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k.54 경어뢰
[image]
[image]
[image]
'''Mk.54 Torpedo'''
Mk.46을 대체하고 Mk.50를 보완하려 2003년 미국에서 개발한 경어뢰이다.
소련이 해체되어 바다의 작전 환경은 크게 변한다. 대양 한복판에서 적과 조우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연안에서의 작전이 중시되는 흐름이 생긴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무기체계들의 운용개념이 수정되었다. 날이 갈수록 빈곤해지는 미국의 여건에 따라 어뢰 역시 저렴한 가격을 추구하는 방향이 생긴다.
1992년 개발된 Mk.50 어뢰는 비싼 가격이 문제가 된다. 잠재적인 위협인 제3세계 국가들이 너도나도 재래식 잠수함을 지르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게 된다. 1994년 무렵 미 해군이 사용 중인 Mk.46과 Mk.50 각각의 장점을 융합하면 어떻겠느냐는 상큼한 제안이 나온다. 이렇게 Lightweight Hybrid Torpedo (LHT) 프로그램이 시작됐고, 이듬해에는 충분한 타당성이 판단되어 본격적인 개념연구가 시작되기에 이른다. 최초에는 Mk.46 재고에 대대적인 오버홀 작업을 거쳐 2017년까지 사용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생겨서 사장되었고, Mk.46의 8번째 개량형인 Mod 8로 개발이 시작된 후 1996년 현재의 명칭인 Mk.54로 변경된다.
미국이 개발한 어뢰의 기술과 노하우를 모조리 축약했다. 특히 디지털 수신기와 신호처리기, 심도센서와 같은 신호/정보처리용 전자장비에는 민간용기술을 과감하게 도입하여 개발비용을 크게 낮추는데 성공한다. 특히 크게 발전한 컴퓨터 기술을 도입하여, 그 중 CTP (Common Torpedo Processor)라고 불리는 음향신호처리 프로세서는 모토로라의 PowerPC 프로세서에 기반한다. 이 물건은 Mk.48 Mod 6 (ADCAP)에 적용되기도 했다. 추진부 연료밸브 또한 Mk 48 ADCAP과 동일하다. 어뢰의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이른바 경제속도로 주행하면 연비가 향상되듯이 저속 항주 기능이 추가되어 작전시간과 거리가 늘어났다. 연료인 Otto Fuel II는 총 33 리터가 저장된다.
상호 호환성을 위해 Mk.46과 Mk.50과는 기계/전기적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과 함께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유한다. 크게는 Mk.50의 전면부와 Mk.46의 꽁무니를 붙여놓고 좀 다듬고 개량한 후 붙인 형태다. 어뢰 자체 소음 생성을 억제하려 전면부를 최대한 유선형으로 설계하거나 폴리우레탄 재질의 전면부 껍데기를 씌워 음향신호의 간섭이나 왜곡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재래식 잠수함을 탐지하려 주파수 변조 기법을 사용하는 등의 새로운 기능도 부여됐다. 1999년 해수에서 성공적인 테스트를 마친 후 본격적인 양산은 2004년부터 시작되었다. Mk.46의 퇴역에 맞춰 적절한 물량을 보유해야 하기에 생산량은 적당히 조절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는 인도 해군이 P-8 초계기를 도입하면서 같이 패키지로 팔린다. 호주 해군도 일반 전투함과 SH-60 계열 헬기에서 운용하려 약 100발 가량 도입 예정이다.
국군에서도 청상어 외에도 P-8에서 운용할것을 전제로 소량 도입했는데 이는 청상어가 P-8에 통합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보잉은 HAAWC (High Altitude Anti-Submarine Warfare Weapon Capability)라는 계획에 의하여 Mk.54를 탄두로 하는 장거리 활공형 어뢰를 개발하는 중이다. 마치 AGM-154 JSOW처럼 생긴 글라이더 키트에 Mk.54를 묶어다가 GPS 유도로 목표지점까지 활공한 후 글라이더에서 분리되어 낙하산으로 착수하는 형태로 운용될 예정이다. JSOW는 적의 방공세력을 피해 안전하게 원거리에서 발사하려는 취지인 반면, HAAWC는 먼 곳에 있는 잠수함을 탐지했을 때 조금이라도 신속하게 타격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런 활공형 폭탄 무기는 비행체의 속도와 투하 고도가 높을수록 사정거리가 증가하므로 함정에 탑재된 대잠헬기에서는 운용하는 의미가 적다. 30,00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P-3나 P-8 등의 대형 초계기 운용이 상정되었다.
(영문 위키백과) Mark 54 Torpedo
[image]
[image]
1. 제원
2. 개요
'''Mk.54 Torpedo'''
Mk.46을 대체하고 Mk.50를 보완하려 2003년 미국에서 개발한 경어뢰이다.
3. 상세
소련이 해체되어 바다의 작전 환경은 크게 변한다. 대양 한복판에서 적과 조우할 가능성이 줄어들고 연안에서의 작전이 중시되는 흐름이 생긴 것이다. 이에 따라 많은 무기체계들의 운용개념이 수정되었다. 날이 갈수록 빈곤해지는 미국의 여건에 따라 어뢰 역시 저렴한 가격을 추구하는 방향이 생긴다.
1992년 개발된 Mk.50 어뢰는 비싼 가격이 문제가 된다. 잠재적인 위협인 제3세계 국가들이 너도나도 재래식 잠수함을 지르기 시작하면서 이에 대한 대책도 필요하게 된다. 1994년 무렵 미 해군이 사용 중인 Mk.46과 Mk.50 각각의 장점을 융합하면 어떻겠느냐는 상큼한 제안이 나온다. 이렇게 Lightweight Hybrid Torpedo (LHT) 프로그램이 시작됐고, 이듬해에는 충분한 타당성이 판단되어 본격적인 개념연구가 시작되기에 이른다. 최초에는 Mk.46 재고에 대대적인 오버홀 작업을 거쳐 2017년까지 사용하려는 계획이었다. 그러나 배보다 배꼽이 더 크게 생겨서 사장되었고, Mk.46의 8번째 개량형인 Mod 8로 개발이 시작된 후 1996년 현재의 명칭인 Mk.54로 변경된다.
미국이 개발한 어뢰의 기술과 노하우를 모조리 축약했다. 특히 디지털 수신기와 신호처리기, 심도센서와 같은 신호/정보처리용 전자장비에는 민간용기술을 과감하게 도입하여 개발비용을 크게 낮추는데 성공한다. 특히 크게 발전한 컴퓨터 기술을 도입하여, 그 중 CTP (Common Torpedo Processor)라고 불리는 음향신호처리 프로세서는 모토로라의 PowerPC 프로세서에 기반한다. 이 물건은 Mk.48 Mod 6 (ADCAP)에 적용되기도 했다. 추진부 연료밸브 또한 Mk 48 ADCAP과 동일하다. 어뢰의 속도조절이 가능하여 이른바 경제속도로 주행하면 연비가 향상되듯이 저속 항주 기능이 추가되어 작전시간과 거리가 늘어났다. 연료인 Otto Fuel II는 총 33 리터가 저장된다.
상호 호환성을 위해 Mk.46과 Mk.50과는 기계/전기적 부분에서 많은 공통점과 함께 소프트웨어 소스를 공유한다. 크게는 Mk.50의 전면부와 Mk.46의 꽁무니를 붙여놓고 좀 다듬고 개량한 후 붙인 형태다. 어뢰 자체 소음 생성을 억제하려 전면부를 최대한 유선형으로 설계하거나 폴리우레탄 재질의 전면부 껍데기를 씌워 음향신호의 간섭이나 왜곡을 최소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였다. 저속으로 이동하는 재래식 잠수함을 탐지하려 주파수 변조 기법을 사용하는 등의 새로운 기능도 부여됐다. 1999년 해수에서 성공적인 테스트를 마친 후 본격적인 양산은 2004년부터 시작되었다. Mk.46의 퇴역에 맞춰 적절한 물량을 보유해야 하기에 생산량은 적당히 조절되고 있다. 2010년 이후에는 인도 해군이 P-8 초계기를 도입하면서 같이 패키지로 팔린다. 호주 해군도 일반 전투함과 SH-60 계열 헬기에서 운용하려 약 100발 가량 도입 예정이다.
국군에서도 청상어 외에도 P-8에서 운용할것을 전제로 소량 도입했는데 이는 청상어가 P-8에 통합이 안되었기 때문이다.
한편 보잉은 HAAWC (High Altitude Anti-Submarine Warfare Weapon Capability)라는 계획에 의하여 Mk.54를 탄두로 하는 장거리 활공형 어뢰를 개발하는 중이다. 마치 AGM-154 JSOW처럼 생긴 글라이더 키트에 Mk.54를 묶어다가 GPS 유도로 목표지점까지 활공한 후 글라이더에서 분리되어 낙하산으로 착수하는 형태로 운용될 예정이다. JSOW는 적의 방공세력을 피해 안전하게 원거리에서 발사하려는 취지인 반면, HAAWC는 먼 곳에 있는 잠수함을 탐지했을 때 조금이라도 신속하게 타격하기 위한 목적이다. 이런 활공형 폭탄 무기는 비행체의 속도와 투하 고도가 높을수록 사정거리가 증가하므로 함정에 탑재된 대잠헬기에서는 운용하는 의미가 적다. 30,000 피트 이상의 고도에서 P-3나 P-8 등의 대형 초계기 운용이 상정되었다.
4. 관련 링크
(영문 위키백과) Mark 54 Torped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