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등함수
1. 개요
identity function · 恒等函數
항등함수란 함수의 한 종류로, '''항등'''적으로 자기 자신과 같은 값을 대응시키는 '''함수'''를 의미한다.
2. 정의
3. 성질
항등함수는 정의역 $$X$$가 주어져 있기만 하면 자연스럽게 정의될 수 있는 함수로, 표기법은 $$\text{id}_X$$, $$i_X$$, $$I_X$$, $$\mathbb 1_X$$[1] , $$i$$등 다양하다. 정의상, 항등함수와 다른 함수 $$f: Y \to X$$, $$g: X \to Z$$를 합성하면, $$\text{id}_X \circ f = f$$ 및 $$g \circ \text{id}_X = g$$임을 알 수 있다.
군론에서, 항등함수는 이름에 걸맞게 항등원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실제로, $$\text{id}_X: X \to X$$는 함수의 합성을 연산으로 하는 군의 항등원이다. 즉,
이 성립한다. 비슷한 이야기로, 군 $$G$$의 자기동형사상을 모은 군 $$(\mathrm{Aut}(G), \circ)$$에서 항등함수 $$\text{id}_G$$는 항등원이 된다.
정의역 $$X$$에 위상이 주어져 있다면 항등함수 $$\text{id}_X$$는 항상 연속함수이고, 미분이 가능할 경우 그 결과는 상수함수가 된다.[2]
4. 관련 함수들
4.1. 포함함수(Inclusion map)
항등함수에서 정의역과 공역이 완전히 같은 것이 아닌, 공역이 정의역을 포함하는 형태로 확장시킨 함수이다. 주로 대수적 위상수학에서 변형수축(Deformation retract)를 다룰 때 쌍으로 같이 등장하는 함수이다.
4.2. 일차함수
정의역 $$X$$가 곱셈, 덧셈이 잘 정의되어 있는 환 구조를 가지고 있다면, 항등함수 $$\text{id}_X$$는 일차함수 중 하나로 생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