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위구축함

 



1. 개요
2. 상세
3. 계보
4. 영국의 캡틴급 호위함
5. 호위구축함별 제원
5.1. Cannon-캐논급-(경기)급 호위 구축함
6. 호위구축함 목록
6.1. 제2차 세계 대전
6.2. 대한민국에서 퇴역한 호위구축함
7. 관련 문서


1. 개요


護衛驅逐艦, FrigateFF[1] / Destroyer escort
제2차 세계 대전에서 미국이 주로 사용한 등급의 함선. 대부분 1,200 ~ 1,600톤 정도였으며, 같은 시기 구축함들 2,000톤 ~ 4,000톤 사이인 것을 보면 호위구축함은 지금의 초계함, 호위함과 비슷한 위치라 할 수 있다.

2. 상세


주된 임무는 대잠작전 수행과 상륙부대, 해상보급부대, 상선 선단을 호위하는 2선급 함선이었으며, 무장은 대부분 어뢰와 폭뢰에 집중되어 있다. 비슷한 시기에 존재하던 초계함들도 비슷한 임무, 배수량의 군함들이 존재했다. 대표적인 것이 미국의 밀포이급 초계함캐슬급 초계함이다. 특별히 호위구축함이 구축함에 준하는 등급이나 호위함 보다 상위의 체계라는 것을 관련 자료에서는 찾기 힘들고 오히려 초계함 중 비슷한 체급의 함들이 존재하는 것으로 봐서는 중초계함급이나 준호위함급 체급에 더 가까게 보여진다.
이런 미국의 호위구축함들은 제2차세계대전 전후로 타국에 많이 공여되었고, 호위구축함을 지원 받은 국가들은 도입한 군함에 그대로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이란 호칭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지금도 호위구축함이란 명칭을 사용하는 국가들은 일본을 제외하고 대부분 2차세계대전에 공여받은 미국의 낡은 호위구축함을 보유한 제3세계 국가들로 대부분 낙후된 소수의 국가들이다. 이런 국가들도 호위구축함을 퇴역시키면서 호위구축함이란 등급을 사용하지 않고 초계함이나 호위함이란 호칭을 사용하고 있다.
[image]
호위구축함 DE-229 아부쿠마 (아부쿠마급 1번함)
일본만은 자기들이 건조한 아부쿠마급 등에 이 등급을 사용하고 있는데 정확한 이유는 알 수 없다. 일본도 1,000톤 이상 ~ 2,000톤급 미만의 전투 수상함을 대부분 퇴역시키면서 호위구축함 명칭은 아부쿠마급만 사용하고 있다. 이 아부쿠마급이 퇴역하면 일본에서도 2차 세계 대전에나 사용했던 호위구축함이란 명칭은 사라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국 해군도 한때 미국의 캐논급을 공여받으면서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 명칭을 사용하며 DE라는 약어를 군함 번호 앞에 달았으나 캐논급이 모두 퇴역하면서 그러한 명칭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있다.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일시적인 등급으로 호위구축함이라는 등급을 사용하였다. 냉전기 중반까지 미국은 아래와 같은 독특한 분류법을 사용했다. 관련 내용은 순양함 문서 참조.
순양함(CA/CG/CGN) - 프리깃/선도구축함(DL/DLG) - 구축함(DD/DDG) - 호위구축함(DE/DEG)
자세한 내용은 1975년 순양함 격차 논쟁 항목 참조.
한국 군사무기 층에서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 해군이 사용하던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을 대양호위함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3. 계보



4. 영국의 캡틴급 호위함


[image]
HMS Balfour (K464/버클리급 호위구축함/캡틴급 호위함)
제2차세계 대전의 당시의 캡틴급 호위함(Captain-class frigate)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미국
캡틴급 호위함
1,422톤
1,158톤
1943년
1942년 ~ 1943년, 미국은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과 비슷한 계열의 군함을 제작하여 영국에 인도하였다. 영국은 이 군함들에 캡틴급 호위함(Captain-class frigate)이란 호칭을 사용하였다.[2]

5. 호위구축함별 제원



5.1. Cannon-캐논급-(경기)급 호위 구축함


제원
배수량
표준 1,240 톤 (만재 1,620 톤)
전장
306 ft (93 m)
전폭
37 ft (11.3 m)
흘수
36 ft 8 in (11.2 m) 기준
추진력
4 GM Mod. 전기 드라이브 6000 shp
2대의 16-278A 디젤 엔진
속도
21 노트 (42 km/h)
항속거리
10.800 nm, 12 노트
승조원
195명(장교 15명)
무장
함포
3문 x Mk-22 3 in/50 cal(76.2 mm) 포
1문 x Mk-1 40 mm 포
8문 x Mk-4 20 mm 포
대잠
3문 x Mk-15 324 mm 대잠어뢰발사관
3문 x (533 mm) 어뢰 발사관
1문 x Mk-10 헤지호그(hedgehog) 폭뢰 발사관
8대 x Mk-6폭뢰 발사관
2발 x 예비 Mk-9 폭뢰

6. 호위구축함 목록



6.1. 제2차 세계 대전


제2차 세계 대전의 당시의 호위구축함(destroyer escort)
제조/운용국
함급
만재(전투)배수량
기준 배수량
취역
미국
데커급[3]
1,430톤
1,140톤
1943년 5월 3일
미국
에바츠급[4]
1,450톤
1,160톤
1943년 4월 15일
미국/자유 프랑스
우아즈급[5]
1,646톤
1,260톤
1944년 1월 23일
미국/기타 국가
캐논급[6]
1,620톤
1,240톤
1943년 9월 26일
미국
존 C. 버틀러급
1,430톤
1,140톤
1944년 3월 31일

6.2. 대한민국에서 퇴역한 호위구축함


한국명(함선종류)
미국명
DE-71 경기함 (캐논급)
DE-770 Muir
DE-72 강원함 (캐논급)
DE 771 Sutton
DE-73 충남함 (로데로급)
DE-706 Holt
PF-81 경남함 (로데로급)
DE-712 Cavallaro
PG-82 아산함 (로데로급)
DE-598 Harry L. Corl
PG-83 웅포함 (로데로급)
DE-600 Julius A Raven
PF-85 경북함 (버클리급)
DE-207 Kephart
PG-86 전남함 (버클리급)
DE-212 Hayter
PF-87 제주함 (로데로급)
DE-236 William M. Hobby

7. 관련 문서



[1] 일부 사전에서는 호위구축함을 FF라 표시하고 있다. 호위구축함이 미국이 주로 사용하고 영국이 미국에서 도입한 호위구축함을 캡틴급 호위함이라 지칭한 것에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2] http://en.wikipedia.org/wiki/Captain_class_frigate[3] USS_Decker[4] Evarts_class[5] http://en.wikipedia.org/wiki/FFL_Alg%C3%A9rien[6] http://en.wikipedia.org/wiki/Cannon_class_destroyer_escort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