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병
[image]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오쉬노부대 특전사 대원들. 한국에서 온 정부요인을 경호하는 모습.
Deploy
자국의 군대를 군사적 혹은 정치적 협력등을 위하여 외국에 파견하는 행위.
파병의 역사는 당연히 상당히 오래되었다. 일종의 파티결성(?)이나 동맹결성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A지역이 B지역 침공을 위하여 인접한 C지역과 연맹을 맺고, C지역이 A지역에 파병을 보내는 행위는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다. 예를 들면 광개토대왕이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신라에 군대를 파견하거나, 고구려-당 전쟁 중의 당군의 파견 등 우리나라 역사에서 봐도 다양한 사례가 있다.
20세기에 들면서 파병이라는 개념은 점차 국가적인 정치적 연루성과 편승에 의한 역할분담의 성격이 짙었다. 냉전시대에서의 역할에 있어서 상호 각각 편승된 입장의 존망과 역할에 필요한 조치들적 성격이 강했다. 대표적으로 한국전쟁때 UN군파병을 통한 제1세계가 공산주의 저지를 했던 사례와 일본처럼 한국전쟁에 파병나가지 않아도 군수물자 생산 기지 역할을 한 덕분에 충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고, 한국도 베트남 전쟁 파병 자체의 목적도 자유세계에 있던 남베트남을 지원한다라는 입장이 강했다. 물론 그를 통한 미국으로 부터 한국군의 현대화 지원과 군수산업 지원을 얻어내어 국군의 주요 화기들이 미군으로 부터 공수되어 최신화 되었고 파병인원들의 군 보급품 대부분을 우리나라에서 수출하기도 했었으며, 경제 차관도 얻어내서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고, 포스코, 카이스트, 국방과학연구소 등의 굵직한 기업 및 기관들을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21세기에 오면서 냉전이 종식되자 파병은, 특정국가의 치안을 일약 담당해주는 일종의 지구평화의 성격이 더욱 짙어지기 시작했다. 기존의 파병 개념인 편승개념의 역할분담의 성격과 함께 개념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21세기엔 치안이 안좋은 곳을 대상으로 파병을 보내기도 한다. 가장 적극적인 사례가 바로 미국인데, 국가적인 이익이 첫번째지만 국민들부터가 '''세계의 경찰'''이라는 이상향을 품고 있고, 어느 쪽에 서든 최종보스(?)급이라서 온갖 전쟁을 도맡고 있다. 양차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등 열심히 파병을 했다. 단 소말리아는 예외. 미군은 물론이요, UN마저 GG칠 기세다. 자세한건 해외 주둔 미군 항목 참고.
이라크에 '서희', '제마' 부대와 자이툰 부대를 파병한 전력이 있고,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에 해군 '해성'과 '청마'부대, 육군의 '다산', 오쉬노부대를, 아이티에 '단비' 부대를, 소말리아에 청해부대를, 레바논에 '동명부대' 등을 파견한 바 있다. 현재는 남수단에 남수단 재건지원단를 아랍에미리트에 아크부대 등을 파병했다.
2012년 12월 단비부대가 아이티에서 완전 철군했다. 2013년 파병이 종료될 예정이었던 한빛부대와 청해부대 그리고 아크부대는 2015년 12월 31일까지 파병활동이 예정되어있다. 오쉬노부대는 2014년 6월 23일부로 파병임무를 마치고 해단식을 거쳐서 파병활동이 종료되었다.
현재 2015년 3월까지 부대급 파병에 한해서 청해부대는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해적으로부터 상선들을 보호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에 파견된 아크부대는 국방협력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남수단에서는 한빛부대가 평화재건임무를 수행하고 있고, 레바논에서는 동명부대가 여전히 정전감시활동을 지속하며 필리핀에서는 아라우부대가 2014년 12월 22일자로 무사히 임무를 완수하였다.
아프가니스탄에 파병된 오쉬노부대 특전사 대원들. 한국에서 온 정부요인을 경호하는 모습.
Deploy
1. 개요
자국의 군대를 군사적 혹은 정치적 협력등을 위하여 외국에 파견하는 행위.
2. 역사
파병의 역사는 당연히 상당히 오래되었다. 일종의 파티결성(?)이나 동맹결성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A지역이 B지역 침공을 위하여 인접한 C지역과 연맹을 맺고, C지역이 A지역에 파병을 보내는 행위는 이미 오래전부터 나왔다. 예를 들면 광개토대왕이 왜구를 물리치기 위해 신라에 군대를 파견하거나, 고구려-당 전쟁 중의 당군의 파견 등 우리나라 역사에서 봐도 다양한 사례가 있다.
20세기에 들면서 파병이라는 개념은 점차 국가적인 정치적 연루성과 편승에 의한 역할분담의 성격이 짙었다. 냉전시대에서의 역할에 있어서 상호 각각 편승된 입장의 존망과 역할에 필요한 조치들적 성격이 강했다. 대표적으로 한국전쟁때 UN군파병을 통한 제1세계가 공산주의 저지를 했던 사례와 일본처럼 한국전쟁에 파병나가지 않아도 군수물자 생산 기지 역할을 한 덕분에 충분한 자금을 마련할 수 있었고, 한국도 베트남 전쟁 파병 자체의 목적도 자유세계에 있던 남베트남을 지원한다라는 입장이 강했다. 물론 그를 통한 미국으로 부터 한국군의 현대화 지원과 군수산업 지원을 얻어내어 국군의 주요 화기들이 미군으로 부터 공수되어 최신화 되었고 파병인원들의 군 보급품 대부분을 우리나라에서 수출하기도 했었으며, 경제 차관도 얻어내서 경부고속도로를 건설하고, 포스코, 카이스트, 국방과학연구소 등의 굵직한 기업 및 기관들을 설립하게 되었다.
그러나 21세기에 오면서 냉전이 종식되자 파병은, 특정국가의 치안을 일약 담당해주는 일종의 지구평화의 성격이 더욱 짙어지기 시작했다. 기존의 파병 개념인 편승개념의 역할분담의 성격과 함께 개념이 확대되기 시작하면서 21세기엔 치안이 안좋은 곳을 대상으로 파병을 보내기도 한다. 가장 적극적인 사례가 바로 미국인데, 국가적인 이익이 첫번째지만 국민들부터가 '''세계의 경찰'''이라는 이상향을 품고 있고, 어느 쪽에 서든 최종보스(?)급이라서 온갖 전쟁을 도맡고 있다. 양차대전부터, 한국전쟁, 베트남 전쟁, 미국-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등 열심히 파병을 했다. 단 소말리아는 예외. 미군은 물론이요, UN마저 GG칠 기세다. 자세한건 해외 주둔 미군 항목 참고.
3. 국군의 해외 파병
- 국군의 파병내역에 대한 것은 대한민국 국군/파병부대 참조.
이라크에 '서희', '제마' 부대와 자이툰 부대를 파병한 전력이 있고, 이외에도 아프가니스탄에 해군 '해성'과 '청마'부대, 육군의 '다산', 오쉬노부대를, 아이티에 '단비' 부대를, 소말리아에 청해부대를, 레바논에 '동명부대' 등을 파견한 바 있다. 현재는 남수단에 남수단 재건지원단를 아랍에미리트에 아크부대 등을 파병했다.
2012년 12월 단비부대가 아이티에서 완전 철군했다. 2013년 파병이 종료될 예정이었던 한빛부대와 청해부대 그리고 아크부대는 2015년 12월 31일까지 파병활동이 예정되어있다. 오쉬노부대는 2014년 6월 23일부로 파병임무를 마치고 해단식을 거쳐서 파병활동이 종료되었다.
현재 2015년 3월까지 부대급 파병에 한해서 청해부대는 소말리아 아덴만 해역에서 해적으로부터 상선들을 보호하고 있으며, 아랍에미리트(UAE)에 파견된 아크부대는 국방협력을 위해 매진하고 있다. 남수단에서는 한빛부대가 평화재건임무를 수행하고 있고, 레바논에서는 동명부대가 여전히 정전감시활동을 지속하며 필리핀에서는 아라우부대가 2014년 12월 22일자로 무사히 임무를 완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