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수(시)

 

1. 개요
2. 원문
3. 분석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


시인 정지용이 일본에서 유학생활을 할 때 고향을 그리워하며 쓴 시이다. 현재 고등학교 1학년 교과서에도 등재되어있으며 우리말의 풍부한 구사, 다양한 감각적 이미지로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나타낸다. 작품에서 유년의 추억과 평화롭고 아늑한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역대 필적확인란 문구 중 가장 많이 등장한 시로, 수능에만 3회, 모의평가까지 포함하면 총 5회 나왔다.

2. 원문


넓은 벌 동쪽 끝으로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

얼룩백이[1]

황소[2]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

비인 밭에 밤바람 소리 말을 달리고,

엷은 졸음에 겨운 늙으신 아버지가

짚베개를 돋아 고이시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이 그리워

함부로 쏜 화살을 찾으려

풀섶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전설(傳說)바다에 춤추는 밤물결 같은

검은 귀밑머리 날리는 어린 누이

아무렇지도 않고 예쁠 것도 없는

사철 발 벗은 아내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하늘에는 성근 별

알 수도 없는 모래성으로 발을 옮기고,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

흐릿한 불빛에 돌아앉아 도란도란거리는 곳,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3. 분석


이 시는 고향의 정경을 표현함으로써 화자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하고 있다. '''그곳이 차마 꿈엔들 잊힐 리야''' 라고 각 연의 끝마다 반복되는 후렴구는 리듬감, 운율을 조성하고 화자가 그리움이라는 정서를 집약해 직접적으로 표현해 화자의 정서를 강조하고 있다. 또한 각 연마다 다른 고향의 정경이 나오는데 이러한 각 연의 내용을 구분지어주고 시에 통일성을 부여해 준다.
정지용 시인은 고향의 그리움을 이렇게 후렴구를 반복함에 그치지 않고 시각, 청각, 촉각, 공감각 등 다양한 심상, 즉 감각적 이미지의 사용과 토속적, 향토적 시어들을 사용함으로써 이 시의 정서를 형성하고 있다.
사용된 감각적 이미지(심상)들은 다음과 같다.
  • 전설 바다에 춤추는 밤물결(시각적 심상)
  • 옛이야기 지줄대는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고(청각적 심상)[3]
  •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 지나가는 초라한 지붕(청각적 심상)
  • 풀섭 이슬에 함추름 휘적시던 곳(촉각적 심상)
  • 따가운 햇살을 등에 지고 이삭 줍던 곳(촉각적 심상)
  • 해설피 금빛 게으른 울음을 우는 곳(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시각화)
  • 밤바람소리 말을 달리고(공감각적 심상-청각의 시각화)
또한 이런 시어를 통해 시간적 배경이나 공간적 배경을 알 수 있다.
공간적 배경
1연: 넓은 벌 동쪽 끝, 실개천
2연: 아버지가 주무시는 곳(방 안)
3연: 풀섶 (여기서 풀섶은 '풀숲'의 방언이다)
4연: 이삭 줍던 곳
5연: 도란도란거리는 곳(방 안)
시간적 배경
1연: 해설피(해가 설핏 기울 무렵, 해가 저물어 점차 어둑해질 때)
2연: 질화로에 재가 식어지면(겨울 밤)
3연: 이슬 (새벽)
4연: 따가운 햇살(정오)
5연: 서리 까마귀 우지짖고(서리 까마귀는 늦가을의 까마귀를 말하므로 늦가을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성근별, 흐릿한 불빛 (밤)

4. 여담


김희갑이 작곡한 노래로도 나왔으며, 박인수, 이동원이 불렀다. 실제로 가곡으로 많이 부르는 곡이다. 그런데 박인수는 처음 이 노래를 부른 뒤 클래식계에서 상당한 비난을 받았고 국립 오페라단에서 제명을 당하기까지 했다. 당시만 해도 대중가요와 클래식의 거리감은 매우 컸는데 과감하게 크로스오버를 시도했으니 그 충격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는 시간이 흐르고 성악계의 크로스오버가 자리를 잡으면서 수그러들었다.
  • 옥천군 측은 이 시가 고향에 대한 그리움을 노래한 시인 만큼 이 시를 활용한 마케팅을 적극적으로 펴고 있는데,[4] 반대로 같은 시인이 '고향에 돌아와도 그리던 고향이 아니러뇨'라고 노래한 <고향>은 거의 찾아볼 수 없어 쓴웃음을 짓게 한다.
  • 차이나는 도올 8화에서 도올과 호란이 듀엣으로 이 시를 가사로 한 노래를 불렀다. 굉장히 감동적이므로 감상을 권한다.
  • 2017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필적확인란이 흙에서 자란 내 마음 파아란 하늘빛으로 이 시에서 인용된 것이다.

5. 관련 문서



[1] 2015 개정 교육과정 고1 <국어>(비상교육, 대표저자 박영민)에는 "얼룩빼기"로 서술되어 있다.[2] 품종에 집착하지 말고 '얼룩백이'라는 표현에 주목할 것. 굳이 이 소의 품종을 따지자면 젖소가 아닌 한국 토종소인 칡소를 가리킨다.[3] 또한 실개천이 회돌아 나가는 모습이 묘사 되었으므로 청각과 시각의 복합 감각이라고 볼 수 있다.[4] 옥천군 특산물 브랜드 이름이 꿈엔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