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크노섬유

 

[image]
피크노섬유에 덮인 익룡들의 복원도. 왼쪽에서부터 아누로그나투스, 아낭구에라, 프테로닥틸루스, 프테로링쿠스, 노립테루스
[image]
중국에서 발굴된 이름 없는 아누로그나투스류의 피크노섬유 화석.논문 링크
'''Pycnofiber'''
1. 개요
2. 피크노섬유가 보존된 익룡
3. 기타


1. 개요


익룡의 몸 겉을 덮은 털과 비슷한 형태의 구조물. 포유류의 털과 겉보기에는 똑같아 보이지만 사실 진짜 털과는 구조가 조금씩 다르기 때문에 익룡에게서 독자적으로 진화된 구조물로 여겨진다.
이것이 학계에 알려진 것은 1831년 스카포그나투스의 화석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였지만 이 때는 별 주목을 받지 못했으며, 1971년 소르데스의 온 몸을 뒤덮은 피크노섬유 화석이 발견되면서 익룡이 온혈동물이었을 가능성을 조금씩 제공해 주었다. 그리고 2000년대 피크노섬유가 온전하게 보존된 많은 익룡들의 화석이 (주로 중국에서) 발견되면서 학계의 정설로 자리잡게 되었고, 이에 발가벗은 비행 파충류였던 익룡의 복원은 복슬복슬한 네 발로 걷는 새처럼 변하게 되었다.
공룡의 깃털처럼 곁가지가 돋아난 형태는 아닌 탓에[1] 비행에 도움을 주는 구조물은 아니었으며, 날아다니는 동안 체온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진화시킨 것으로 여겨진다. 꽤 유연한 구조였으며 길이는 많이 길지 않은데, 일부 표본에서는 단지 5~7mm 길이의 섬유로 덮인 모습도 볼 수 있었다.

2. 피크노섬유가 보존된 익룡



3. 기타


이 피크노섬유의 존재는 꽤나 일찍 밝혀진 사실인데도 불구하고 2010년대 이전의 고생물 다큐멘터리들 사이에서 제대로 반영된 적이 없었다고 한다(...).

[1] 프테로링쿠스와 일부 아누로그나투스류에게서는 곁가지가 돋아난 피크노섬유가 관측된 바가 있지만, 단지 파손된 날개섬유나 피크노섬유라는 반론도 있다.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