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이오니어 10호

 

[image]
[image]
위의 그림은 조립중인 파이어니어 10호.
1. 개요
2. 목성 탐사
3. 금속판

pioneer 10. (개척자 라는 뜻.)

1. 개요


1972년 3월 3일 발사된 목성 탐사선.
우주탐사 분야에 큰 족적을 남긴 탐사선으로 여러가지 최초 타이틀을 많이 가지고 있다. 최초로 소행성대를 통과한 우주선, 외행성계를 탐사한 첫 번째 탐사선, 목성을 방문한 첫 번째 탐사선, 행성의 인력을 이용하여 진로를 수정한 첫 번째 탐사선, 행성계 밖으로 나간 첫 번째 탐사선 등으로 유명하다.
목성 표면에서 132,250km 상공을 스쳐 지나가면서 목성의 자기장에 대한 정보를 전송했으며, 목성의 그 막대한 방사능을 이겨낸 최초의 탐사선이기도 하다.[1] 또한 스윙바이로 속도를 높이고 진로를 수정했다. 보이저 1, 2호를 비롯하여 갈릴레오, 카시니 등 파이오니어 10호 이후의 외행성 탐사선들은 대부분 이 방법을 사용했다.
2003년 1월 23일 마지막 교신을 끝으로 파이어니어 10호는 통신이 두절되었고, 2006년 3월 4일에 최종 교신을 시도했으나 역시나 응답이 오지 않아서 최종적으로 프로젝트가 종료되었다. 원인은 내장된 핵전지의 효율이 다해 탐사선을 작동시킬만한 전력생산이 불가능해졌기 때문. 다만, 탐사선 자체가 파괴된 건 아니므로 소행성 등에 부딪히거나 하지 않았다면 지금 이 시간에도 우주 어딘가를 향해 날아가고 있을 것이다.

2. 목성 탐사


[image]
발사된지 1년반이 지나고 1974년 12월 3일 최초로 목성에 접근했다. NASA에서는 파이오니어 10호가 목성에 도착하기전에 많은 걱정을 했다. 우주선을 위협하는 방사선뿐 아니라 강력한 자기장, 엄청난 고압의 정전기가 일으키는 우주 번개 등 탐사선을 순식간에 박살낼 위험이 너무나 많았기 때문이다. 그리고 저런 천재지변은 인간의 과학 기술로 막아낼 수 있는 것이 전혀 아니었기 때문에 그냥 운에 맡기고 강행, 결국 성공했다. 하지만 도착하자마자 카메라방사능 측정 장비가 목성의 엄청난 방사선에 못 이겨 일부 고장나는 바람에 사진이 "이게 목성이다"라고만 알아볼 정도로 흐릿하게 왜곡되어 촬영되었다. 방사선이 엄청나다는 사실을 깨달은 NASA는 몇 년 후 발사한 보이저 1, 2호의 컴퓨터와 촬영 장비를 보호하기 위해 상당한 두께의 방사선 차폐물로 강화시켜 탐사하였다.


3. 금속판


천문학자 칼 세이건의 제안으로 '''파이오니어 명함'''을 싣고 떠났다.
[image]
이 명함은 보이저 1, 2호처럼 혹여라도 외우주로 떠나갈 때를 대비한 것으로 24K의 작은 금판에 태양계의 위치와 태양계 내의 모습, 파이오니어 호의 진행방향과 출발위치, 수소원자모형[2], 펄서[3], 남성여성의 모습, 그리고 인간의 체격을 가늠할 수 있도록 뒤에는 탐사선을 그려넣었다. 제작자는 칼 세이건의 '''두번째''' 아내 린다 잘츠먼.
최소한의 공간을 이용해 누구나 알 수 있도록 최대의 정보를 담아 만든다는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그래서인지 설명해주지 않으면 아무도 이해할 수 없을 정도로[4] 어렵고, 너무 백인 남성이 강조되었다는 비판이 있다.
우주선을 뒤로 하고 그려진 남녀는 그리스 조각상과 레오나르도 다 빈치 인체도를 기초로 했다. 원래는 남녀가 손을 잡도록 하려 했으나 그러면 둘이 아닌 하나의 생물로 생각할 가능성을 고려해 손을 떼어놓았다. 나체를 그려넣었다는 비판도 있었으나 옷을 입은 상태가 기본 신체라고 생각할 가능성을 고려해 나체로 그렸다. 다만 여성의 생식기는 우주선에 탑재되는 대가로 삭제되었다. 이 역시도 외계인이 인체의 모습에 대해 오해할 여지를 만든 것이라 상당히 아쉬운 부분이다.
펄서를 사용해 태양계의 위치를 나타낸 그림은 그다지 쓸모 없다는 말이 나왔다. 이유인즉 우리 은하에는 펄서가 무려 10억개(!)쯤 존재할 것으로 추측되며, 펄서들은 특정 각도에서만 펄스 신호를 관측할 수 있는데다가, 세차운동 등으로 인해 그 관측 가능한 각도도 예측할 수 없는 방향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21세기 들어 외계 행성이 무더기로 발견되면서, 차라리 태양계의 물리적인 수치들(태양의 직경, 행성들의 직경, 공전 주기/거리 등)을 나타낸 그림이 더 효과적이라는 견해가 나왔다.
그 후 칼 세이건은 보이저호에 지구에 대한 더 많은 정보를 담은 골든 레코드를 싣는 프로젝트를 주도하게 된다.

[1] 플라이트 컴퓨터를 제외한 카메라와 일부 측정장비들은 죄다 고장났다.[2] 과학적 이해도를 알리기 위해 우주에서 가장 흔한 원소수소를 택함. 또한 거리의 기본단위로 사용하기 위해 2진법으로 수치가 기록되어 있다.[3] 방사형 선. 태양계로부터 각 펄서까지의 상대거리가 표시되어 있다. 그 옆에는 은하면에서 각 펄서의 위치까지 상대거리가 표시. 15개나 펄서와의 거리를 기록한 것은 펄서가 소멸되었을 때 남은 펄서로 삼각측량을 할 수 있도록 함.[4] 우리의 언어는 인간만이 알아들을수 있어 자연의 법칙으로 설명되있기 때문(수소의 원자모형 외 다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