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색체육관

 


'''회색체육관'''
'''ニビジム'''
''Pewter Gym''

[image]
'''지방'''
관동지방
'''위치'''
회색시티
'''체육관 관장'''

'''배지'''
[image]
회색배지
'''주된 타입'''

1. 개요
2. 삽화
3. 기타


1. 개요


포켓몬스터 시리즈의 시설.
포켓몬스터 시리즈 첫 체육관이자 관동지방의 첫 체육관으로 첫번째 배지인 회색배지를 얻을 수 있다. 구조가 매우 단순하게 되어있으며, 몇몇 세대에서는 트레이너와 배틀하지 않아도 바로 과 배틀이 가능하다.
체육관 내의 트레이너는 3세대까지 1명이었다가 HGSS 시리즈부터 1명이 추가되어 2명이 되었다.
레츠고 시리즈에서는 풀 타입 또는 물 타입이 파티에 있다는 조건 하에 체육관 시합이 가능하다.[1]

2. 삽화


1세대
2세대
3세대
[image]
[image]
[image]
4세대
[image]
회색체육관 내부
[image]
[image]
[image]
애니메이션에서의 회색체육관

3. 기타


  • 1세대의 체육관 내에 있는 캠프보이는 배틀 이전에 광년을 시간 단위로 착각하는 대사를 했다가 패배 직후 대사에서 정정한다. 파이어레드, 리프그린, 레츠고 시리즈에서도 똑같이 나온다.
  • 포켓몬스터 무인편 5화에서 첫 등장. 한지우에게 합류한 후 웅의 아버지 무능해가 다시 관장직을 맡다가 아내 미즈호에게 패배하는 등 관장직이 자주 바뀌었다. 우여곡절 끝에 현재 체육관은 지로가[2] 맡고 있다.[3] 이때문에 폐쇄 위기까지 처했으나 웅의 도움으로 간신히 유지되고 있다. 유서깊다는 웅이의 설명과는 달리 가장 많이 등장하는 체육관중에 하나지만 가장 많이 굴욕당하는 체육관이다. 체육관 크기가 엄청난지 많은 포켓몬들이 있다. 원작에서는 바위타입 전문이고 애니에서도 크게 다르진 않지만 무능해의 아내 미즈호의 영향으로 물 타입도 키운다. 다만 웅이는 물 타입을 키우는건 용납하지만[4] 회색체육관의 전문 타입을 바꾸는건 싫어한다.[5] 자식들도 부모의 의견보다는 웅이의 의견에 동조하는 편.[6]
  • 포켓몬스터 오리진에서는 1화에서 등장했으며 상록체육관과 같이 다른 체육관전과 달리 스킵되지 않았다.

[1] 초보들의 약점 공략을 돕기 위한 조치라고 설명이 나온다. 파이리나 피카츄를 이용한 원탑 플레이로 피를 보는 경우가 있었기에 모다피덩굴채찍이나 뚜벅쵸흡수로 간편히 깨라고 만든 것이다.[2] 웅이 바로 아래 동생 일본어 이름도 둘째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그래서인지 더빙판에서는 둘째라고 불린다.[3] 순서가 무능해-웅-무능해(형식상 웅)-지로 순이다.[4] 어차피 본인도 늪짱이, 로파파를 키우고 있다.[5] 근데 다른 건 몰라도 오랜만에 돌아왔더니 체육관이 물바다가 되어있으니 화가 날만하다. 미즈호는 뭔가에 꽂히면 한동안 거기에 올인하지만, 금방 질려버리기도 하고. 애초에 이 부모라는 양반들이 자기네들을 버리고 갔었기 때문에 웅이는 쌓인게 많았다.[6] 특히 형과 아버지의 싸움을 보며 바위타입 트레이너가 되어 체육관 관장이 되는 꿈을 키워왔던 지로의 반대가 심했고, 그런 지로를 보고 화를 낼뿐 부모의 결정에는 별말을 안하던 웅이가 직접 나서게 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