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어낙안
1. 개요
물고기(魚)가 가라앉고(沈) 기러기(雁)가 떨어진(落)다는 뜻. 대단한 미녀를 말한다.장자에 나온다.[1]
2. 한자의 음훈
가라앉을 침(沈), 물고기 어(魚), 떨어질 낙(落), 기러기 안(雁)
3. 유래
춘추시대 진(晉) 헌공(獻公)의 애첩 여희(麗姬)[2] 의 미모가 물고기가 헤엄치는 것을 잊고 잠기게 하고, 기러기가 날게짓을 잊고 떨어지게 만들만큼 아름다웠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된다.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도 있고, 뒤에 폐월수화(閉月羞花)[3][4][5] 라는 말까지 붙여서 강조의 의미를 더 하기도 한다.
흔히들 말하는 중국 '''4대 미녀'''당 하나씩 포지션이 돌아가게 된다.
- 침어 - 서시
- 낙안 - 왕소군
- 수화 - 양귀비 수화는 원래 서시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어째서인지 양귀비가 대신 이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4. 기타
제물론에서는 '사람이 봤을 때는 이쁘다고 하지만, 물고기나, 새, 들짐승들이 봤을때는 걍 도망치니 이쁘다는 것이 과연 어떤 의미가 있겠느냐' 정도의 의미로 사용되었지만, 전해지면서 원형을 알 수 없을 정도로 변했다. 물고기와 새가 원문에 나오기 때문에 원문이겠거니 하는 것이지, 침어와 물고기 깊은 곳으로 들어가는 것은 그렇다고 해도 새가 하늘 높이 도망가는 것과 기러기가 오히려 땅으로 떨어지는 것은 정반대이다. 즉 미인을 칭송하는 문구로 바꾸기 위해서 다 갈아치운 셈이다. 폐월수화라는 전혀 다른 문구들이 추가되면서 의미가 전혀 다르게 바뀐 경우에 포함된다고 볼 수 있고, 혹은 전혀 다른 문구인데 고사가 있어야 그럴싸해 보이기 때문에 억지로 장자의 재물론을 끼워넣은 것일 수도 있다.
[1] 장자 제물론(齊物論)
毛嬙麗姬 人之所美也 '''魚見之深入 鳥見之高飛''' 麋鹿見之決驟 四者孰知天下之正色哉
모장(서시와 동시대인인 미녀)와 여희는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하지만, '''물고기가 보면 깊이 들어가고, 새가 보면 높이 날아가며''', 고라니와 사슴은 빨리 도망치니 이 네가지 부류중 어떤것이 천하의 올바른 아름다움을 안다고 하겠는가[2] 헌공 5년(BC 675년) 여융족(驪戎族)과 전쟁을 벌여 얻은 미녀로써, 후에 그녀가 낳은 자식 혜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서 장남 신생(申生)을 모략으로 자살하게 만들었다. 이 이야기가 신생은 안에 있어 죽었으나 중이는 밖으로 튀어서 살았다는 그 얘기이며, 중이는 훗날 진문공이 된다.[3] 달이 가리고 꽃이 숙여진다.조식의 낙신부와 이백의 서시의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4]
조식의 낙신부(洛神賦)
髣彿兮若輕雲之'''蔽月''', 飄颻兮若流風之迴雪
가벼운 구름이 '''달을 가리듯''' 아른아른하며, 흐르는 바람이 눈보라를 휘감아올리듯 가볍게 날아오르네
http://blog.naver.com/tardes?Redirect=Log&logNo=100132374614 참고[5]
이백의 서시(西施)
西施越溪女 出自苧蘿山 秀色掩今古 荷'''花羞'''玉顔
월나라의 빨래하던 아가씨 서시는 저라산 기슭의 완사계(浣紗溪) 출신 빼어난 용모는 고금에 둘도 없고 '''연꽃도 그녀의 예쁜 얼굴에 부끄러워했었지'''
http://www.epochtimes.co.kr/news/view.html?section=165&category=205&no=105445 참고[6] 경국지색 항목의 나오는 시의 주인공
毛嬙麗姬 人之所美也 '''魚見之深入 鳥見之高飛''' 麋鹿見之決驟 四者孰知天下之正色哉
모장(서시와 동시대인인 미녀)와 여희는 사람들은 아름답다고 하지만, '''물고기가 보면 깊이 들어가고, 새가 보면 높이 날아가며''', 고라니와 사슴은 빨리 도망치니 이 네가지 부류중 어떤것이 천하의 올바른 아름다움을 안다고 하겠는가[2] 헌공 5년(BC 675년) 여융족(驪戎族)과 전쟁을 벌여 얻은 미녀로써, 후에 그녀가 낳은 자식 혜제(奚齊)를 후계자로 세우기 위해서 장남 신생(申生)을 모략으로 자살하게 만들었다. 이 이야기가 신생은 안에 있어 죽었으나 중이는 밖으로 튀어서 살았다는 그 얘기이며, 중이는 훗날 진문공이 된다.[3] 달이 가리고 꽃이 숙여진다.조식의 낙신부와 이백의 서시의 구절에서 나온 말이다.[4]
조식의 낙신부(洛神賦)
髣彿兮若輕雲之'''蔽月''', 飄颻兮若流風之迴雪
가벼운 구름이 '''달을 가리듯''' 아른아른하며, 흐르는 바람이 눈보라를 휘감아올리듯 가볍게 날아오르네
http://blog.naver.com/tardes?Redirect=Log&logNo=100132374614 참고[5]
이백의 서시(西施)
西施越溪女 出自苧蘿山 秀色掩今古 荷'''花羞'''玉顔
월나라의 빨래하던 아가씨 서시는 저라산 기슭의 완사계(浣紗溪) 출신 빼어난 용모는 고금에 둘도 없고 '''연꽃도 그녀의 예쁜 얼굴에 부끄러워했었지'''
http://www.epochtimes.co.kr/news/view.html?section=165&category=205&no=105445 참고[6] 경국지색 항목의 나오는 시의 주인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