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합 판별 함수
1. 설명
특수함수의 하나로, 지시 함수(Indicator function)라고도 한다. $$\bold{1}_{\boldsymbol{\mathsf{A}}}(x)$$[1] 로 표기하며, 정의는 다음과 같다.
$$ \bold{1}_{\boldsymbol{\mathsf{A} }}(x) \equiv \begin{cases} 1 & (x \in \boldsymbol{\mathsf{A}}) \\ 0 & (x \notin \boldsymbol{\mathsf{A}}) \end{cases} \qquad $$ (단, $$\boldsymbol{\mathsf{A}}$$는 집합)
- 측도 $$\mu$$와 집합 $$\boldsymbol{\mathsf{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 고등학교 수학에서는, 구간 $$A= [a,\, b]$$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또한 기댓값이 본질적으로 적분이고 확률이 측도임을 생각하면, 다음처럼 확률과 기댓값을 이어주는 데 사용된다는 것도 바로 알 수 있다.
- 확률변수 $$X$$가 확률분포(Probability measure) $$P$$를 따른다면, 사건 $$A$$에 대해 다음이 성립한다.
1.1. 중등교육 수준의 설명
의외로 간단한 함수이다. 이 함수는 $$\bold{1}_{\boldsymbol{\mathsf{A}}}(x)$$로 표기되는데, $$x$$가 집합 $$\mathsf{A}$$ 안에 포함되는 원소이면 함숫값이 $$1$$이 되고 아니면 [math(0)]이 된다. 예를 들어서, 자연수 전체의 집합을 $$\mathbb{N}$$이라고 하면, $$5$$는 자연수이므로 $$\bold{1}_{\mathbb{N}}(5)=1$$이고, $$\sqrt2$$는 자연수가 아니므로 $$\bold{1}_{\mathbb{N}}(\sqrt2)=0$$이다.
아래는 몇몇 예시를 나타낸 표이다.
여기서 $$\mathbb{N}$$은 자연수 집합, $$\mathbb{Z}$$는 정수 집합, $$\mathbb{Q}$$는 유리수 집합이다.
한편 소수 $$\mathbb{P}$$를 판별하는 소수 판별 함수 $$\bold{1}_{\mathbb{P}}$$도 생각해볼 수 있는데, $$\bold{1}_{\mathbb{P}}(x) = 1$$을 만족하는 수를 찾는 과정이 다름아닌 에라토스테네스의 체이다.
2. 유리수 판별 함수(디리클레 함수)
개중에 유리수 집합 $$\mathbb Q$$을 판별하는 디리클레 함수(Dirichlet function)[2] $$\bold{1}_{\mathbb Q}(x)$$ 라는 것이 있는데, 집합 판별 함수 중 아래의 특이한 성질을 보이기 때문에 실해석학에서 주로 다뤄진다.
- 모든 실수에서 불연속인 완전 불연속 함수이다. 그래서 해석기하학적 그래프를 그릴 수 없다.
- 짝함수이다: $$\bold{1}_{\mathbb Q}(x) = \bold{1}_{\mathbb Q}(-x)$$
- 리만 적분[3] 으로는 적분이 불가능하고, 르베그 적분으로 적분할 수 있으며 그 값은 0이다.
- 오일러-마스케로니 상수, 브룬 상수, 카탈랑 상수 등 특이점이 무수히 많이 존재한다.[4]
- 삼각함수로 정의가 가능하다: $$\displaystyle \bold{1}_{\mathbb{Q}}( x ) = \lim_{m \to \infty} \left[ \lim_{n \to \infty} \cos^{2n}( m! \cdot \pi x ) \right] $$.
- 이 항등식은 현실적으로는 거의 쓸모 없는, 학문적 유희를 위한 식이다. 그러나 유리수, 팩토리얼, 삼각함수, 지수, 그리고 극한 등 중요 개념들을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지를 테스트할 수 있는 매우 좋은 식이므로, 수학에 관심 있는 위키러는 이 항등식 증명에 도전해보자.
[2] 고안자인 페터 디리클레(Johann Peter Gustav Lejeune Dirichlet)의 이름을 따왔다.[3] 고등학교 때 배우는 적분법을 대학교 2학년 수준에서 확장한 것. 주어진 구간을 n등분하는 대신 아무렇게나 쪼개고, 오른쪽 값이나 왼쪽 값 등을 고르는 것이 아니라 각 구간에서의 최댓값과 최솟값을 고르는 정도의 차이가 존재한다. 고등학교식 적분이 리만 적분이 아니라는 증거이기도 하다. 고등학교식으로 0부터 1까지 적분하면 1이다.[4] 사실 당연한 것이 이들은 유리수인지 무리수인지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언젠가는 저 점들도 특이점이 아닐 날이 올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