싸제
1. 개요
사제라고도 한다. '''Made in 사회'''를 뜻하는 군대용어. 용어의 유래에 대해서는 말이 많지만 '사회+제'에서 유래했다는 설과 위의 사제 항목의 私製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군대도 엄연한 사회의 일부 중 하나이니 뭐가 '사회'를 일컫는지 단어만 들어서는 짐작이 가기 힘들지만, 군대라는 곳은 '독자적인 사회'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그 성질이 바깥의 민간 사회와는 동떨어져 있으며 많이 다르다. 그러다보니 군대 내에서 흔히 '사회'라 함은 바로 민간, 즉 '''군대가 아닌 곳'''을 의미한다.
2. 상세
즉, '싸제'는 군대 보급품, 군마트 판매품이 아닌 사회에서 민간인들이 쓰는 물건을 말한다. 발음은 어째서인지 사제가 아닌 '''싸제'''로 하는것이 불문율이다. 요즘은 뜻이 확대되어 물건 뿐만이 아니라 외부 사람을 이를 때, 혹은 군대 바깥사회 그 자체를 말할 때 쓰기도 한다.
군대 보급품이 아무리 A급이라도 사제를 이기지 못한다. 예를 들어 옛날에는 담배가 보급으로 나왔는데, 같은 디스라도 군디스는 탁탁 치거나 누르면 성기게 채워진 내용물이 압축되어 길이가 반으로 줄어든다던지...[1]
사실 사제의 경우 독점이나 담합이 없는 이상 다른 회사들과 피터지게 경쟁하는 바깥 사회에서 소비자를 잡겠다고 하루가 멀다 하고 서로 더 좋은 품질로 내놓기 마련이니, 사제는 정말 좋을 수밖에 없다.
반면 군 보급품의 경우 다량의 인원에 판매가 아닌 보급을 해야되는 입장이라서 가성비라는 입장을 고려하지 않을 수가 없을 것이고 이 과정에서 기능, 심미성과 같은 부분이 어느정도 빠지게 되어 결국 사용자가 받는 물건은 싸제에 비해 어딘가 좀 부족한 물건들을 받게 되는 것이다.
더구나 군이라는 집단 자체가 비교적 보수적이라 한번 잘 쓰고 있는 것을 쉽사리 바꾸질 않는 특성이 존재하며 잊을만하면 군납비리가 터지는 한국군의 열악한 상황이 겹쳐 결국 오늘날에도 보급품의 품질이 결코 나아지질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설령 별반 차이가 없는 물건일지라도 사제가 더 좋게 느껴지곤 하는데, 아무래도 당장 군대를 나가고픈 군인들의 입장에서는 바깥의 떡이 더 좋아보이기 때문이다. 슬리퍼처럼 국방부의 마지막 자존심이라고 나름 인정받는 물품도 보급품치곤 상당히 좋다는거지 솔직히 이거랑 사제랑 둘 중 하나를 공짜로 준다면 뭘 고르겠는가.
군대 외에도 교도소나 구치소에서는 미결수에 한해 사제 죄수복을 구입할 수 있다. 종종 높으신 분들이 재판에 출석할 때 이것을 입고 있는 모습을 볼 수 있다만... 보통은 그냥 넥타이 없는 사복 정장을 입고 나온다. 이석기, 이명박, 이재용, 김기춘 등등이 그러했듯이... 물론 일반인 미결수도 영치금 사정이 넉넉한 경우 사서 입기도 한다.
2.1. 싸제와 보급품의 비교
2.1.1. 싸제가 명백히 보급품보다 좋은 경우
- 식사: 한국군 병영식 항목으로. 대체로 사회에서 먹는 밥에 비해 평이 좋질 못한 편이다. 취사병들도 사회에서 요리를 해본적이 없거나 대량조리 경험이 없는 경우가 대부분이라 그렇다.
- 차량: 쌍용 코란도 스포츠, 기아 봉고 3톤 트럭 등 군에서 싸제 차량은 민수 차량이라 부른다. 엄연히 군에서 정식으로 쓰는 상황이라 싸제라 칭하기엔 다소 부족함이 있으나 사실상 병, 간부들 사이에선 반쯤 싸제 취급이다. 군용 차량은 민수 차량에 비해 내구성, 험지 주파력이 월등히 뛰어나나 승차감이 워낙 좋질 못하여 병, 간부를 막론하고 선호도가 떨어진다.
- 속옷: 사회에서 기능성 소재 속옷이 대중화된 현재까지도 고색창연한 면 속옷을 준다. 요즘은 그나마 드로즈 팬티도 초도보급으로 나오긴 하지만.
- 치약: 치약이 따로 보급이 나오던 시절엔 미싱을 하는 용도로나 썼다. 물론 2020년 현재에도 딱 한번, 훈련소 첫날에 1통 보급이 나오기는 한다. 하지만 자대 가면 보통 그때쯤 다 쓴 상태라 PX에서 새 걸 산다.[2]
- 위장크림: 공식적으론 보급이 끊긴 상황이라 여기서 말하는 보급 위장크림이라 함은 PX에서 파는 위장크림을 말한다. 이니스프리 등 유명브랜드 화장품 회사에서 만드는 싸제 위장크림에 비해 잘 발리지 않을뿐더러, 피부건강에도 심히 안 좋다.
2.1.2. 보급품이 싸제에 준하거나 더 좋은 경우
- PX: 당연하게도 싸제보다 훨씬 좋을 수밖에 없다. 최근 들어 싸제 마트들이 PX보다 더 좋아지고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PX의 아성을 따라잡긴 힘들다. 일단 PX는 면세가 된다. 특히 질소과자 및 질소음료수 같이 맛은 매우 좋지만 양도 적고 질도 나쁜 그야말로 가성비가 매우 나빠 오히려 미필때&전역 이후 거들떠도 안 볼 것들을 군대에서 마음놓고 사먹을 수 있다! 수입과자 및 수입음료수가 아무리 양이 많고 질도 좋은 그야말로 가성비가 매우 좋은 것들만 있긴 하지만 한국인들 입맛에 전혀 맞지 않아 되려 돈낭비가 되어버리는 경우가 부지기수. 다만 PX는 자신이 현직 공무원, 현직 경찰관, 현직 소방관, 현역 군인, 현역 군무원, 현직 교도관 등 공무원이 아니라면 절대로 이용이 불가능하다.
- 구형 방한복 상의 내피 및 구형 방한복 하의 내피: 일명 깔깔이 및 깔바지. 여기서 말하는 구형이란 미디어 상에서 말년 병장들이 으레 입고 나오는 노란색 물건을 칭한다. 가볍고 따뜻해서 전역자들이 누가 시키지 않아도 들고 나올 정도였다. 심지어 전역 후 취업해서 조출 및 야근을 할 때마다 구형 깔깔이와 구형 깔바지 세트를 입고 댕기기도 한다.[3] 단 신형(갈색)은 보온 능력이 비교적 떨어지는 편이다. 요즘은 위장색 무늬 깔깔이가 나와서 갈색조차 구형 타이틀을 달게 되었다.
- 트렉스타제 신형 전투화: 고어텍스, 코듀라 원단을 사용하여 미군 전투화에 준하는 성능을 낸다. 어차피 전투화를 사제로 쓰는 병사는 없으니 사실 의미는 없지만...
- 슬리퍼: 내구성이 상당히 뛰어나서 군 생활 내내 사용해도 뜯어지지 않을 정도이며 쿠션감도 상당히 뛰어나다. 한 차례 개편됐는데 별 건 없고 바닥에 물 빠지라고 구멍을 만들었는데 이거 때문에 슬리퍼에 찬 물이 빠지는 것 보다 바닥에서 물이 올라오는 게 훨씬 심해서 짬찌들한테도 싸제 슬리퍼를 다 허용해줬다. 발에서 물이 폭포처럼 나오는 것도 아니고 뭐하러 이런 걸... 튼튼하게 잘 만들어놓고는 생각없는 짓을 해놔서 그 좋은 내구성 엿바꿔 먹었던 이상한 물건이었지만 나중에 개편되면서 이걸 막았다. 이 구멍만 막았을 뿐인데 사회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최강의 내구성과 썩 괜찮은 착화감을 가진 좋은 슬리퍼가 되었다.
- 면도기: 도루코에서 민간에서 판매하고 있는 면도기를 그대로 내놓았다.
3. 기타
싸제 폭탄의 싸제도 여기에서 비롯된 별칭이다.
스타크래프트 국군체육부대팀 공군 ACE에서는 다른 팀을 지칭할때 사용한다.
군대와 무관하게 정품이 아닌 써드파트 제품을 뜻하기도 한다. 이 경우에도 '사제'와 '싸제'가 혼용된다. 예를 들어 CPU나 그래픽카드에 기본으로 장착된 쿨러가 아닌 별도 장착 쿨러들을 사제쿨러라고 부르기도 한다. 자동차 용품 들도 제조사 정품이 아닌 부품들을 지칭할때 표현한다. 싸제 에어콘 필터, 싸제 와이퍼 등등. 인터넷 업체나 케이블 방송사에서 임대하는 인터넷 공유기가 아닌 것들은 사제 공유기로 표현한다.
외국 사립학교 중 중산층과 서민층을 위한 사립학교에서는 학용품마저도 학교에서 보급해주고 (수업료에 포함되어 있다) 싸제 사용을 금지시키는 경우가 있다. 빈부격차 문제 때문에 누구는 더 좋은 걸 쓰고 누구는 아님으로 인해 그 학생의 부 수준을 보이지 않게 하기 하려는 전략이다.