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함수
1. 개요
even and odd functions[1] · 對稱函數
함수의 개형이 대칭을 이루는 함수를 뜻한다. 크게 홀함수[2] (Odd function)와 짝함수[3] (Even function)로 나뉜다.
2. 정의
정수 $$a$$에 대해 $$y=x^a$$인 함수를 멱함수라고 한다. 멱함수의 경우 함수가 짝함수인지 홀함수인지의 여부를 쉽게 알 수 있다. $$y=x^2$$ 또는 $$y=x^4$$과 같이 $$a$$가 짝수이면 짝함수이고, $$y=\dfrac1x$$ 또는 $$y=x^3$$과 같이 $$a$$가 홀수이면 홀함수이다.함수 $$y=f(x)$$가 정의역의 모든 $$x$$에 대하여
* $$f(-x)=f(x)$$이면 '''짝함수'''(우함수),
* $$f(-x)=-f(x)$$이면 '''홀함수'''(기함수)
이다.
홀함수는 다시 $$f(x)>f(-x)$$인 함수와 $$f(x)<f(-x)$$인 함수로 나뉜다. 아래는 이 둘의 예시이다.
3. 특수한 대칭함수
멱함수 이외에도, 고교 수학에서 배운 삼각함수 등을 포함한 매우 다양한 함수들이 대칭성을 가지고 있다.
3.1. 홀함수
- [math(\mathrm{sgn}(x))]
- [math(\sin(x))]
- [math(\tan(x))]
- [math(\cot(x))]
- [math(\csc(x))]
- [math(\arcsin(x))]
- [math(\arctan(x))]
- [math(\mathrm{arccot}(x))]
- [math(\mathrm{arccsc}(x))]
- [math(\sinh(x))]
- [math(\tanh(x))]
- [math(\coth(x))]
- [math(\mathrm{csch}(x))]
- [math(\mathrm{arsinh}(x))]
- [math(\mathrm{artanh}(x))]
- [math(\mathrm{arcoth}(x))]
- [math(\mathrm{arcsch}(x))]
- [math(\mathrm{Si}(x))]
- [math(\mathrm{Shi}(x))]
- [math(S(x))]
- [math(C(x))]
- $$P_{2n+1}(x)$$(단, $$n$$은 0 이상의 짝수)
- $$H_{2n+1}(x)$$(단, $$n$$은 0 이상의 짝수)
- [math(\mathrm{erf}(x))]
- [math(\mathrm{erfi}(x))]
- [math(\mathrm{gd}(x))]
- [math(\mathrm{igd}(x))]
- [math(\mathrm{BR}(x))]
- [math(F(\phi,\,k))]
- [math(E(\phi,\,k))]
3.2. 짝함수
- [math(c)]
- ]
- [math(\cos(x))]
- [math(\sec(x))]
- [math(\dfrac{\sin x}x)]
- [math(\cosh(x))]
- [math(\mathrm{sech}(x))]
- [math((\Re \circ \mathrm{Ci})(x))][iπ]
- [math((\Re \circ \mathrm{Chi})(x))][iπ]
- [math((\Re \circ \mathrm{Log})(x))][*iπ ]
- [math(\displaystyle e^{-x^2})]
- [math(\delta(x))]
- $$P_{2n}(x)$$(단, $$n$$은 0 이상의 짝수)
- $$H_{2n}(x)$$(단, $$n$$은 0 이상의 짝수)
- [math(\bold{1}_{\mathbb Z}(x))]
- [math(\bold{1}_{\mathbb Q}(x))]
- [math(\bold{1}_{\mathbb I}(x))]
- [math(\bold{1}_{\mathbb R}(x))]
- [math(\mathrm{tri}(x))]
- [math(\mathrm{rect}(x))]
- [math(\Psi(x))]
4. 성질
$$f(-x)=f(x)$$에서 점 $$(x,\,y)$$가 그래프 위의 점이면 점 $$(-x,\,y)$$도 그래프 위의 점이기 때문에 짝함수의 그래프는 $$y$$축에 대하여 대칭이고, $$f(-x)=-f(x)$$에서 점 $$(x,\,y)$$가 그래프 위의 점이면 점 $$(-x,\,-y)$$도 그래프 위의 점이기 때문에 홀함수의 그래프는 원점에 대하여 대칭이다.
수에서의 홀짝과는 특성이 다른데, 이는 다음과 같다.
- 홀함수×홀함수=짝함수, 홀함수÷홀함수=짝함수
- 홀함수×짝함수=홀함수, 홀함수÷짝함수=홀함수, 짝함수÷홀함수=홀함수
- 짝함수×짝함수=짝함수, 짝함수÷짝함수=짝함수
합성함수의 경우, 홀함수$$\circ$$짝함수이든 짝함수$$\circ$$홀함수이든 무조건 짝함수가 된다. 그런데, 홀함수끼리 합성하면 홀함수가 된다. 함수의 합성을 일종의 곱셈으로 이해하면, 짝수를 임의의 자연수에 곱하면 짝수가 되고, 홀수 곱하기 홀수는 홀수가 되는 점에 대응시켜보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정의역이 $$x=0$$에 대해 좌우대칭인 임의의 함수를 아래와 같이 짝함수와 홀함수의 합으로 유일하게 나타낼 수 있다.
$$f(x)=\dfrac{f(x)+f(-x)}{2}+\dfrac{f(x)-f(-x)}{2}$$
4.1. 미적분
홀함수를 미분하면 짝함수가 되고, 짝함수를 미분하면 홀함수가 된다. 부정적분의 경우 홀함수를 적분하면 짝함수가 되지만, 반대로 짝함수를 적분하는 경우에는 적분상수의 존재 때문에 반드시 홀함수가 되리라는 보장이 없다. 단, $$y$$축 위의 한 점에 대하여 $$y$$절편을 $$C$$($$C$$: 적분상수)로 갖는, $$(0, C)$$ 좌표에 점대칭인 그래프를 갖는다.
4.1.1. 정적분
대칭함수의 성질을 가장 잘 활용하는 곳은 다름 아닌 정적분인데, 이는 함수의 그래프가 대칭인 특성상 적분식이 간단해지기 때문이다.
적분구간 $$[-a,\,a]$$ (단, $$a>0$$)에 대해서 다음이 성립한다.
- 홀함수 : $$\displaystyle \int_{-a}^a f(x) \,\mathrm{d}x = 0$$
- 짝함수 : $$\displaystyle \int_{-a}^a f(x) \,\mathrm{d}x = 2 \int_0^a f(x) \,\mathrm{d}x = 2 \int_{-a}^0 f(x) \,\mathrm{d}x$$
4.2. 역함수
- 홀함수의 역함수는 직선 $$y=x$$를 중심으로 선대칭을 한 홀함수가 된다.
- 짝함수의 역함수는 $$x$$축을 기준으로 선대칭을 이루는 음함수가 된다.
[1] Symmetric Function이라는 것도 있기는 하지만 이것은 각 변수의 자리를 바꿔도 성립하는 다변수함수라는 다른 뜻이다.[2] 과거엔 기함수(奇函數)[3] 과거엔 우함수(偶函數)[iπ] A B $$x < 0$$ 범위에서는 $$i\pi$$가 더해지므로 짝함수로 만드려면 실수부를 취해야 한다.[4] 그래서 홀함수의 $$(-\infty, \infty)$$ 구간열 적분을 구하는 것은 거의 금기 수준이다.[5] 단, 디리클레 함수는 홀함수가 아님에도 대칭 정적분 값이 0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