앨범

 


1. 어원
3. 음반의 형태
3.1. 역사
3.2. 기준
3.3. 내용에 따른 분류
3.4. 한국에서
3.5. 영문 명칭
4. 관련 문서


1. 어원


Album의 어원은 흰색을 의미하는 라틴어 ‘albus’이며, 기록을 위한 흰색 석판을 의미했다. 현재는 수집, 보존의 의미가 덧대여져 사진 보존, 우표 보존, 음악 보존 등을 위한 책이나 음반 등에 Album이란 단어가 쓰인다.

2. 사진첩




3. 음반의 형태


8곡 이상의 곡, 또는 이 정도의 재생시간을 가진 음반.[1]

3.1. 역사


'''Thriller'''
'''마이클 잭슨Thriller는 역사상 가장 많이 팔린 앨범이다.'''
음악 모음을 '앨범'이라고 부르게 된 계기는 20세기 초 SP를 사용하던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 SP는 당시 기술 한계상 한 면에 한 곡을 담는 정도가 한계였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2곡을 SP 1장에 담아서 파는 것이 정석이었다. 그러다가 이 SP를 하나씩 팔지 않고 묶어서 팔면 더 많이 팔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아이디어가 생겨났고 1909년, 처음으로 호두까기 인형 모음곡의 8곡을 양면 디스크 4장에 담아 발매하는 마케팅이 이루어졌다. 이 디스크 모음집들은 보관하기 좋게 책처럼 생긴 패키지에 담겨져 있었다. 이후로 많은 제작사들이 이를 따라하여 디스크를 한장씩 파는 대신에 적절한 재생시간을 가진 여러 장을 묶어 발매하기 시작했고, 이 패키지가 사진첩 같은 모양이었으므로 자연스레 '''앨범'''으로 불리게 되었다.
이후 레코드 시장에서 앨범을 만들어 판매하는 것이 주가 되자, 가수의 음반 발매도 '앨범'하나를 채울 수 있을만큼 모아서 내는 것이 정석이 되었다. 이전까지는 모든 음악 발매는 곡 하나만을 내놓았기에 별도로 부르는 명칭이 없었지만 '앨범'이라는 개념이 생겨나자 이와 구분짓기 위해 곡 하나만을 발매하는 것을 따로 싱글이라고 지칭하게 되었다.
시간이 지나 등장한 LP는 이전까지 SP 여러 장으로 이루어지던 앨범을 한 번에 실을 수 있을 정도의 재생시간을 가졌다. 그래서 레코드판 하나가 이전까지의 앨범과 비슷한 수의 곡을 담고 있었지만, 이미 '앨범'은 다수의 곡을 모은 음악 모음이라는 의미로도 확장되었기에 더이상 '사진첩'과 같은 형태로 발매되지 않음에도 앨범이라는 명칭으로 불렸다. 이는 사진첩 모양은 커녕 물리적인 제품이 없는 디지털 음반도 '앨범'이라고 부르는 등 현재도 마찬가지다.
다만 45 rpm 싱글 포맷의 개발사인 RCA Victor는 SP 시절처럼 디스크 여러 장을 담아 앨범을 발매할 계획도 있었고, 이렇게 발매된 앨범들도 있다.[2] 물론 LP의 압도적인 시장 지배력을 뛰어넘을 수는 없었다.
곧 이어 나온 카세트테이프CD는 LP보다 약간 긴 재생시간을 가졌고, LP가 가진 앨범용 매체로써의 자리를 순차적으로 가져왔다. 현대에는 '''앨범'''이라는 개념 자체가 쇠퇴하는 중이라고 볼 수 있는데, 대중음악의 판도가 앨범 대신 싱글, 특히 디지털 싱글을 만들어 파는 것으로 바뀌었기 때문이다.

3.2. 기준


흔히 8곡 이상, LPCD등의 재생시간을 거의 채운 경우에 앨범으로 일컫는다.
수록곡 수에 따라서는, 1~3곡 정도라면 싱글, 4~7곡 정도라면 EP(미니앨범)[3], 8곡 이상 풀 패키지일 경우 앨범으로 보는 게 일반적이다.[4]

3.3. 내용에 따른 분류


  • 정규 앨범 : 스튜디오 앨범이라고도 한다. 말 그대로 스튜디오에서 녹음해서 프로듀싱, 믹싱, 마스터링 등의 과정을 거쳐서 앨범으로 발매된 것이다. 앨범의 대부분은 정규 앨범이고, 음악가[5]의 디스코그래피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지는 것도 정규 앨범이다. 한국에서는 1집, 2집, ... 으로 부르는 그것이다.
  • 라이브 앨범 : 스튜디오가 아닌, 공연 실황 등을 녹음한 앨범.
  • 컴필레이션 앨범 : 편집 앨범이라고도 한다. 여러 곳에서 온 여러 곡들을 적절히 편집해 묶어서 내놓은 앨범. 문서 참조
이 외에도 다양한 내용, 형식이 있지만 여기에는 주로 앨범에 한정된 것만 적었다.[6]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면 음반 문서를 보자.

3.4. 한국에서


한국에서의 앨범(Album)이란 단어는 음반(Record)[7]이란 단어와 혼용되고 있다. 일례로, '''"싱글 앨범"'''이란 단어가 아무렇지도 않게 쓰이고 있다. 심지어 국어 사전에서도 앨범과 음반을 동의어로 취급할 정도이다.
그 이유인 즉, 음반시장이 성장할 시기 한국에서는 싱글이나 EP 음반이 없었던 것이 원인이었다. 1910년대~1960년대까지는 한국에서도 SP 음반이 나왔으나 상기했듯 LP가 개발되고 SP가 사장되는 과정에서 장시간 기록이 가능한 LP가 있는데 별도로 7인치 등의 싱글 레코드를 만드는 것이 비경제적이라는 이유로 앨범만을 만들게 된 것이다. 모든 음반이 앨범이었으며, 혼용해서 사용해도 그 동안 문제될 것이 없었기 때문이다.
2000년대 디지털 음원 시대가 시작되고 "CD 한 장"만큼 꽉 채워야 한다는 생각도 없어지면서 한국에서도 디지털 싱글이라는 싱글 음반의 시대가 열렸고[8], 이제 용어의 카오스가 시작되었다. '앨범과 음반은 같은 말이다.' '음반을 영어로 하면 앨범이다.'란 인식은 쉽게 고쳐지지 않았고 '싱글 음반'이라 해야할 것을 '싱글 앨범'이라 부르는 황당한 일이 자주 벌어졌다. 참고 포스트 다시 한 번 말하자면, '''앨범은 음반의 하위 개념이지, 동의어가 아니며, 싱글과 앨범은 양립할 수 없는 관계다.'''
특이점으로 다른 나라와 달리 정규 앨범에 제목을 붙여주는게 상당히 늦었던 편이다. 1980년대 초만하더라도 제목 없이 1집, 2집으로 부르고 커버에 타이틀곡을 병기하는 방식이 대다수였다.[9] 그러다 1980년대 중후반부터 시나위, 어떤날, 시인과 촌장, 유재하 같은 젊은 뮤지션들이 앨범 제목을 붙이기 시작하면서 한국에서도 앨범 제목을 붙이기 시작했다. 하지만 그 여파로 앨범 아트에다 몇 집인지 병기하는 경우가 종종 보인다.

3.5. 영문 명칭


국내 기획사들이 정규 앨범을 영어로 나타낼 때 쓰는 단어들이다.
  • Album
  • Full-Length Album
  • Full Album
  • Studio Album
  • Regular Album
  • Original Album

4. 관련 문서


[1] 대부분 8곡 이상 수록, 러닝타임이 30분 이상인 음반을 앨범이라고 칭한다.[2] 예를 들면 이 앨범교향곡 제5번(베토벤)을 4장에 담았다.[3] 다만 싱글과 EP의 구분은 애매하다. 각각 문서를 읽어보자.[4] 영국에서는 음반을 구분할 때 이 기준을 따른다.[5] 작곡가의 경우는 프로듀싱, 지휘 등을 하지 않는다면 발매한 음반 자체가 중요한 것이 아니므로 보통 제외한다.[6] 라이브 EP, 컴필레이션 EP 등은 찾아보기 힘들다는 말이다.[7] CDDVD같은 ODD 매체가 퇴출되는 지금은 이 용어도 수정될 여지가 있다. 일본의 경우 굳이 음반을 총칭할 경우 그냥 CD라고 부른다.[8] 예를 들어 뮤직뱅크에 오르는데 노래 한 곡이면 충분하다. 노래 한 곡 넣고 CD를 비우자니 여백이 아까워서 그 동안 싱글을 내놓지 않았을 뿐. 싱글용으로 미니CD가 있긴 한데, CD보다 제작비가 그리 싼 것도 아니었다. 다만 이 쪽은 표준 크기도 아닐 뿐더러 규격상 들어가지 않는 기기들(특히 슬롯 로딩 방식)이 많은지라 이 포맷의 싱글이 특히 많았던 일본에서도 2000년대 이후로는 안 쓰이는 추세다.[9] 1970년대에도 앨범 제목을 꼬박꼬박 붙인 한대수는 희귀한 케이스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