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새

 


[image]
겨울새인 홍여새
[image]
나그네새인 목도리도요 암컷
1. 개요
2. 상세
2.1. 부류
3. 여담


1. 개요


번식지와 월동지를 해마다 정기적으로 왕복하는 새로, 후조(候鳥)라고도 한다. 반대되는 개념은 텃새.
이 밖에 본디는 해당 지역으로 오지 않으나 드물게 발견되는 새가 있다. 우연히 길을 잃고 들어온 경우로, '미조(迷鳥, 길잃은새)'라 부른다.

2. 상세


이 철새떼의 개체수라는 것이 한 계절 사이에 수만 마리가 넘나들기 때문에 지역 생태계에 다대한 영향을 미치는 생태계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때문에 생태 보존의 척도로 주로 활용되는데, 반대로 국가와 대륙을 넘나드는 스케일 때문에 바다를 건너서 기생충/전염병의 전염원이 되어 해당 지역에서 생활하고 신나게 배설하면서 병을 퍼뜨리는 전과를 남기기도 한다. 당연히 이러한 병한테 수없이 감염을 당해온 철새들은 보통 면역력이 강한 게 아니다. 면역력이 약한 철새들은 애초부터 죽어 없어지고 면역력이 강한 철새들만 살아남기 때문이다. 물론 철새들마저 전멸하는 사태가 벌어지곤 하는데, 이러한 경우는 정말 병원체가 강한 것이다.
철새들이 이동하는 이유는 대부분 먹이 때문이다. 잡식성 새가 이런 경우가 많은데, 먹이가 풍부한 경우에는 이주하지 않고 아예 텃새가 되어버린 사례가 있다.
철새들이 어떻게 방향 감각을 잃지 않고 대규모로 대륙 이동을 할 수 있는가에 대해 여러 가설이 분분하다. 새의 종류에 따라 방향 감각을 찾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이다. 이 중 전서구와 같은 일부 조류가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한다는 사실이 규명되었는데, 지구의 자기장을 이용하지 않고 방향을 찾는 철새들 또한 있는지라 확실하게 정설로 정해진 것은 아직 없다.
한반도시베리아몽골에서 동북아시아로, 그리고 동북아시아에서 동남아시아로 이동하는 경로에 위치해 있어 여름철새와 겨울철새를 막론하고 세계적으로 많은 철새와 나그네새가 존재한다.

2.1. 부류



3. 여담


한편 과거에는 철새였다가 한반도 기후에 적응하면서 눌러앉아 텃새가 된 새도 있다. 그 대표적인 예가 원앙.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