면 오토바이의 경험치가 쌓이게 되고, 경험치를 일정 수준 이상 쌓아서 레벨업이 이루어지면 플레이어가 레벨업 했을 때 스킬 고르듯 랜덤하게 주어진 기능 중 하나를 향상시킬 수 있다. 오토바이 레벨이 일정 수준 이상 되어야 들어갈 수 있는 지역도 있는 만큼, 후반에 들어서면 오토바이 레벨업도 많이 신경 써 주는 게 좋다. 만약 기다리는 게 싫다면 생존 가이드 프리미엄을 구매하고 8일 동안 가이드에서 요구하는 내용을 충실히 다 따라가면 금방 만들 수 있다. 마침 생존 가이드는 이 게임 내 과금 요소 중에서는 제일 가성비가 좋은 물건인 만큼, 굳이 돈을 쓰겠다면 나쁘지는 않은 선택. | ||||
모터보트 (Motorboat) | 항구 건물 1 포인트 | [image] × 5 [image] × 15 망치 × 3 [image] × 15 알루미늄 판 × 15 렌치 × 10 | 2 × 4 Lv.3 바닥 | 알루미늄 판 × 30 고무 × 50 전자 회로 × 5 [image] × 60 섬유 유리 × 20 [image] × 30 펌프 × 10 유리 × 40 보트 엔진 × 2 [image] × 20 |
베타 1.17.6 업데이트로 새로 생긴 이동 수단. 모래 채석장, 섬 감시탑, 죽음의 섬에 가기 위해 반드시 있어야 하는 이동 수단으로, 4칸의 아이템 슬롯이 있다. 설계도는 항구에 있는 건물의 철문 셔터에 있으며, 해당 셔터를 조사하면 셔터가 열리면서 모터보트의 제조법을 얻게 된다. 완성 시 제네시스 요원들과의 통신을 통해 별도의 수고를 들일 일 없이 항구에 자동으로 정박되고, 250의 연료가 모두 채워진 상태로 항구에 정박된다. 이후 항구의 크레인이 있는 곳에 가면 완성된 모터보트가 있고 이 모터보트를 타면 전술한 세 곳으로 갈 수 있게 된다. | ||||
ATV | 레벨 18 2 포인트 최대 1개 | [image] × 20 [image] × 25 전선 15개 [image] × 15 [image] × 10 | 3 × 3 Lv.3 바닥 | 고무 250개 [image] × 150 [image] × 16 [image] × 200 가스통 30개 ATV 변속기 10개 [image] × 200 자동차 배터리 60개 [image] × 200 톱니 200개 |
오랫동안 구현되지 않았다가 베타 1.15.0 버전에서 드디어 구현된 이동 수단. 다만 구현되면서 제작 조건이 기존과는 판을 달리 할 정도로 어려워졌다. 대부분의 재료들이 브라보 벙커 내에서 나오기 때문에 조심해야 한다. 완성하기는 정말 어렵지만 일단 완성되면 강을 건너갈 수 있어 강 건너에 있는 참나무 숲이나 감시탑, 늪지대에 갈 수가 있다. 완성된 ATV는 집 맨 아래쪽 주변에 위치해 있게 된다. |
8. 방어 시설(Trap & Turret)
예전에는 좀비 떼에만 신경쓰면 되기에 그다지 쓰이지는 않았으나, 1.7.9 버전 이후로 레이드 참여 시 설치의 필요성이 생긴다. 모든 방어 시설은 각각의 내구도와 공격력이 있다.
아이템 이름 | 제작법 습득 조건 | 필요 재료 | 설치 조건 | 내구도 | 공격력 |
가시 덫 (Spike Trap) | 레벨 18 2 포인트 | [image] × 10 + [image] × 10 + [image] × 2 | 1 × 1 공터 전용 최대 80개 | × | 10 |
좀비 떼와 침입자 방어용. 본인이 부딫혀도 체력이 깎이니 조심. 내구도 확인은 안 되지만, 좀비 떼의 공격을 받는 와중에 기지 방어를 제대로 안 했을 경우 나중에 돌아왔을 때 몇 개씩 부서져 있는 경우도 있다. 부서진 가시 덫을 회수하면 통나무 1~2개, 고철 1~2개를 회수할 수 있다. 최대 80개까지 설치할 수 있는데, 부서진 걸 회수할 때 밧줄이 하나도 회수되지 않는데다 밧줄 얻기가 나머지 둘에 비해 좀 더 어려워서 밧줄을 엄청난 속도로 소모하게 하는 원인이기도 하다. AI 기지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데, 손도끼로 2번 찍어 파괴할 수 있다. | |||||
인계선 덫 (Barbed Wire) | 레벨 32 2 포인트 | [image] × 5 + [image] × 2 + [image] × 10 | 1 × 1 공터 전용 최대 20개 | × | 10 / 초 |
좀비 떼와 침입자 방어용. 접촉하고 있으면 초당 10씩 피해를 받으며 플레이어도 피해를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좀비 떼의 공격을 받는 와중에 기지 방어를 제대로 안 했을 경우 부서져 있을 수 있다. | |||||
인계선 덫 (Trip Wire Trap) | 레벨 34 1 포인트 | [image] × 5 + [image] × 3 + 빈 깡통 10개 | 1 × 1 공터 전용 최대 1개 | ? | × |
좀비 떼와 침입자 방어용으로, 최대 1개만 설치할 수 있다. 침입자들이 이 함정을 밟았을 경우 알림이 오도록 설계가 되어 있다고 하는데, 사실 이건 그냥 좀비 떼가 왔을 때 플레이어의 폰에 알림을 넣는 정도밖에 없다. 가시 덫처럼 좀비 방어를 제대로 안 하면 파괴되어 참나무만 날려먹을 수 있다. 근처를 지나가면 "덜그렁" 소리가 난다. 사실 이 덫은 다른 유저들의 기지를 털 때 빛을 발한다. 인계선 덫을 건드리게 되면 소음이 늘어나서 좀비들이 더 빨리 플레이어를 쫓아오고, 이렇게 레이드에서 소환된 좀비들이 인계선 덫을 건드리면 소음이 또 늘어난다. 아차 하는 순간 덩치 좀비를 불러들이는 요소이므로 타인의 기지를 털러 갔는데 인계선 덫이 보인다면 조심하도록 하자. | |||||
포탑 - 준비 단계 (Turret) | 레벨 88 2 포인트 | 스프링 5개 고무 부품 15개 [image] × 20 포탑 부품 20개 [image] × 10 | 1×1 Lv. 3 바닥 최대 4개 | - | |
포탑 - 완성 단계 (Lv.1) | 스프링 5개 포탑 부품 20개 '''미니건 1개''' [image] × 20 렌치 10개 고무 부품 20개 전선 40개 [image] [image] × 5 [image] × 25 | ? | 20 | ||
포탑 - 업그레이드 (Lv.2) | 전선 40개 [image] × 5 [image] × 10 포탑 부품 40개 '''전자 회로 1개''' 스프링 20개 | Lv.1 터렛 + 300 | 30 | ||
포탑 - 업그레이드 Lv.3 | [image] × 3 '''전자 회로 3개''' 전선 40개 스프링 40개 포탑 부품 50개 강철 주괴 5개 | Lv.2 터렛 + 200 | 35 | ||
예전부터 벙커 알파 지하에서 적으로 등장했었지만[9] 이 부분에서는 상위 문서의 등장 생물(Enemy) 부분을 참고할 것 명심할 것은 포탑은 한 방향으로만(160도~180도) 볼 수 있고, 일단 감지된 존재는 어느 방향으로 도망치더라도 사거리 내에만 있으면 공격할 수 있지만 포탑에 지나치게 붙어 있는 적은 공격할 수 없다. 원래는 좀비들이 이미 죽어서 차가워진 시체라 열 감지 센서가 이들을 감지해 내지 못 하기 때문에 좀비에게 반응하지 않았으며 이는 게임 내 설명에도 나와 있지만, 이후 업데이트로 포탑도 좀비에게 반응, 떼 좀비를 공격할 수 있게 되었다. 공격 속도는 적으로 나오는 포탑에 비해서는 상대적으로 조금 느린 편이다. | |||||
지뢰 (Land Mine) | 레벨 110 2 포인트 | [image] × 4 + [image] × 3 폭발성 물질 3개 못 10개 스프링 3개 | ? | ? | ? |
베타 1.15.0 업데이트로 제작법이 바뀌고 모든 재료가 다 구현되면서 제작 가능한 방어용 물품이 되었다. 대신 요구 레벨이 76에서 110으로 크게 뛰어올랐다. |
9. 기타 아이템
아이템 이름 | 획득 방법 |
출입증 (CAC card) | 상자, 적(좀비) 처리 등 |
벙커를 출입할 때 사용된다. Common Access Card의 줄임말. A는 Alfa, B는 Bravo, C는 Charlie, D는 Delta, E는 Epsilon, F는 Foxtrot, R은 Romeo, Z는 Zulu 벙커에 쓰인다. 베타 1.17 기준으로 유효한 건 A밖에 없다. 브라보 벙커의 경우 기존에는 출입증이 필요했지만 1.15.0 업데이트 때 브라보 벙커가 구현되면서 입장 방식이 바뀌면서 카드 자체는 필요가 없어졌다. CAC 출입증을 재활용 도구로 재활용 시 높은 확률로 플라스틱을 얻을 수 있다. | |
도면 (Pattern 'COLOR') | 알파 벙커 쿠폰 상자 등 |
오토바이를 다시 도색 가능하게 만들어주는 재료. 선택하고 사용 시 차고에 해당 도면이 저장되며, 이후 차고에서 해당 도면이 요구하는 수만큼의 페인트를 소모해서 오토바이를 도색할 수 있다. | |
페인트 (Paint) | 보급 상자, 벙커 쿠폰 상자 등 |
페인트가 업데이트되면서 기존의 Spray Paint는 다 녹색 페인트(Green Paint)로 바뀌었다. 상자 색칠 및 오토바이 도색에 쓰인다. 색상은 하양, 빨강, 초록, 노랑, 파랑, 검정 등이 존재하며 이 중 하양은 대단히 희귀하다. | |
배급 쿠폰, 생존 쿠폰, 전투 장비 쿠폰 (Ration Coupon, Survival Coupon, Combat Gear Coupon) | 알파 벙커 내 좀비들 (보안 프로토콜 미적용 시 한정) |
알파 벙커 내 좀비들은 이름이나 외관은 일반 자원 지역의 좀비들과 비슷하나 본래 자원 지역 내 좀비들이 떨구는 밧줄이나 천 조각 같은 게 아니라 이 쿠폰들을 하나씩 떨군다. 반드시 어려운 좀비가 고위급 쿠폰을 떨군다는 보장은 없으나 대략 이렇게 떨군다고 생각하면 된다. 즉 잡기 어려운 놈일 수록 더 고위급 쿠폰이 나온다고 보면 된다. 다만 좀비들이 쿠폰을 떨어뜨리는 건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되지 않았을 때의 이야기이며,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될 경우 좀비들이 쿠폰이 아닌 후술할 다른 물품들을 떨군다. * 배급 쿠폰 : 떠돌이 좀비, 재빠른 이빨 좀비, 독침 좀비 * 생존 쿠폰 : 독침 좀비, 퉁퉁 좀비, 맹독 흉물, 감각이 없는 좀비 * 전투 장비 쿠폰 : 광분한 거인, 차가운 퉁퉁 좀비, 블라인드 원(10장) 실제로 플레이해 보면 배급 쿠폰은 얻기는 쉬운데 한 번에 쓰이는 양도 적어서 벙커를 돌다 보면 매일같이 쌓이고, 생존 쿠폰은 알파 벙커를 빠듯하게 돌면 보상 한 번 받을 정도의 양이 모이고, 전투 장비 쿠폰은 잘 나오지 않기 때문에 블라인드 원까지 잡더라도 벙커 폐쇄까지 20개 모으면 많이 모았다고 봐야 한다. 이 쿠폰들을 모아 알파 벙커 지하 1층에 있는 터미널에 제출하면 해당 쿠폰에 해당하는 상자가 주어진다. 배급 쿠폰은 20장, 생존 쿠폰은 25장, 전투 장비 쿠폰은 30장이 필요하며, 당연히 배급 상자보다는 생존 상자, 생존 상자보다는 전투 장비 상자에서 좋은 물품이 더 많이 나온다. | |
군번줄, 견장, 군용 수첩 (Identification Tags, Chevrons, Military Notebooks) | 알파 벙커 내 좀비들 (보안 프로토콜 적용 시 한정) |
보안 프로토콜이 적용된 알파 벙커 내 좀비들은 쿠폰이 아니라 위의 물품들을 떨군다. 이름을 보면 알겠지만 하나같이 군인스러운 물품들이다. 이 물품의 경우에도 위의 쿠폰과 비슷하게 하위급 좀비일 수록 군번줄 위주로 떨구고 상위급 좀비일 수록 견장이나 군용 수첩 위주로 떨구지만 확실한 정보는 아니다. 이 군인 물품들은 알파 벙커 지하 1층에 있는 스페셜리스트에게 제출하는 데 쓰인다. 제출할 때마다 명성 게이지가 쌓이는데, 명성 증가량은 군번줄 < 견장 < 군용 수첩 순으로 높아진다. 명성 게이지가 다 찰 때마다 스페셜리스트는 후술할 좌표 디스크를 주고, 이외에도 특정 레벨대의 명성에 도달하면 디스크 외의 다른 물품을 주기도 한다. | |
좌표가 표기된 디스크 (Floppy with coordinates) | 알파 벙커 내 스페셜리스트 |
전술한 보안 프로토콜 상태의 알파 벙커를 돌면서 얻을 수 있는 군번줄이나 견장, 군용 수첩을 스페셜리스트에게 제출해서 명성 게이지를 풀로 채우면 스페셜리스트가 준다. 이 디스크는 스페셜리스트 바로 옆에 있는 단말기에 제출할 수 있는데, 이 디스크를 단말기에 제출하고 글로벌 맵으로 나오면 12시간 동안 활성화되는 특수한 숲 지대가 나타난다. 이 숲 지대는 상당히 어려운 좀비들이 많은 대신 그 중앙 지점에 대단히 귀한 보상이 잔뜩 있는 상자 내지는 감염된 상자가 있는데 후자의 경우 오토바이가 있어야 상자를 플레이어의 기지까지 가져갈 수 있고, 또한 기지 내에 산 세척기라는 시설이 있어야 감염된 상자를 정화해서 안에 있는 보상을 얻을 수 있다. | |
쓰레기 (Trash) | 삭제된 물품 소지, AI의 집, 벙커나 주유소 쓰레기통 등 |
1.5 버전 이후 등장. 폐기된 아이템을 이것으로 일괄 수정한다. 아무짝에도 쓸모 없는 아이템이므로 그냥 폐기 처리해 버려도 무방하다. |
10. 삭제된 아이템 또는 이벤트성 아이템
삭제된 아이템들 | 설명 |
ATV 방수천 (ATV Tarpaulin) | ATV 제작 재료. 1.5.4 패치로 ATV 방수천 대신 두꺼운 천 250개를 요구하게 바뀌고 기존에 가지고 있거나 보관한 ATV 방수천은 쓰레기로 변해버렸다. |
오토바이 머플러 (Chopper Exhaust) | 과거에 존재했던 제작 재료. 지금은 가방 4개로 대체되었다. |
ATV 연료통 (ATV Gas Tank) | 각 지역에 놓여진 상자를 루팅하여 얻거나, 벙커에서 얻을 수 있다. ATV 제작 제료 중 가스통에 해당하며, ATV 제작 시 1개가 필요하다. 재활용 도구로 분해 시 낮은 확률로 알루미늄 주괴를 얻을 수 있다. 1.15.0 업데이트 이후 ATV 조립법이 완전히 바뀌면서 연료통이 쓸모가 없어졌다. |
신호 증폭기 (Signal Amplifier) | 각 지역에 있는 상자에서 희귀하게 등장한다. 1.9.2 업데이트로 무선탑 완성에 쓰인다. 1레벨 완성 및 2레벨에 1개씩, 3레벨에는 3개가 요구된다. 1.16.3 업데이트로 무선탑 시설이 삭제되면서 같이 삭제되었다. |
접시 안테나 (Dish Antenna) | 각 자원 지역 내 상자 등에서 매우 낮은 확률로 나온다. 과거에는 무선탑 제작에 필요하던 물건이었으나,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제작에 더 이상 안테나가 필요 없게 되면서 완전히 묻힌 아이템이다. 이후 1.16.3 버전에서 무선탑 시설이 삭제되면서 이 아이템도 같이 삭제되었다. |
- 업데이트에 따라 삭제된 시설
아이템 이름 | 포인트 | 필요 재료 | 필요 공간 | 설치 가능 장소 | |
| 1 | 강철 주괴 15개 참나무 판자 5개 [image] × 5 빈 깡통 10개 | ? | ? | |
베타 1.6 때 삭제된 시설. 46 레벨 이상의 레벨이 요구되었다. 이름만 놓고 보면 맥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시설로 여겨지지만, 일반 물과 비교했을 때 맥주는 디메리트가 지나치게 많아 굳이 만들 수 있다고 해도 만들 필요성이 없는 물품이다. 그렇게 의미 없는 물품을 만드는 시설 치고는 시설 제조에 필요한 재료가 지나치게 센 것도 굳이 만들 필요가 없는 이유 중 하나이다. | |||||
클랜 깃발 (Clan Banner) | 1 | [image] × 15 못 10개 | ? | ? | |
미구현. 28 레벨 이상의 레벨이 요구되었다. 재료 자체는 1.15에서 모두 얻을 수 있었으나 기능 자체는 없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아이템. 결국 1.16.3 때 삭제되었다. | |||||
무선탑 (Radio Tower) 준비 단계 | 2 | 소나무 판자 10개 전선 5개 철 주괴 5개 트랜지스터 3개 | 2 × 2 | 공터 전용 | |
무선탑 Lv.1 (Radio Tower) 완성 단계 | 건전지 5개 트랜지스터 5개 [image] × 10 전선 10개 | ||||
무선탑 Lv.2 (Radio Tower) 업그레이드 | 신호 증폭기 1개 건전지 10개 철 판 10개 트랜지스터 5개 렌치 3개 전선 10개 | ||||
무선탑 Lv.3 (Radio Tower) 업그레이드 | 신호 증폭기 3개 철 판 10개 트랜지스터 15개 전선 25개 전구 5개 렌치 10개 | ||||
1.9.2 업데이트에 구현됐다가 1.16.3 업데이트로 클랜 기능이 없어지고 전체적인 기능이 모두 기본 기능이 되면서 시설 자체가 없어졌다. 시설이 남아 있던 시절에는 각 레벨 당 요구 재료가 상당히 많았던 것이 지속적인 업데이트로 요구 재료가 많이 줄어들은 전적이 있다. Lv.1 : 친구 설정 및 비밀 메세지 가능 / Lv.2 : 클랜 검색 및 가입 가능 / Lv.3 : 클랜 생성 가능 | |||||
| X | X | 1 × 1 | Lv.1 바닥 | |
구매로만 획득 가능하던 상자였다. 45칸 수납할 수 있다. 상자 업데이트 이후 틀로 대체되면서 플레이어가 소지할 수 있는 군용 상자는 사라졌다. |
이벤트성 아이템. 현재는 없는 거나 마찬가지다. | ||
토양 (Christmas Tree Seedling) | 나무 벌목 시 일정 확률로 드랍. | 크리스마스 트리 제작 |
나무 장난감 (Wooden Toy) | 닉 산타 작업대에서 소나무 판자 1개, 밧줄 2개를 가공해서 획득할 수 있었다. | |
Handmade Jay Toy | 닉 산타 작업대에서 깡통 1개, 밧줄 2개를 가공하여 획득할 수 있었다. | |
크리스마스 종 (Bell) | 닉 산타 작업대에서 고철 2개, 천 조각 3개를 가공하여 획득할 수 있었다. | |
장식 라이트 (Lights) | 닉 산타 작업대에서 전선 3개, 전구 5개를 가공하여 획득할 수 있었다. |
- 이벤트 전용 시설. 현재는 제작할 수 없다.
레벨 | 아이템 이름 | 포인트 | 필요 재료 | 필요 공간 | 설치 가능 장소 |
| 크리스마스 트리 (Christmas Tree) | 1 | 토양 1개 소나무 판자 4개 밧줄 3개 | 1 × 1 | 공터, 바닥 |
제작필요. 제작 후 엔진, 쿠폰이 있다. | |||||
닉 산타 작업대 () | 1 | 소나무 판자 4개 철 주괴 2개 [image] | 1 × 1 | 공터, 바닥 | |
크리스마스 물품 제작용. |
11. 미구현 아이템
- 미구현된 물품 및 시설
레벨 | 아이템 이름 | 포인트 | 필요 재료 | 설치 조건 | |
46 | 고문 장치 (Torture Device) | 2 | 못 12개 가죽 5개 플라스틱 10개 | ? | |
미구현 | |||||
52 | 파이프 (Pipe) | 1 | 티타늄 주괴 × 10 | ? | |
베타 1.17.6 업데이트로 티타늄이 구현되면서 이 아이템도 만들 수 있게 된 줄 알았으나, 제조법 자체가 제네시스 연구소에서 얻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일단 구현된 건 맞는 듯 하나 아예 쓰임새는 달라진 듯. | |||||
64 | 말안장 (Horse Saddle) | 1 | 가죽 15개 밧줄 2개 [image] × 5 | ? | |
미구현 | |||||
수리 작업대 (Repair Station) | 2 | [image] × 20 못 × 15 고무 부품 × 5 [image] × 10 | ? | ||
미구현. 도구나 무기, 방어구 등 내구도가 있는 물품들의 내구도 회복 용도로 추정되지만 자세한 건 알 수 없다. | |||||
82 | 전자 연구실 (Electronics Lab) | 2 | 티타늄 주괴 × 20 [image] × 17 전선 × 14 [image] × 15 전자 회로 × 5 [image] × 10 | ? | |
복잡한 전자 기기를 제작하는 데 쓰이는 시설이라는 설명이 있다. 베타 1.17.6 업데이트로 제조법이 바뀌고 유일한 미구현 재료였던 티타늄 주괴까지 모두 구현되었으나, 제조법 자체는 제네시스 연구소에서 얻을 수 있도록 바뀌었다. 현재 제네시스 연구소는 장소 자체는 구현되어 있으나 안에 들어갈 수는 없다. 어느 쪽으로든 이 시설의 구현이 머지 않은 듯. |
- 미구현 운송 수단
64 | 좀비 트럭 (Zombie Truck) | 2 | [image] × 10 볼 베어링 10개 | 3×3으로 추정. | 미구현[10] 추정 재료는 트럭 바퀴 4개, 톱날 3-5개 정도, 엔진 부품 150-300개 정도, 볼트 200-300개, 전선 100-200, 가스통, 기타. |
설치에 필요한 재료 중 미구현 재료가 있어 만들 수 없는 차량. 타 지역에 전진기지를 만들 때 쓰일 것으로 추정된다. | |||||
76 | 헬리콥터 (M-24 Helicopter) | 2 | [image] × 20 전선 18개 볼 베어링 20개 나사 25개 물푸레나무 판자 25개 | 3×3으로 추정. | 미구현[11] 추정 재료: 바퀴 3-4개, 엔진 부품 500개, 나사 300-400개, 가스통, 기타. |
설치에 필요한 재료 중 미구현 재료가 있어 만들 수 없는 차량. 벙커 찰리를 들어갈 수 있다. | |||||
〈예상〉 | 말(Horse) | 〈예상〉 | 제작 불가로 추정된다. | ||
예상 이동수단. 말 안장으로 보아 추후에 추가가 될 것이고, 말 구유가 있는 것으로 보아 배고픔 수치가 있을 것이다. |
- 미구현 방어 시설
40 | 곰 덫 (Bear Trap) | 1 | [image] × 10 고철 10개 | ? | ? | ? | ? |
미구현 함정 | |||||||
88 | 박격포 (Mortar) | 2 | 스프링 8개 볼 베어링 20개 전선 15개 | ? | ? | ? | ? |
미구현 중화기. |
[1] 독한 술을 마셔서 덥게 느껴지는 이유는 체온이 올라가는 것보다 알코올로 인한 혈관 확장으로 피부 주위의 혈관이 활성되어 덥다고 느끼는 게 더 크다. 추운 환경에서 술을 마실 경우, 혈관 확장으로 따뜻하게 느낄지는 몰라도 더 많은 혈액이 외부에게 열을 빼앗기기 때문에 외려 중심체온이 더 내려가 위험해진다.[2] 이 세 시설들은 게임을 맨 처음에 시작할 때부터 얻을 수 있는 시설들이며, 1개 이상 기지 내에 배치될 수 없기 때문에 다시 만들 필요가 없다.[3] 서쪽 AI 기지의 제작 ATV 내부를 보면 이 아이템이 획득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나, 막상 플레이어가 가져갈 수는 없다(...)[4] 정확하게는 모터보트에 장착해야 하는 보트 엔진을 만드는 데 필요하다. 2개가 필요한데 하나당 10개의 엔진 부품을 요구한다.[5] 시즌 7 전까지는 전투 상자에 SWAT 복장 세트 하나, 전술 복장 세트 하나가 반드시 들어 있었다. 시즌 8부터 전술 복장 세트가 둘 있는 경우가 생겼다.[6] 기지를 털 경우 다른 유저도 당신의 기지를 털 수 있다는 점에 유의.[7] 허나 세척된 상자의 내용물은 원래 좌표 상자보다 부실해진다. 예를 들어 SWAT 보호구 4개가 들어있지 않고 한개만 나온다. [8] 자원 측면에서는 낭비가 심한 제조법이다. 고철 15개면 철 주괴를 3개를 만들고 3개가 남는 양이고, 철 주괴 3개를 전부 작업대에서 가공하면 철 판 3개가 나오기 때문이다.[9] 이 부분에서는 상위 문서의 등장 생물(Enemy) 부분을 참고할 것[10] 추정 재료는 트럭 바퀴 4개, 톱날 3-5개 정도, 엔진 부품 150-300개 정도, 볼트 200-300개, 전선 100-200, 가스통, 기타.[11] 추정 재료: 바퀴 3-4개, 엔진 부품 500개, 나사 300-400개, 가스통,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