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부르크 대학교

 


'''함부르크 대학교'''
'''Universität Hamburg'''
[image]
20146 Hamburg
표어
'''Der Forschung, der Lehre, der Bildung'''
('''연구, 가르침, 교육''')
개교
'''1919년'''
국가
'''독일''' [image]
총장
'''마틴 헤흐트 (Martin Hecht)'''
위치
'''독일''' '''함부르크'''
학생 수
'''48,582명'''
교직원 수
'''5,382명'''
웹사이트
https://www.uni-hamburg.de
[image]
1. 개요
2. 역사
2.1. 초창기
2.2. 짧은 전성기와 몰락
2.3. 부활
3. 평가
4. 입학 및 수업과정
4.1. 입학요건
4.2. 어학시험
4.3. 수업기간
4.4. 학위
4.5. 단과대학 구성
4.6. 학생 숫자
5. 단과대학
6. 캠퍼스
7. 출신 인물
8. 관련 문서


1. 개요


Universität Hamburg. 독일 함부르크 시 폰멜레파크에 위치한 국립대학. 학생 숫자가 무려 4만여명으로 독일 내에서 규모로 10위권 내에 들어간다. 독일연방공화국의 제5대 수상이었던 헬무트 슈미트와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한스 다니엘 옌젠, 세계적인 석학 피터 드러커 등이 이곳을 졸업했다.

2. 역사



2.1. 초창기


함부르크 대학교의 뿌리는 1613년의 '대학 김나지움'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하지만 270년간 존속해오던 이 준대학교육기관은 청강생의 부족으로 1883년 문을 닫게 되고, 1895년에야 '일반교양강좌'로 부활하게 된다. 여기서는 일반공공교육 외에도 행정관료, 세리, 전문의, 상인, 약사, 교사의 직업교육이 이루어졌으며, 207명의 강사, 4,300명의 학생이 300개의 강좌에 참가했다. 이 밖에도 함부르크에는 1821년에 식물원, 1833년에 천문대, 1878년에 화학연구소, 1885년에 물리학연구소, 1900년에 항해병 및 열대병연구소가 설립되었으며, 1892년에는 일반교양강좌 강사들이 공동으로 교수회의를 구성했다.
종합대학교 설립의 기운이 무르익게 된 것은 1907년에 함부르크학술재단이 설립되고, 1908년에 식민지연구소가 설립되면서부터이다. 특히 식민지연구소는 전세계의 자료수집을 통한 해외정보센터로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다. 1911년에는 함부르크의 대상인 에드문드 지머스가 일반교양강좌를 위해 오늘날의 본관건물을 만들어주었다. 그의 이름은 거리의 명칭이 되어 오늘날까지도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이를 기초로 종합대학교를 세우려 한 당시 시장 베르너 폰 멜레의 구상은 계급의회의 반대에 부딪치고 만다. 당시 함부르크의 대상인집단은 함부르크의 성격을 영원히 순수한 국제대상업도시로 제한시키려 했으며, 새롭게 교수집단이 지배집단으로 등장하는 것을 두려워했기 때문이었다. 하지만 1차대전후 민주주의원칙에 따라 구성된 민주의회는 폰 멜레의 구상을 지지했고, 1919년에 드디어 종합대학교 함부르크는 개교하였다. 이처럼 함부르크 대학교는 대부분의 다른 독일대학교처럼 분방군주의 고급스런 취미로 만들어진 대학교가 아니라, 서민계급의 전문지식에 대한 수요로 만들어진 대학교이다.

2.2. 짧은 전성기와 몰락


바이마르 공화국하에서 젊은 대학교 함부르크는 빠른 속도로 국제적 수준에 진입한다. 유명한 철학자 에른스트 카시러, 심리학자 윌리암 스턴, 물리학자 오토 슈테른 등이 모두 이때의 함부르크 대학교를 빛낸 인물들이다. 하지만 나치는 이들을 비롯한 50명의 유명교수들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몰아내었고, 백장미단의 함부르크지회 학생들을 모조리 처형함으로써 함부르크 대학교의 짧은 전성기를 종식시켰다.

2.3. 부활


하지만 1945년 함부르크 대학교는 부활하였고, 1954년에는 전통의 법대, 의대, 철학대, 자연대의 4개 단과대를 신학대와 사회대 포함 6개 단과대로 확대했다. 학생수는 1950년의 6천명에서, 1960년에는 12,600명으로, 1970년에는 19,200명으로 늘어났고, 오늘날에는 4만명(휴학생까지 다 합치면 4만 2천명)까지 늘어나, 독일에서 다섯번째로 많은 학생수가 되었다.

3. 평가


독일은 기본적으로 모든 국립대학들이 평준화되어 있지만, 그래도 언론사에서 각 대학교의 평가를 내리는 경우가 종종 있다. 함부르크대학교는 그러한 평가 가운데 역동성, 교수확보율 등의 수치에서 독일 내 최상위권에 속하는, 아주 현대적이고 매력적인 대학교 가운데 하나이다.

4. 입학 및 수업과정



4.1. 입학요건


독일의 다른 대학들이 다 그런 것처럼 고등학교 과정과 별도로 1년 이상의 교양과정을 이수하고 대학입학자격시험(아비투어)에 합격해야만 입학이 가능하다. 그리고 학과별로 정원제한이 있기 때문에 몇몇 학과의 경우 학력이 매우 우수해야만 입학이 가능하다. 함부르크 대학교에서도 많은 학과(예를 들어 의학, 치의학, 법학, 건축학)는 수요가 공급을 초과하기 때문에, 그 정원 내에 들어가는 것이 무척이나 힘들다.

4.2. 어학시험


외국인이 함부르크 대학교에 입학하기 위해서는 인문사회계열의 경우 어학시험에 합격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그런데 문제는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DSH (= Deutsche Sprachpruefung fuer den Hochschulzugang) 라는 이름의, 듣기 평가(150점), 독해(150점), 구문전환(150점), 작문(150점), 그리고 면접 및 구술시험으로 나뉘어지는 독일연방공화국내 공통어학시험이 전혀 인정을 받을 수 없다는 데 있다. 실제로 위의 DSH시험은 독일문화원 같은 데서 얼렁뚱땅 합격시켜 버리는 예가 흔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DSH에 합격했다 해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어학시험을 한번 더 보아야 하며, 이 시험에서 불합격하면 전공 대신 집중어학과정으로 떨어지게 되니, DSH시험에 합격했다고 미리 좋아하면 절대 안 된다.
함부르크 대학교의 어학시험은 약 30분간의 받아쓰기와 약 50분간의 듣기평가, 그리고 약 40분 간의 구술시험으로 이루어진다. 받아쓰기는 아주 천천히 불러주지만 어휘가 어렵고 쉼표는 알아서 찍어야 하며, 듣기평가는 아주 빨리 2번만 불러주고서 그 내용을 자기가 알아서 백지에다 적으라고 하니 정말 무식한 시험이다. 구술시험은 전공에 관련된 글 한 장씩을 각자에게 나눠주고서 주욱 한번 읽게 한 다음 그걸 시험관 앞에서 몇 줄 정도 소리내어 읽게 하고(발음시험), 그 다음 그 내용에 관해 자기 언어로 설명할 것을 요구한다(표현능력시험). 설명을 마치면 서너가지 정도 그 설명한 내용에 관해 꽤 어려운 질문을 던지고 그에 대한 답변을 요구한다(이해 및 표현능력시험).
불합격률은 약 30% 정도 되는 것 같고, 합격한 70%도 대부분 전공과 함께 일이년간의 어학과정을 병행해야 한다. 예외적으로 어학시험성적이 상위 약 10% 내에 들면 그 어학과정조차도 면제받게 되지만, 독일어를 거의 모국어처럼 자유자재로 구사하거나 특별히 운이 좋은 사람이 아니면 어학과정면제는 거의 힘들다고 봐야 한다. 어학과정에 들어가면 일주일에 여섯시간의 어학수업을 들어야 하고, 숙제도 엄청 많이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전공에 몰두하기가 매우 힘들다.

4.3. 수업기간


다른 대학과 마찬가지로 함부르크 대학교는 수업기간을 사실상 개인별 학습태도에 맡기고 있다. 언어습득, 직업활동 등에 많은 시간을 투자해야 하는 자는 주어진 표준수업기간동안 학업을 마치는 데 어려움을 가질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구하는 학기는 각 학과별로 정해져 있으며, 대개는 6학기를 요구하지만, 수학, 물리학, 화학, 기상학, 지질학, 전산학 등 자연과학분야와 한국학, 중국학 등 외국학 분야는 8학기를 요구한다. 물론 이는 학부과정이 그렇고, 박사과정은 학기의 개념이 없다.

4.4. 학위


함부르크 대학교에서 디플롬 학위는 특히 공학,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위해 주어진다. 마기스터학위는 정신과학(역사학, 철학, 언어학, 인류학, 민속학, 한국학, 중국학 등) 및 몇몇 사회과학(사회사, 경제사)을 위해 주어진다. 법학, 의학, 치의학, 식품화학, 약학에서는 졸업을 해도 학위가 없고 대신 국가시험을 봐서 자격증을 취득해야 한다(하지만 법과대학의 경우 이미 1988년 이후부터 외국인 학생들을 위해 특별히 마기스터 과정을 마련한 바 있다). 배철러 학위는 새롭게 공대쪽에서 만들어졌으며, 그 밖의 학위는 계획중에 있다.

4.5. 단과대학 구성


함부르크 대학교의 특징은 다른 대학에 비해 의과대학의 비중이 크다는 것이다. 에펜도르프에 있는 함부르크 의과대학은 100년전에 일반병원으로서 세워진 것으로, 19세기 말 콜레라가 창궐할 때 이미 독일 전역에 그 명성을 떨쳤다. 지금 의과대학은 1800개의 병상과 14개의 병원, 14개의 연구소를 갖고 있으며, 3,761명의 학생수는 쾰른대 의대에 맞먹는다. 함부르크 대학교 교수 905명 중에 229명이 의대 교수이고, 교직원 6,386명 중에 5,138명이 의대 교직원이며, 함부르크 대학교 전체 건물 270개 중에 120개가 의대 건물이다.
그러나 함부르크 대학교 학생 중에서 가장 많은 숫자를 차지하고 있는 학생들은 의대생이 아닌 법대생으로 4,919명이나 되며, 그 뒤를 경제학(4,109명), 언어과학(4,022명) 학생들이 따르고 있다(6,038명에 달하는 교직과정생은 별도로 함). 반면 철학사회과학 전공자는 2,488명 밖에 안돼, 다른 대학에 비해 그 비중이 작다는 것을 알 수 있다(예를 들어 쾰른 대학교 철학대학생은 그 숫자가 20,790명, 본 대학교는 15,675명에 이른다). 그밖에 동양학 전공자가 1,471명이나 돼 눈길을 끌고, 심리학(1,362명)과 스포츠과학(375명) 전공자가 많아 특이하다(예를 들어 본 대학교는 각각 791명, 165명에 불과).

4.6. 학생 숫자


함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하는 학생은 매년 4,300명에 지나지 않는다(뮌스터는 5,000명, 뮌헨은 4,618명). 국가시험에 합격하는 학생들은 1,167명, 디플롬이나 마기스터학위를 받아 나가는 학생들도 2,200명에 불과해, 입학은 쉽지만 졸업이 어려움을 알 수 있다. 박사학위를 받는 학생은 의대가 큼에도 불구하고 1년에 겨우 885명 밖에 안된다(뮌헨은 1,354명). 하지만 예산은 교수 숫자가 905명이나 되는 때문인지(쾰른은 520명, 뮌스터는 600명, 뮌헨은 812명), 1999년 기준으로 13억 5천만 마르크에 달해, 졸업은 어려워도 돈은 대단히 많은 대학교라는 것을 알 수 있다(쾰른 대학교 예산은 10억 마르크, 뮌헨은 11억 마르크).

5. 단과대학



6. 캠퍼스


함부르크 대학교의 캠퍼스는 1960년대 중반경 도심의 아우쎈알스터 호수 가까이에 있는 폰멜레파크에 완공되었다. 1970년대 중반에는 수학과와 지리학과를 위한 건물이 도심 약간 북서쪽의 아임스뷔텔에 지어져 캠퍼스의 반경이 더 넓어졌다. 폰멜레파크와 아임스뷔텔의 캠퍼스 부지는 22만 평방미터에 이른다. 물론 이 캠퍼스 밖에도 의대는 전통적으로 도심 북쪽의 에펜도르프에 있었고, 식물원과 식물학연구소는 도시 서부의 플롯벡에, 조선공학연구소는 도심 북동쪽의 밤벡에, 어류생물학연구소는 도심 서쪽의 알토나에, 천문대는 도시 남동쪽 끝의 베어게도르프에 있었으며, 전세계적으로 유명한 원자가속기가 있는 물리학연구소는 도심 서쪽의 바렌펠트에 있어왔다.
여기에 1956년에 튀빙엔에서 이전해온 막스플랑크 비교사법연구소는 도심 한가운데 아우쎈알스터 호수 바로 서쪽에 있다. 1994년 이래로 도심 북서쪽 슈텔링엔에서 부지를 넓히고 있는 전산과학 캠퍼스도 빼놓을 수 없다. 그 밖에도 함부르크 대학교는 19개의 단과대, 80여개의 학과, 다섯 개의 자연과학 전시관과 130개의 도서관, 165개의 연구기관을 보유하고 있는 매머드 대학교이다.

7. 출신 인물


독일연방공화국의 제5대 수상이었던 헬무트 슈미트,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 한스 다니엘 옌젠, 세계적인 경영철학자 피터 드러커, 사회인류학의 시조인 랄프 다렌도르프 등이 이곳 함부르크 대학교를 졸업했다. 20세기 초반 신칸트학파의 거장이었던 에른스트 카시러가 이곳에서 교수생활을 했고, 1943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오토 슈테른과 1945년 노벨 물리학상 수상자인 볼프강 파울리 등도 이곳에서 교수로서 활동한 바 있다. 정치철학계의 거장 프레드 달마이어도 이곳에서 교수직을 담당하였고, 1989년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볼프강 파울도 이곳의 데지연구소에서 연구소장을 역임한 바 있다. 그리고 독일내 비교사법의 최고권위자인 콘라드 쯔바이거트와 하인 쾻츠, 로마법의 권위자 막스 카저, 회사법의 권위자 카스텐 슈미트 등을 비롯한 수많은 법학자들이 이곳의 법과대학(함부르크대학교 법과대학)에서 교수로서 활약하기도 하였다.

8. 관련 문서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