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처링

 


1. 개요
2. 설명


1. 개요


피처링(featuring)은 가요에서 원래 가수가 아닌 다른 가수가 해당 곡의 특정 부분을 불러 주거나 악기를 연주하는 것을 의미한다. 가수가 자신의 필요에 따라, 또는 커다란 명성을 얻은 가수에게 피처링을 담당시켜 해당 가수의 들을 끌어들이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특히 프로듀싱이 주가 되는 앨범이라면 거의 매 트랙이 피처링. 이나 보컬뿐 아니라 악기 연주 및 DJ 등 다른 분야에 피처링의 개념을 도입하는 경우도 있다. 노래에 (feat.~)라고 붙어있는 노래가 피처링을 한 노래이며 전술한 (feat.~)의 ~ 부분이 피처링을 담당한 아티스트이다.

2. 설명


피처링이라는 용어는 20세기 중반 본래 영국의 음악 차트들에서 유래되었다고도 알려져 있지만 보다 엄밀한 의미로 피처링이 대중의 인식에서 등장하고 발전한건 1990년대부터이며, 힙합의 발전과 맥을 같이하고 있다. 1990년 7월 글렌 메데이로스가 부르고 바비 브라운이 랩을 맡은 <She Ain’t Worth It>은 최초로 feat.라는 용어를 빌보드차트 1위에 등장시킨 곡으로 이전에도 피처링 곡은 여럿 있었지만 본격적인 의미에서 피처링 대상을 내세운 곡은 많지 않았다.
예컨대 1940년의 토미 도시와 프랭크 시나트라가 만든 <I’ll Never Smile Again>이었지만 당시엔 시나트라보다는 도시가 더 유명했기에 시나트라의 이름은 어디에도 올라와있지 않았다. 그나마 이러한 부분의 예외가 60년대의 비틀즈였는데 비틀즈는 1969년의 싱글 <Get Back>에 대해서 비틀즈와 빌리 프레스턴이라는 이름을 명기했다.[1]
이러한 부분이 변화한 건 80년대 힙합의 주류업계 진출과 큰 관련이 있는데 힙합분야는 다른 어떤 음악장르보다도 래퍼와 프로듀서의 협력이 중요한 분야였기때문에 이들이 서로의 이름 모두를 앨범에 명기하는 경향이 늘어났기때문이다. 특히 랩과 팝분야의 크로스오버 장르가 급격하게 늘어나면서 아예 협업을 전제로하는 곡들까지 나타나기 시작했고 결과적으로 이는 <She Ain’t Worth It>같은 곡이 차트 1위를 석권하면서 대중들에게 피처링이 강력하게 인식되게되었다.
철저히 상업적인 이유로 '협업'을 한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피처링은 정식으로 '비용'을 지불하지는 않는다. 피처링을 부탁한 당사자의 개인 신념이나 성격에 따라 '피처링비'를 따로 지급하는 경우도 있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친분 관계'를 통한 것이기 때문에 지불하지 않는 경우가 '''보통'''이다. 해석에 따라 논란이 될 수도 있는 부분이지만, 위에도 언급했듯 '상업적인 이유로 협업'을 한 경우라면 당연히 피처링비 명목으로 비용을 지불할 수밖에 없고, 친분관계를 통해 피처링을 '받은' 경우라면 애초에 '거부권'을 행사할 여지가 있기 때문에 보통 따로 비용을 받지 않아도 넘어가는 편이다.[2] 성시경이 '''농담삼아''' 말하길 토이가 가요계를 다 망쳐놨다고... [3]
보통 힙합 가수들의 노래들에서 피처링은 다른 가수가 노래의 후렴구 보컬을 불러 주거나 다른 래퍼들이 랩을 작사해서 부르는 경우가 많고, 힙합 가수들을 제외한 다른 가수들의 노래들에서 피처링은 다른 보컬이나 래퍼가 몇 소절을 불러주는 경우가 많다. 내레이션은 (Narr. 내레이션을 해준 사람)으로 표현하고, 듀엣곡은 (Duet. 듀엣을 같이 한 가수)으로 표현한다.

[1] 다만 빌리 프레스턴의 사례는 빌리 프레스턴과 비틀즈의 관계가 매우 돈독했기에 나온 예외적인 사례에 가까웠고 비틀즈와 협업한 다른 아티스트들 또한 이런 기회를 얻을 수 있었던건 아니었다.[2] 다만 저작인접권에 의해 실연료가 나온다.[3] '''싱어'''송라이터조정치가 2집 타이틀을 본인이 부르지 않고 피처링으로(정준일이 보컬을 맡았다.) 해결한 것에 대해, 조정치 본인과 이야기를 하다가 나온 발언. 성시경 스스로도 윤종신의 곡에 피처링 을 한 지 얼마 안 된 시점이기도 했다. 대신 윤종신을 2013년말 음악도시 종무식 사회자(?)로 세웠으니, 나름 상환받았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