찰보리빵

 


1. 개요
2. 형태
3. 도라야키와의 관계
4. 경주빵과의 관계
5. 기타


1. 개요


단석가 찰보리빵 홈페이지
대한민국 경주시의 유명한 . 경주시 지정 전통음식으로 지정된 황남빵과 더불어 경주의 명물 먹을 거리이다.
2002년 서영석이 처음 발명하여 현재에 이른다. 첫 개발자 서영석이 운영하는 단석가 찰보리빵 본점 외에도 경주 내에 70여 군데에서 여러 찰보리빵 가게가 영업 중이다.
울산에도 단석명가라는 이름으로 유사 찰보리빵이 운영중이다.

2. 형태


둥글고 조그만 팬케이크 두 개를 겹친 것처럼 생겼고, 안에 팥소가 약간 들었다.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 반죽에 경주 건천읍산 찰보리 가루를 사용하므로 찰보리 특유의 쫀득한 식감과 구수함이 많이 느껴진다.
찰보리 가루 외의 재료는 계란,[1] 국내산 이라는 단순한 구성. 속에 팥소 대신 고구마앙금을 넣은 찰보리빵도 있다.

3. 도라야키와의 관계


일본 화과자도라야키와 외형이 많이 닮았는데, 실제로 찰보리빵을 개발한 서영석은 과거 일본에 어학 연수를 가면서 각 지역별로 그 지역을 대표하는 다양한 빵을 보고, 자신도 지역특산물을 활용한 빵을 만들어 보고 싶다는 꿈이 생겼다고 한다. 일본에서 돌아와 중소기업에서 2년 동안 일하다가 퇴직한 후 퇴직금으로 빵 가게를 열었지만 잘 안 팔렸다고. 그러던 중 건천 지역의 찰보리가 유명하다는 얘기를 듣고 밀가루 대신 찰보리 가루를 이용해 빵을 만들었고 그 결과 대성공, 순식간에 황남빵과 함께 경주 명물로 자리 잡았다.
도라야키와 비교해보면, 도라야키는 포켓 샌드처럼 끝부분이 붙은 반면 찰보리빵은 떨어졌다. 크기도 찰보리빵이 약간 작은 편. 무엇보다도 찰보리빵엔 도라야키에 비해 팥소가 매우 적게 들어간다. 그래서 도라야키는 찰보리빵에 비해 단맛이 굉장히 강하다.

4. 경주빵과의 관계


경주 내에 성업 중인 경주빵 가게는 찰보리빵 가게를 병행하는 곳이 많다. 경주 내를 조금만 걸어가다 보면 경주빵&찰보리빵 가게들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2]

5. 기타


  • 찰보리빵이 처음 만들어진 단석가 찰보리빵은 경주시 사정동에 위치한 본점 외에도 해장국 명물거리 부근에 한 곳, 탑동에 두 곳이 있다. 그 외 첨성대 맞은편 미니스톱에서도 판다.
  • 가격은 개당 800원, 20개 기준 16,000원이다. 황남빵 20개 20,000원과 비교하면 더 저렴하다(2020년 기준). 경주에 있는 모든 찰보리빵 가게의 공통사항.
  • 찰보리빵은 재료가 찰보리 가루+계란+팥이라는 심플한 구성이지만, 개발자 서영석의 말로는 제조업체마다 맛이 다르다고 한다.
  • 고령화 사회에 맞춰 경주시의 사회복지단체인 경주시니어클럽에서는 직영 노인 일자리 창출가게인 서라벌 찰보리빵을 창업해 60대 이상 노인들에게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 노무현 대통령의 고향 봉하마을에서도 판다. 현재는 노무현의 친척이 매입했다고 한다. 기술은 경주의 찰보리빵 제조업체 불국빵으로부터 전수받았다고 한다.
  • 울산 옥동에도 직접만들어 판매하는 찰보리빵 가게가 영업중에 있다.
  • 찰보리빵을 처음 발명한 단석가 찰보리빵에서는 찰보리 아이스크림을 판다.
  • 정작 경주에서 학창시절을 보낸 사람들은 간식으로 하도 많이 먹은 탓에 질려서 질색하는 경우가 제법 있다.
  • 냉장고에 넣어두고 차갑게 한 상태에서 우유와 같이 먹으면 맛있다. 원래 단맛이 강하지 않고 쫀득하고 부드러운 찰보리의 식감이 맛을 좌우하는 빵이라서 따뜻하기보다는 차가운 편이 더 맛있다.
  • 의외로 금방 상한다. 상온 보관시 계절을 불문하고 사흘을 넘기기 어렵다. 여행지에서 잔뜩 사왔다가 곰팡이가 핀 빵만 수북할 수 있으니 구입한 뒤 금방 먹거나 냉보관해야 한다.[3]
[1] 단석가의 경우 경주 남산 방사유정란만 사용한다고 한다.[2] 특히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근처에 정말 많다.[3] 단석가 찰보리빵 상자에 보면 냉동보관하라고 적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