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싱
1. 개요
김태균 감독, 차인표 주연의 탈북자를 소재로 2008년에 개봉한 한국영화.
2. 줄거리
용수(차인표)와 준이(신명철)은 북한에서 넉넉치도 않은 살림에서도 축구를 즐겨가며 훈훈하게 살아가는 가정이다. 더구나 이웃집은 무역으로 귀한 물건도 구해다 오기에 나름 신기한 것도 경험해가며 생활에 아쉬울 게 없었다. 그러나 용수의 아내가 폐결핵에 걸려 쓰러지고, 약을 주기로 했던 이웃집마저 밀수혐의와[1] 기독교를 믿은 혐의[2] 로 당에게 걸려 모두 끌려간 상황. 용수는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다가 약값을 구해야한다는 생각에 중국에서 돈을 벌어오기 위해 밀입국을 했다.
그 뒤 혼자 남은 용수의 아내는 폐결핵을 이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으며, 혼자 남은 준이는 아버지인 용수를 찾기위해 고군분투하지만 이미 용수는 탈북자 단속에 휘말려 한국으로 넘어가버린 상태. 엎친데 덮친격으로 예전 이웃집 소녀[3] 와 함께 도강을 하려던 준이는 탈북을 도와주던 꽃제비와 싸우다가 경비병에게 걸려 수용소로 끌려갔다.[4] 짝사랑했던 이웃집 소녀는 수용소의 척박한 환경을 이기지 못하고 생을 마감했으며, 혼자남은 준이는 다행히 한국에 있는 용수의 노력으로 무사히 수용소를 빠져나와[5] 탈북 브로커들과 탈북을 시도한다.
하지만 몽골 고비 사막으로 들어가려는 도중 때마침 순찰중이던 국경 수비대에게 걸린것도 모자라, 일행 중 정신질환을 앓고 있던 여성이 발작을 일으켜 국경 수비대를 공격하게 되자, 혼란을 틈타 혼자 고비 사막으로 진입한다.
그러나 고비사막의 척박한 환경과 기아를 이기지 못한 준이는 결국 세상을 떠났고, 자신의 아들을 맞이하기 위해 몽골에 갔던 용수는 몽골군이 수습한 아들의 시신을 보며 오열하며 혼자 쓸쓸히 대한민국으로 돌아간다.
3. 평가
4. 분석
출연 배우들의 연기력 때문인지 편집 때문인지 몰라도 롱테이크보다 다수의 숏테이크로 이루어져 있어 영화에 몰입하는데 상당히 애로가 있다.[6] 그래서인지 흥행은 전국 100만 관객[7] 으로 아주 망해버렸다.[8] 덕분에 입으로만 이 영화 찬양하고 다운받아 보았냐는 비아냥도 나왔다.
감독이 개신교인이라 개신교에 대한 이야기가 반복적으로 나오는데, 그 덕에 종교 홍보영화라는 악평도 엄청났다. 실제로 선교재단[9] 등에서 이 영화를 후원, 홍보하기도 했고, 대형교회 등지에서 단체관람이나 홍보를 하는 등 꽤 노골적인 홍보활동을 펼쳤다. 차인표도 이런 점 때문에 출연했다고 개신교 월간지에 나와 인터뷰했다.[10]
이 부분은 관객에 따라 반종교적 혹은 종교적 메시지로 보기도 하는데 기독교의 만년 떡밥 가운데 하나인 신정론을 표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초반의 종교적 색체가 노골적 일 수 있는 장면들과 용수의 입과 지옥같은 현실에서 " '''죽으면 아부지 어머니를 다시 만날 수 있다는 게 정말이야?.. ''' "죽음 뒤의 천국을 상상하는 아이들을 보여주고 있고 작중 천국이라는 단어가 직접 나오지는 않지만, 천국을 상징하는 키워드가 지속적으로 나오며, 지옥보다 처절한 현실에서 순수함을 간직한 아이들이 죽음 뒤의 행복한 세상을 상상하며 죽어가는 장면들을 보여주려 했다는 점에서 그러하다.[11]'''"예수요? 예수는 남조선에만 있읍네까? 세상 사람 다 구하러 왔다메? (중략) 어째 죽지 않고 이렇게 살아 있는데.., 기다릴테니까.. 예수가 아니라.. 책 속의 예수가 아니라! 약갖고... 먹을 거 갖고 인차 온다고 한 나를 기다릴테니까..."'''
차인표의 영화작품[12] 치고는 작품성이 높은 편. 아카데미 외국어영화상 후보작으로 한국영진위 측에서 올렸는데 이 영화를 두고 정치적 문제로도 해외에서도 거론되기도 했지만 후보작에도 오르지 못했다.
몽골 올로케이션 당시 중국 공안 분장을 하고 찍던 도중 몽골인들이 중국놈들이 왜 왔냐고 욕하고 배우들을 구타하려고 사람들이 몰려드는 탓에 제작에 차질이 컸다고 한다. 반중 감정이 심한 곳인지라...결국 제작비만 더 올라가서 망했다.
그래도 영화 자체는 북한주민의 현실을 잘 그려낸 작품이다. 무역하는 이들의 밀수라든가 TV를 파는 모의장터라든가 악독한 정치범수용소등을 상당히 사실적으로 그려낸 점은 높게 평가받는다. 영화적 완성도는 별로라 평가하는 사람들조차도 이 영화를 통해 북한 인권의 실상을 알게 된 점은 높게 평가한다. IMDB에서도 비록 평점에 참여한 유저는 1000명도 못 미치지만 평점자체는 7.6을 기록하고 있어 외국인들도 매우 인상 깊게 시청한 것으로 보인다.
[1] 집에서 쓰던 밀수한 티비가 한국의 축구 중계도 볼 수 있었다.[2] 북한에서 기독교를 믿는 것은 반역죄에 해당하며, 적발되면 바로 정치범수용소행이다.[3] 앞에서 설명한 밀수 및 기독교 믿은 혐의로 끌려갔다는 그 이웃집 소녀다. 꽃제비가 되어있었는데 우연히 다시 만났다. [4] 꽃제비는 안내해준 대가를 요구했는데 준이 일행에게 그런게 있을리가 없었고, 꽃제비는 이들을 근처에 있던 경비병에게 밀고해서 떡고물이라도 얻어 먹으려다 되려 개머리판에 맞고 즉사했다. [5] 브로커를 통해 수용소에 있던 아들을 돈주고 빼왔다[6] 시점의 변화가 비교적 급박하다.[7] 그것도 상당한 기간을 연장상영까지 했음에도.[8] 손익분기점을 위하여 300만 이상 관객이 봐야했다고 한다. 몽골 올로케이션 당시 벌어진 사고로 촬영이 미뤄지면서 제작비가 올라갔다고...[9] 주로 탈북자 대상의 선교 단체.[10] 실제로 차인표는 독실한 개신교 신자다.[11] 탈북자의 상당수가 개신교 신앙을 가지게 된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 일단 주체사상 자체가 기독교적 요소도 있다는 점에서 탈북자들이 개신교에 매력을 느끼는 경우가 많은데다 개신교 단체 역시도 이 점을 노리고 탈북자들에게 선교 및 지원을 한다. [12] 차인표 나온 영화치고 흥행이나 평이 좋은 영화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