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q2w3e4r

 

1. 개요
2. 상세
3. 원인


1. 개요


대한민국 국군을 비롯한 대한민국 관공서의 PC CMOS 비밀번호[1]와 계정 비밀번호로 널리 사용됐던 문자열.

2. 상세


보통 1q2w3e4r!!이나 1q2w3e4r@# 등 특수문자 1~2개를 뒤에 붙여 사용한다. 군대를 비롯한 관청에서는 컴퓨터 비밀번호에 대해 "영문자, 숫자, 특수문자를 섞을 것", "10자 이상일 것", "특정 문자가 연속되지 않을 것", "1개월 주기로 교체할 것" 등의 보안 지침을 정해놓고 있는데, 현실은 1q2w3e4r에 달마다 뒤에 특수문자를 바꾸면서 땜빵하고 있다.[2] 거기에 이것을 포스트잇에 적어서 모니터 하단이나 키보드 밑에 붙여놓기까지 한다.
아무리 잘 만든 지침이라도 요리조리 빠져나가면 그만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대표적인 탁상행정의 산물. 일부 군필자들의 추측에 의하면, 행정보급관을 비롯한 군대 간부의 95%는 이 문자열의 변종을 계정 비번으로 쓰고 있을 것이라고 한다.
군부대나 관공서에서 너무 자주 사용되다보니 군필자들이나 공무원 사이에서는 농담삼아서 이 번호를 누출하면 국가기밀, 군사기밀 유출로 처벌받는다는 개드립이 나돌았을 정도. 다만 워낙 널리 사용되며 너무 유명해진 탓에 보안감사만 하면 간부들이 조인트를 까이며 탈탈 털린 결과 이 번호가 쓰이는 경우는 많이 줄어들었고, 다양한 변종이 등장했다.
2016년 정부서울청사에 공시생이 침입해 합격자 명단을 조작한 사건이 공개되자, 많은 남성들 사이에서 다시 한 번 이 비밀번호가 회자되었다.[3]
그 외에는 군수12#$, 인사12#$, 수송12#$ 등이 있다. 사실 '소속 부서나 담당자 본인의 이름+숫자 한두개+특수문자 한두개'로 구성된 것들.
해당 암호가 알려지며 문제가 되자, 현재는 또 ㅂㅈㄷ123 등으로 바뀌고 있는 추세다.
그런데 이렇게 형식적으로 비번을 설정하는 것은 사실 해외도 별반 다르지 않다. 가령 미국 핵가방발사 코드 비밀번호가 15년간 '0' 8개였다든가... 물론 핵무기를 진짜로 발사하려면 삼엄한 경비 하에 군 통수권자에게 수동으로 승인을 받아야 하니 기껏 해킹한들 발사할 수 있는 권한은 얻어내지 못해서 그런다지만...


3. 원인


군대나 공공기관에서 사용하는 계정들은 대부분 개인계정처럼 사용자 혼자서 사용하는 계정 뿐만 아니라 화상회의, 시스템 접속 계정 등 집단 및 조직에서 사용하는 공용계정들도 많고 이러한 계정들은 여러 사람이 접속 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현실적으로 다양한 비밀번호 및 예측이 어려운 패턴을 사용한 비밀번호를 주기적으로 바꿔 사용하게 되면 업무에 혼란이 일어난다. 특히 이 계정들은 비밀번호를 연속으로 몇 번[4] 틀리면 계정이 잠겨 접속이 제한되는 경우가 많다. 이 제한을 풀기 위해서는 해당 체계를 관리하는 부서에 연락을 해서 비밀번호 초기화 등을 통해 계정에 걸린 제한을 풀어야 하지만, 이 과정에서 시간이 걸리는 건 물론, 부서장 또는 지휘관 확인서 등 필요한 서류를 떼서 관리 부서에 보내주어야 비로소 계정이 다시 사용이 가능해지는 번거로운 절차가 포함되기도 한다. 그 과정에서 비밀번호를 틀린 당사자는 질책을 받는 경우는 덤.
[1] BIOS POST 비밀번호[2] 이건 현재도 기본 베이스만 다를 뿐 특수문자만 바꾸는 식의 형태는 그대로 이어지고 있다. 예를 들자면 '인사처01!@'을 베이스로 해서 뒤의 특수문자나 숫자만 바꾸는 방식 등.[3] 일부 네티즌들은 인사혁신처의 도어록 비밀번호는 '4321'이나 '2580'으로 도어록 옆에 적혀 있고, PC 암호는 '1q2w3e4r!!'이나 '!인사처@'로 키보드 밑에 적혀 있을 것이란 음모론을 제기했다. 사실은 윈도우 로그인 암호를 우회하기 위해 USB 부팅 OS를 가져가서 파일에 접근했다. CMOS 비밀번호를 설정하라는 보안지침을 따르지 않은 것.[4] 대체적으로 5번이기도 하지만 보안을 요하는 체계를 접속하는 계정은 3번 이하일 정도로 까다롭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